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송병조 신암(新巖), 宋秉祚
    여운형(呂運亨)의 후임으로 임시의정원 부의장에 선임되었다. 그 해 8월 18일에는 최창식(崔昌植)의 후임으로 임시의정원 의장에 선임되었고 동시에 임시정부 국무위원으로도 겸직, 활동하였다. 1932년 4월 윤봉길(尹奉吉)의 훙커우공원[虹口公園] 투탄의거 후 임시정부는 부득이 저장성[浙江省] 항저우[杭州]로 이동...
    시대 :
    근대
    출생 :
    1877년(고종 14)
    사망 :
    1942년
    경력 :
    목사, 대한국민총회 평의원, 상해대한적십자사 감사, 국민대표회의 대표, 신한청년당 대표, 임시의정원 의장, 임시정부 고문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목사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1948년 중화민국 입법위원 선거 1948 Chinese legislativ..
    위원들은 5월 8일 난징시 남경 국민대회당(南京 國民大會堂)에서 집회를 갖고, 손과(孫科)와 진립부(陳立夫)를 각각 입법원의 정, 부원장에 선출하고, 5월 18일...1기 제1회기 제1차 회의를 가졌다. 1949년 국공 내전에 의해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옮겨가게 되자(國府遷臺), 759명의 입법위원 당선자 중 380여명...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임시정부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
    웹 인용 중경으로 귀환한 김구는 1945년 8월 21일 제3일차 회의에서 이청천의 국내파견, OSS와의 연합훈련, OSS 국장 도노반과의 회담 소식을 전하며, 국무위원의 총사직을 거부했다. 김구를 중심으로 한 임시정부는 야당세력의 도전에 맞서 임시정부의 정권을 국내 인민에게 봉환하기 위해 곧 입국한다는 제의사항을...
    도서 위키백과
  • 조성환 청사(晴簑)
    국무위원에 피선되었다. 1936년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군무총장으로 봉직하였다. 1937년 한국광복전선(韓國光復戰線)을 결성할 때에는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의 이동녕(李東寧) 등과 함께 참가하였다. 1938년 군사학편찬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어 군사학을 편수하였다. 1939년 임시정부 국무위원으로 피선되었다. 그 해...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송병조 宋秉祚
    당시 국무위원이던 그는 차이석·문일민(文一民)·양우조 등과 시국수습과 해외독립운동의 통일을 위하여 노력했다. 이때 5당 통일운동이 일어나 임시정부의 국무위원 중 양기탁(梁起鐸)·유동열(柳東說)·김규식(金奎植)·조소앙(趙素昻)·최동오(崔東旿) 등 5명이 통일당에 참가하기 위하여 임시정부를 떠나자 차이석...
    출생 :
    1877. 12. 23, 평북 용천
    사망 :
    1942. 2. 25
    국적 :
    한국
    호 :
    신암(新巖)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김성숙 운암(雲巖), 金星淑
    연맹을 해체하였으며, 이 때 임시정부 국무위원으로 취임하였다. 1945년 광복을 맞아 임시정부 국무위원들과 함께 개인자격으로 그 해 12월 제2진으로 환국하였다. 1946년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사퇴하고 민주주의민족전선 의장단의 일원이 되었으나, 좌우대립의 격화로 의장단을 사퇴하고 여운형(呂運亨)과 같이 좌우...
    시대 :
    현대
    출생 :
    1898년
    사망 :
    1969년
    경력 :
    임시정부 국무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정치인, 승려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철산
  • 3권분립 삼권분립, 三權分立
    지지 않도록 국회의 정부불신임권을 인정하지 않았던 것이다. 물론 국회의 예산안심의결정권·국정감사권·탄핵소추권 및 탄핵재판권, 국무총리·국무위원정부위원의 국회출석요구권 등을 규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의 정치적 비중이나 그의 권위주의적 통치방식에 비추어볼 때, 그러한 것...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정치
  • 펑전 彭眞, P'eng Chen
    연군 정치위원으로 일했다. 1949년 2월 중공 베이징 시위원회 서기를 지내다가 1949년 9월 중국 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되었고, 연이어 중앙인민정부 위원, 중앙인민정부 정무원 정치법률위원회 부주임을 맡았다. 1950년 10월 중국인민보위세계평화위원회 부주석, 1951년 베이징 시장으로 선임되었다...
    출생 :
    1902. 10. 12
    사망 :
    1997. 4. 26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훙쉐즈 洪學智, Hung Hsuehchih
    員)과 단장을 거쳐, 1948년 제15군단 부사령관을 지냈다. 1949년 2월 제4야전군 15병단 부사령원이 되었으며, 10월에 광둥[廣東]으로 이주하여 광둥 인민정부 위원, 동 군구 부사령, 제18병단 부정치위원을 역임했다. 1950년 제16군구 정치위원, 1950~54년 6월 광둥 성 인민정부위원, 1954년 8월 제1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출생 :
    1913년 2월
    사망 :
    2006년 11월 20일
    국적 :
    중국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豫算決算特別委員會, Budget and Accounting Commit..
    국가예산의 편성제출권은 정부가 맡고 있으나, 예산안을 심의 ・ 확정하는 권한은 국회가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예산안과 결산을 종합적으로 심사하기 위해...1인으로 하되, 위원회에서 호선하고 본회의에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위원은 교섭단체 소속의 의원수 비율과 상임위원회 의원수의 비율에 의하여 교섭단체...
  • 차리석 동암(東岩), 車利錫
    한보(韓報)」 · 「한성(韓聲)」 등을 발행, 배포하는 등 당의 기본 강령 실천과 그 이념 전파에 진력하였다. 1933년 항저우[杭州]의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으로 선임되어 대일투쟁 의욕을 드높이는 데 노력하였고, 임시의정원 부의장으로도 활약하였다. 대일전선통일동맹(對日戰線統一同盟)에 의한 5당[의열단...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5부 요인
    5부 요인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국가 간 외교 행사나 국가 기관의 공식적 행사에서 국가 의전 서열은 ‘대통령 → 국회의장 → 대법원장 → 헌법재판소장 → 국무총리 → 중앙선거 관리위원회위원장→정당대표→국회부의장 → 교섭단체 대표의원 → 감사원장 → 국회상임위원장 → 국무위원’ 순으로 되어 있다. 참고

관련항목

멀티미디어8건

임시정부국무위원 포고문(1937)
치장에서 임시정부 국무위원(1935)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1919. 10. 11)
임시정부 국무위원들(중국 치장, 1935. 11. 7)
1935년 11월 7일중국 치장에서 임시정부 국무위원들(앞줄 오른쪽 첫번째)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료편찬위원
임시 정부 시절 사료 편찬 위원들과 함께
1924년 임시대통령 이승만의 탄핵을 알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공보 제42호, 탄핵심판위원으로 이름을 올린 나창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