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리장나무 덩굴볼레나무
    그 즙을 티눈에 바르면 잘 낫는다고 한다. 잎은 말려두고 다려서 마시면 십이지장충에 약이 된다고 하며, 잎이 없을 때에는 나무껍질을 이용했다고 한다. 재목은 탄력성이 있고 쪼개지지 않으므로 농기구나 연장자루, 지팡이 등에 주로 쓰였다. 옛사람들은 물론 지금도 떫은 맛이 약간 나는 새콤달콤한 열매를 간식거리...
    분류 :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
    원산지 :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서식지 :
    중부 이남 서해안과 남해안의 표고 400m 이하 산록 및 계곡
    성격 :
    식물, 나무
    유형 :
    동식물
    크기 :
    지름 5∼10㎝, 길이 6m
    학명 :
    Elaeagnus glabra Thunb.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10∼12월
  • 노란좀콩나물버섯
    5~7㎜로 가늘고 긴 원통형에 밝은 황색-황갈색이다. 자낭은 곤봉상의 원통형이고 8개의 자낭포자를 담고 있으며 포자분출구멍은 멜저시약에 의해 청색으로 변한다. 자낭포자의 크기는 22.5~35×4~5㎛로 타원형이며 선단 쪽으로 조금 좁고 직립하거나 구부러졌다. 표면은 매끄럽고 투명하다. 생태 썩은 재목 위에 군생...
    분류 :
    자낭균문 > 주발버섯아문 > 마귀숟갈버섯강 > 마귀숟갈버섯목 > 마귀숟갈버섯과 > 좀콩나물버섯속
    학명 :
    Microglossum rufum (Schwein.) Underw.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
    발생시기 :
    여름
  • 남포 관아문 藍浦 官衙門
    공포(拱包)는 출목(出目)이 없이 초익공(初翼工)으로 구성하였고, 창방(昌枋)으로 짜여진 주간(柱間)에는 운공(雲工 : 장여와 도리를 받는 초새김한 짧은 재목)을 배치한 팔작지붕의 5량(五樑)집이다. 내삼문은 동헌의 출입문으로, 정면 7칸, 측면 1칸 크기의 소슬대문이다. 중앙 1칸은 출입문으로 대문을 달고 좌우 각...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개마고원 蓋馬高原
    이 지역은 무산의 삼림 지대에 연속되어 낙엽송 · 잎갈나무 · 전나무 · 가문비나무 · 잣나무 등의 침엽수와 일부 활엽수의 원시림이 울창하고, 하천을 통한 재목의 운반이 편리하여 임업의 중심지를 이루고 있다. 삼림 개발은 목재의 반출이 쉬운 하천 연안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허천강과 장진강 유역의 목재는 각각...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콩고의 경제
    커피·야자 산품이다. 전국토의 약 절반이 삼림으로 덮여 있다. 삼림 벌채는 해안에서 시작되어 콩고-오세앙 철도를 따라 내륙으로 침투해 들어갔다. 벌목된 재목의 약 3/5은 그 고장에서 가공된다. 광업은 해외무역의 2/3를 차지한다. 주로 외국 회사들의 자본으로 이루어지는 원유 생산은 1970년대에 눈부시게 증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익조 이행리, 翼祖
    재빨리 두만강 하류의 적도(赤島)로 피해 화를 면하였다. 알동의 주민이 이 곳으로 옮겨와서 한동안 같이 살았다. 1290년(충렬왕 16) 직도(稷島) · 추도(楸島) · 초도(草島)의 재목으로 배 10척을 만들어 뱃길로 연고지인 의주로 옮겨와서 살다가 죽었다. 능은 지릉(智陵)으로 안변 서쪽 서곡현(瑞谷縣)에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터스키기 Tuskegee
    주의회가 시 경계의 변경을 인준함으로써 400명에 이르는 흑인 유권자들이 한꺼번에 선거인 명부에서 빠지게 되었는데 1960년 미국 대법원은 이러한 조치가 위헌임을 인정했다. 1972년 존 포드가 시 최초의 흑인 시장으로 선출되었다. 면실유가 생산되며, 재목가공공장·제분소·비료공장 등이 있다. 1843년 시가 되었다...
    위치 :
    미국 앨라배마 주 중동부, 터스키기 국립산림지 근처
    인구 :
    8,544명 (2017 추계)
    면적 :
    42.4㎢
    대륙 :
    북아메리카
    국가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발사드 Valsad
    유명하며 피마자유 추출업도 이루어진다. 근교에서는 과일을 재배한다. 구자라트 주에 속한 수많은 작은 항구들 가운데 하나로서 면직물·견직물·곡물·재목·타일·당밀 등을 수출하고 있다. 국도와 주의 간선도로가 통과하며 서부 철도 본선이 지난다. 불모의 해안지대를 제외한 주변지역에서 집약농경이 이루어지고...
    위치 :
    인도 중서부 구자라트 주 남동부
    인구 :
    157,000명 (2023년 추계)
    면적 :
    11.9㎢
    대륙 :
    아시아
    국가 :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이세응 李世應
    집산지인 충주에 창고가 없어서 수납한 세곡을 한지에 쌓아두어 보관에 어려움이 따르자, 경상도관찰사 김안국(金安國)과 의논한 뒤 조정에 건의하여 폐허가 된 절의 재목을 모아 총 70칸 규모의 가흥창을 축조했다. 정조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전라도관찰사·호조참판·평안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시호는 양간이다...
    출생 :
    1473(성종 4)
    사망 :
    1528(중종 23)
    국적 :
    조선, 한국
  • 비자나무 적과(赤果), 榧子나무
    등화용·식용·약용으로 두루 이용된다. 나뭇결이 바르고 향기가 있으며 가공이 용이하여 기구재·장식재로 많이 쓰이는데 특히 고급 바둑판을 만드는 귀중한 재목이다. 열매에서 짠 기름은 식용·등화용으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소화기 계통의 질병을...
    분류 :
    상록 침엽 교목
    학명 :
    Torreya nucifera
    분포지역 :
    내장산 이남
    자생지역 :
    산기슭, 골짜기
    번식 :
    열매
    약효 부위 :
    열매·온그루
    생약명 :
    비자(榧子)
    키 :
    25m 정도
    과 :
    주목과
    채취기간 :
    씨 성숙시
    취급요령 :
    씨의 껍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평온하며, 달고 떫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6~10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향비자나무의 씨
  • 제도송금사목 諸道松禁事目
    금양(禁養)에 관한 규정, ④ 각 관의 각종 작폐에 대한 규정과 벌칙, ⑤ 송전 안에서의 화전(火田) 경작 금지 규정과 벌칙, ⑥ 선재(船材)·전선(戰船) 재목 벌채에 대한 규정, ⑦ 각종 협잡에 대한 벌칙 규정, ⑧ 수령·변장(邊將)·감관·산직의 송정(松政) 고적(考積)에 관한 규정, ⑨ 매년 연말 전국 각 도에 소재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황양목 회양목(淮陽木), 黃楊木
    황양목은 생장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재질의 조직이 치밀하고 뒤틀림이 없어 도장의 재료로 많이 이용되었다. 그래서 도장나무라고도 불린다. 황양목은 재목(材木)이 단단하여 목활자(木活字)를 비롯하여 목관악기(木管樂器), 머리 빗, 각종 제도 및 측량용 기구 등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생원...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멀티미디어3건

재목꾀꼬리큰버섯
재목꾀꼬리큰버섯
재목을 싯고 비탈을 달리는 차를 급정거 시켰을 때의 재목 운동(상)과 정지 관성을 이용한 장난감 떨어뜨리기(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