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위도일부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유인도의 일부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어로행위, 주거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패류양식 10553(전복 1.00 ha), 복합양식 11801(미역, 다시마 8.00 ha), 복합양식 11802(미역, 다시마 5.00 ha), 복합양식 11803(다시마, 전복 6.00 ha), 패류양식 12466(다시마...
- 면적 :
- 4,562m 2
- 좌표 :
- 34° 19′ 27.97″ N 127° 2′ 19.84″ E
- 해도번호 :
- 232
- 지번 :
- 완도군 금일읍 동백리 산95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완도군 약산면 해동리에서 약 9.9km
-
전복탕 全鰒湯널리 이용되던 음식은 아니었던 듯 조선시대 서민들이 기록한 조리서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현재 일반가정에서도 거의 만들지 않고 있다. 만드는 법은, 전복살 밑으로 칼을 넣어 뗀 다음 내장을 도려내고 소금으로 잘 비벼 깨끗이 헹군 뒤 두꺼운 냄비에 얇게 저민 전복을 넣고 물을 부어 중간불에서 푹 곤다. 국물이...
- 성격 :
- 음식, 국
- 유형 :
- 물품
- 용도 :
- 궁중요리
- 분야 :
- 생활/식생활
-
-
-
-
-
-
-
답호 더그레, 褡𧞤라 주하고 있으며, ≪지봉유설≫에 조선시대 세종 때 허조(許稠)가 회색 답호를 상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더그레란 덧입는 옷의 총칭으로 호의(號衣) · 전복(戰服) · 답호가 포함된다. 답호의 원류는 징기스칸족의 역사서인 ≪집사(集史)≫(1300∼1304년 완성)의 미니어쳐에서 찾을 수 있는데, 징기스칸과 함께...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의생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