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태조 어진 태조어진, 朝鮮太祖 御眞제일 바람직하다. 하지만 정면관은 그려내기가 가장 어렵다는 『승정원일기』의 기록을 참조해 보면, 이 어진은 정면관을 훌륭히 소화해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보(補) 및 견룡(肩龍)의 이금(泥金) 효과에 의하여 엄정한 품위를 잘 표현하였다. 태조 어진은 조선 왕실문화의 격조를 잘 보여주는 초상화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조위수 상보(尙甫), 趙渭叟토포사(水原討捕使)·수원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일찍이 남원부사 시절 관사를 잘 다스렸다 하여 전례(典例)에 없는 포상으로 직질(職秩)을 승급받기도 하였다. 또, 수원부사 때에는 군병(軍兵)을 위열(慰悅)하기 위한 시재(試才)가 있었는데, 한번에 전원을 합격시켜 엄정하지 못하다고 하여 파직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30년(인조 8)
- 사망 :
- 1699년(숙종 25)
- 경력 :
- 수원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한양(漢陽)
-
리트를 잘 부르는 메조소프라노있다. 베이커의 음성에는 영혼이 깃든 품위와 고결함이 서려 있다. 바로크 레퍼토리를 잘 부르는데 오페라든 가곡이든 다른 가수와는 단번에 구별되는 엄정한 권위도 있다. 특히 퍼셀의 《디도와 에네아스》, 글루크의 《오르페오와 유리디체》는 넘볼 수 힘든 절대적인 명연이라 할 것이다. 가곡에 있어서는 과연...
-
정가신 정흥, 鄭可臣한 번씩 조회에 참석하도록 하였다. 곧 벽상삼한삼중대광 수사공(壁上三韓三重大匡守司空)이 되었으나 얼마 되지 않아 갑자기 별세하였다. 성품이 정직하고 엄정해 일을 처리하는 데 법도가 있어 나라 사람들의 칭송이 자자했다고 한다. 정가신의 죽음에 대해서는 약을 먹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설이 있다. 거소에...
- 시대 :
- 고려후기
- 출생 :
- 1224년(고종 11)
- 사망 :
- 1298년(충렬왕 24)
- 경력 :
- 보문각대제, 승지, 정당문학, 첨의찬성사 세자이사, 지공거, 첨의중찬 판전리사사 세자사, 벽상삼한삼중대광 수사공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문신
- 대표작 :
- 천추금경록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나주(羅州)
-
동인시화 東人詩話의 특성 및 압운(押韻)의 자율성 등 시의 수사적인 면도 다루었다. 시인들이 자신의 시에 대하여 지나치게 자부하고 있음을 통렬히 논박하였는데, 그 체재가 엄정하고 정확하다. 기(氣)를 중심으로 한 문기론(文氣論)과 용사론(用事論)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본서는 신라의 최치원(崔致遠...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한문학
-
개계 開啓개계(詳夫開啓)」라 한다. 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재수를 위해 드리는 의식으로, 저승에 있다는 10대왕에게 자비를 비는 것) 때에는 ‘원부 범치법연 선사방우엄정 공의과교전장가지 소이 수함청정지공 법유신통지용 장법비수 용수결심 쇄사법연 성우정토 정토결계진언(原夫 凡峙法筵 先使方隅嚴淨 恭依科敎全杖加持...
- 성격 :
- 범패(梵唄)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 白磁 胎壺 및 胎誌石태항아리는 왕실의 왕자나 공주가 태어났을 때 태를 담는 용기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15세기 후반부터 19세기에 걸쳐 제작 · 사용되었으며, 태봉우리의 태실 안에 태지와 함께 내 · 외항아리를 함께 묻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엄정하고 단정한 격식을 갖춘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태항아리와 태지석의 예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여자독본 女子讀本강조하여 여성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있다. 제2장 모도편에서는 김유신(金庾信)·정여창(鄭汝昌)·이항복(李恒福)·이이(李珥) 등의 어머니가 지녔던 부덕과 엄정한 가정교육을 소개하고 있다. 제3장 부덕편에서는 신라시대 소나(素那)의 처, 고구려 온달의 처, 신숙주(申叔舟)의 처인 윤부인(尹夫人) 등의 예화를...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장지연(張志淵)
- 창작/발표시기 :
- 1908년
- 성격 :
- 교과서, 독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 분야 :
- 교육/교육
- 소장/전승 :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
사일 보경(寶鏡), 獅馹교학 이해나 선 수행의 내용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상훈과 추모 용주사가 창건된 1790년 10월에 정조는 사일을 도승통으로 임명하면서 ‘호종연교(護宗演敎) 보혜정각(普慧正覺) 엄정비니(嚴淨毗尼) 원융법계(圓瀜法界) 총지제방대법사(總持諸方大法師) 겸 팔로도승통(八路都僧統)’이라고 적힌 교지를 내렸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이용익 李容翊근대적 개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정치적 입장은 일관성 있게 친로반일(親露反日)적 입장을 고수하여,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정부로 하여금 조선의 엄정중립을 선언하게 하였다. 그 결과 전쟁 중 일본으로 압송되어 온갖 회유정책을 받았으나 모두 거절하였다. 그리고 일본에 납치되어 있을 때, 일본의 개화문물...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54년(철종 5)
- 사망 :
- 1907년
- 경력 :
- 내장원경, 중앙은행총재, 탁지부장,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학교의 전신) 설립
- 유형 :
- 인물
- 직업 :
- 정치인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평재유고 平齋遺稿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문에 의하면, 그의 시문은 글쓰는 데만 급급하지 않아 말이 거리낌없고, 이치가 정연하며, 야비한 기운이 없어 의리가 엄정하고, 충후(忠厚)한 뜻이 넘쳐 요즘의 글과는 다른 바가 있다고 하였다. 설은 모두 경사(經史)의 의의(疑義)에 대한 의견을 적은 것이고, 「명실변(名實辨...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