항목
-
문학시리즈(다섯번째묶음) 춘향전서경덕과 함께 송도3절(松都三絶)로 유명하다. 소설 홍길동전과 춘향전 서민층과 부녀자들에 의에 발전된 소설은 영ㆍ정조 시대에 와서 그 절정을 이루었다. 허균의 홍길동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 소설로서 적서(嫡庶)차별이 있었던 당시 봉건 사회의 제도를 비판하고 이상(理想)사회를 그리고 있다. 계급을 초월한...
- 발행일 :
- 1999.10.20
- 발행량 :
- 2200000
- 종수 :
- 8
- 액면가격 :
- 170원
- 디자인 :
- 춘향전
- 우표번호 :
- 2012
- 인면 :
- 36×26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4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5도색
- 우표크기 :
- 36×26
- 디자이너 :
- 정영남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문학시리즈(다섯번째묶음) 관동별곡서경덕과 함께 송도3절(松都三絶)로 유명하다. 소설 홍길동전과 춘향전 서민층과 부녀자들에 의에 발전된 소설은 영ㆍ정조 시대에 와서 그 절정을 이루었다. 허균의 홍길동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 소설로서 적서(嫡庶)차별이 있었던 당시 봉건 사회의 제도를 비판하고 이상(理想)사회를 그리고 있다. 계급을 초월한...
- 발행일 :
- 1999.10.20
- 발행량 :
- 2200000
- 종수 :
- 8
- 액면가격 :
- 170원
- 디자인 :
- 관동별곡
- 우표번호 :
- 2006
- 인면 :
- 36×26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4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5도색
- 우표크기 :
- 36×26
- 디자이너 :
- 이왈종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문학시리즈(다섯번째묶음) 홍길동전서경덕과 함께 송도3절(松都三絶)로 유명하다. 소설 홍길동전과 춘향전 서민층과 부녀자들에 의에 발전된 소설은 영ㆍ정조 시대에 와서 그 절정을 이루었다. 허균의 홍길동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 소설로서 적서(嫡庶)차별이 있었던 당시 봉건 사회의 제도를 비판하고 이상(理想)사회를 그리고 있다. 계급을 초월한...
- 발행일 :
- 1999.10.20
- 발행량 :
- 500000
- 종수 :
- 8
- 액면가격 :
- 340원
- 디자인 :
- 홍길동전
- 우표번호 :
- 2011
- 인면 :
- 26×36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5도색
- 우표크기 :
- 26×36
- 디자이너 :
- 정영남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문학시리즈(다섯번째묶음) 홍길동전서경덕과 함께 송도3절(松都三絶)로 유명하다. 소설 홍길동전과 춘향전 서민층과 부녀자들에 의에 발전된 소설은 영ㆍ정조 시대에 와서 그 절정을 이루었다. 허균의 홍길동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 소설로서 적서(嫡庶)차별이 있었던 당시 봉건 사회의 제도를 비판하고 이상(理想)사회를 그리고 있다. 계급을 초월한...
- 발행일 :
- 1999.10.20
- 발행량 :
- 2200000
- 종수 :
- 8
- 액면가격 :
- 170원
- 디자인 :
- 홍길동전
- 우표번호 :
- 2010
- 인면 :
- 26×36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5도색
- 우표크기 :
- 26×36
- 디자이너 :
- 정영남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뱅어경기도 양천현(陽川縣)의 토산조를 보면 서쪽 굴포(堀浦)에는 겨울의 극한한 시기에 언제나 백어가 나는데 그 맛이 제일이며 먼저 상공(上供)한다고 하였다. 허균(許筠)의 ≪성소부부고 惺所覆瓿藁≫에도 백어가 실려 있다. 얼음이 얼 때 경강(京江)에서 나는 것이 매우 좋고 임한(林韓)과 임피(臨陂) 사이에서 정월과...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동물
-
-
의창군 장중(藏仲), 義昌君김씨(仁嬪金氏)이고, 부인은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성(許筬)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광해군의 패륜을 못내 한탄하다가, 1618년(광해군 10) 모반죄로 주살된 허균(許筠)의 사건에 연좌되어 훈작(勳爵)을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으로 다시 풀려나와 종친으로서 인조의 총애를 받았다. 서예...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89년(선조 22)
- 사망 :
- 1645년(인조 23)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