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세응

다른 표기 언어 李世應
요약 테이블
출생 1473(성종 4)
사망 1528(중종 23)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 자는 공보, 호는 안재·수옹. 아버지는 사재감부정을 지낸 계통이다. 1501(연산군 7)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장악원직장·봉상시주부를 지냈다. 정언·이조좌랑·병조정랑·춘추관기주관 등을 역임하고 1506년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분의정국공신 4등으로 함양군에 봉해졌다.

1507년(중종 2) 사간으로 있을 때 유자광을 탄핵했다. 1510년 병조참지를 거쳐 동부승지·밀양부사·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충청도관찰사로 재직하고 있을 때, 충청도와 경상도 세곡의 집산지인 충주에 창고가 없어서 수납한 세곡을 한지에 쌓아두어 보관에 어려움이 따르자, 경상도관찰사 김안국(金安國)과 의논한 뒤 조정에 건의하여 폐허가 된 절의 재목을 모아 총 70칸 규모의 가흥창을 축조했다. 정조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전라도관찰사·호조참판·평안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시호는 양간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이세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