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북만청년총동맹 北滿靑年總同盟
    개설 1920년대 초 청산리전투 등에서 전승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북만 일대에 대한 일본의 대반격으로 인해 대부분의 독립운동단체가 그 기반을 잃고 시베리아 지역으로의 이동을 강요당하였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이후 독립운동단체간의 통일성을 지향하게 되었다. 이 운동은 1925년에서 1926년 사이에 활발하게 논의...
    시대 :
    근대
    설립 :
    1926년
    성격 :
    독립운동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이붕해 李鵬海
    천안에서 일본경찰에게 잡혔다가 탈출하여 만주로 망명했다. 남만주 신흥무관학교를 7기생으로 졸업한 후 한국독립연성대에서 6개월간 교육을 받고 청산리전투에 참가하여 크게 공헌했다. 1921년 관내로 들어가 제1·2봉직전쟁에 중대장으로 참전하여 활약했다. 자유시를 거쳐 이르쿠츠크로 가서 고려혁명군에 관계...
    출생 :
    1899. 5. 15, 충남 아산
    사망 :
    1950. 6. 28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고려혁명군 高麗革命軍
    내용 의병장 출신 김규식(金圭植)과 고평(高平)·이범석(李範奭) 등이 1923년 5월연길현(延吉縣) 명월구(明月溝)에서 조직하였다. 1920년 봉오동전투·청산리대첩 후 전 독립군단체가 노령으로 들어갈 때 의군부군(義軍府軍)도 동행하였다. 그러나 자유시참변을 겪은 뒤 소만(蘇滿) 국경을 넘어 옛 활동근거지인 연길현...
    시대 :
    근대
    설립 :
    1923년 5월
    성격 :
    독립운동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규식, 고평, 이범석
    분야 :
    역사/근대사
  • 무장독립운동비사 武裝獨立運動秘史
    의민단(義民團)·야단(野團)·대한신민회(大韓新民會)·혈성단(血誠團). 제5장 일군(日軍)의 한교(韓僑) 학살 사건과 독립군 : 혼춘 사건(琿春事件)과 청산리 전투, 이를 전후한 일본군의 한국인 학살에 대한 미국인 선교사의 수기를 인용. 제6장 군사통일회(軍事統一會)와 국민대표대회 : 여러 독립운동단체의 통일체...
    시대 :
    현대
    저작자 :
    채근식
    창작/발표시기 :
    1949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대한민국 공보처
    분야 :
    역사/근대사
  • 이장녕 백우(白于), 李章寧
    사관양성소(士官養成所)가 설립되자 교관이 되어 이범석(李範奭)·김규식(金奎植)·김홍국(金洪國)·최상훈(崔尙勳)과 함께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1920년 청산리전투를 치른 뒤 북로군정서·대한독립군·간도대한국민회·대한신민회·도독부(都督府)·의군부(義軍府)·혈성단(血誠團)·야단(野團)·대한정의군정사(大韓...
    시대 :
    근대
    출생 :
    1881년(고종 18)
    사망 :
    1932년
    경력 :
    대한제국 육군참위, 신흥학교 교관, 대한독립군단 참모총장, 신민부 참의원, 건국훈장 독립장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청사 靑史
    없던 옛날에 중국에서는 대나무를 여러 쪽으로 가른 조각에 글을 기록했다. 그 대나무가 푸른빛을 띠고 있었기에 거기에 역사를 쓴 것을 ‘청사에 기록한다’고 했다. 바뀐 뜻 역사의 기록을 말한다. 보기글 ㆍ오늘은 청사에 길이 남을 청산리 전투에 대해 얘기해보자. ㆍ통일을 위한 그분의 노력은 청사에 기록될 것이다.
    유형 :
    한자어
  • 이우석
    1896년 9월 17일~1994년 6월 26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북로군정서의 4소대 4분대장으로 청산리 전투에 참전했으며 만주에서 활약한 독립운동가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 1896년 조선 충청도 충주군(지금의 대한민국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출생한 이우석은 부친과 떨어져 모친과 함께 살았지만, 경성부에 있는...
    도서 위키백과
  • 김좌진장군생가지
    김좌진 장군의 독립운동 활동을 전시하고 있는 곳이다. 백야공원은 김좌진 장군의 생가와 사당을 둘러싸고 있는 공원으로, 김좌진 장군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매년 10월에는 백야 김좌진장군 추모제와 청산리전투 전승기념축제가 열리고 있다. 참고문헌 https://www.hongseong.go.kr
    위치 :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백야로546번길 12
    문화재 지정 :
    충청남도 기념물 제76호(1989년 12월 29일 지정)
  • 성재이시영선생동상
    의하여 국권이 피탈 당하자 형제, 가족과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그곳에서 경학사와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여 교육을 진흥하고 수많은 독립군을 양성하여 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1919년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법무총장, 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1945년 해방 시...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1가 100-115 (남산공원 백범광장 내)
    문화재 지정 :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10-1-10호(2002년 11월 2일 지정)
  • 이정 (1895년)
    놓았다. 이 때문에 한 사람이 두 사람 몫의 공적으로 한꺼번에 서훈을 받고 위패로 모셔져 있어 보훈처의 서훈 심사 과정에 문제가 많다는 게 드러났다. 청산리전투의 김좌진 장군 비서로 최근 일제의 밀정으로 드러난 인물이다. KBS는 2019년 8월 13일 방송된 '밀정 1부 - 배신의 기록'에서 이정의 밀정 자료를 공개...
    도서 위키백과
  • 나중소 영훈, 羅仲昭
    들어 왔다. 일제의 이러한 공격에 독립군들은 일시적으로 근거지를 이동하였다가 일본군들이 물러간 뒤 돌아오는 계획을 짰다. 이 과정에서 일어난 것이 청산리전투였다. 홍범도(洪範圖)가 이끄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최진동의 군무도독부, 안무(安武)의 국민회군(國民會軍) 등이 먼저 이동하였고, 북로군정서는...
    출생 :
    1867년 4월 13일, 경기도 고양(高陽)
    사망 :
    1928년 8월 18일
    관련 사건 :
    청산리대첩
    주요활동 :
    북로군정서 설립, 청산리대첩, 돈화현(敦化縣) 독립군기지 개척
    포상훈격 :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 대한독립군 Korean Independence Army
    Army)은 1919년 홍범도(洪範圖)가 의병 출신을 중심으로 창설한 항일 독립군 부대로 간도국민회와 연합하여 활발한 국내진공작전을 펼쳤으며, 봉오동전투청산리전투의 승리에 크게 기여하였다. 3·1 운동 이후 홍범도(洪範圖)를 사령관으로 하여 부사령관 주건(朱建), 참모장 박경철(朴景哲)로 창설되었다. 홍범도...
    도서 위키백과

멀티미디어20건

청산리 전투
김좌진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
디자인 - 청산리 전투
청산리 전투도
청산리전투 현장 입구에 세워진 청산리항일대첩기념비
청산리 전투 전승 100주년 - 전지
청산리전투 / 부상당한 일본인 후송
1920년 청산리 전투 승전 기념
청산리 전투에서 대패한 일본군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한 대한 독립군
청산리 전투에 패해 후퇴하는 일본군
청산리 전투에서 사용한 무기류(1920.7.28)
청산리 전투에서 패하고 철수하는 일본군 사진
청산리전투에서 사용한 독립군 탄약과 탄띠
북로군정서 청산리전투 승전자축 기념사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