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석영 池錫永
    의학책을 많이 읽었다. 특히 영국 제너(Edward Jenner)의 종두법(種痘法)[천연두 예방을 위해 백신을 피부에 접종하는 것]에 흥미를 느껴 1876년(고종 13) 수신사 김기수(金綺秀)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가게 된 스승 박영선(朴永善)에게 일본의 종두 현황을 조사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이에 박영선이 『종두귀감(種痘龜鑑...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 『상경 일기』 上京 日記
    개항 전인 1869~1871년에 거제도 옥포 통사 등 동래부 소통사(小通事)[조선 시대 역관 가운데 하급 통역관]로 활동하였다. 1876년(고종 13) 김기수(金綺秀) 수신사(修信使) 때와 1880년 김홍집(金弘集) 수신사 때 통사로 일본에 다녀왔다. 이 때 일본의 각종 산업 시설과 제도 등의 근대화에 깊은 감명을 받고, 후에...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김덕윤 金德潤
    1923년 (음)12월 4일 서창무 ・ 박창환 ・ 김병구 등과 같이 허룽현 황직동(黃稷洞) 백호장 집에서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1924년 1월 12일 밤 옌지현 수신사 대팔포강(大八浦江) 회령촌(會寧村)에서 상하이(上海) 독립신문특파원 김용구가 동민들을 대상으로 독립신문, 경고문 등을 보이며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1...
    출생 :
    1894년, 함경북도 명천(明川)
    사망 :
    미상
    주요활동 :
    1921년 간도와 러시아령에서 활동, 1923년 무정단(武政團) 가입, 무정단 제1대에 소속 안툰(安圖)ㆍ허룽(和龍) 양현을 중심으로 군자금 모집 활동
    포상훈격 :
    2015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무정단
  • 변수 (1861년)
    자는 한명(漢明), 호는 소천(小泉)이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姜瑋)의 문인이다. 1882년 일본 유학을 갔다가 임오군란으로 귀국하였으나, 제물포 조약 답례 수신사로 파견되는 박영효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다녀왔으며, 1883년에는 조미수호통상조약의 답례로 전권대신 민영익이 미국에 파견될 때 수행원으로 다녀왔다...
    도서 위키백과
  • 조선책략
    1880년경에 저술한 외교문제를 다룬 외교 방략서이다. 원명은 《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이다. 이 책의 내용은 김홍집, 박영효 등이 공동으로 정리한 수신사일기 중 2권에 따로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황준헌은 조선이 러시아를 경계하여야 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그리하여 황준헌은 조선책략을...
    도서 위키백과
  • 제물포 조약 Japan–Korea Treaty of 1882, 済物浦条約
    조가 각각 조인되었다. 그 다음 내용과 같은 것이 그 핵심을 이룬다. 조선 측의 5만 원 배상 일본 공사관의 일본 경비병 주둔 조선 정부의 공식 사과를 위한 수신사 파견 임오군란 주모자 처벌 일본인 피해자 유족에게는 위문금 지불 일본에 대한 배상을 일본으로부터 외채를 빌려 차입하여 충당하도록 일본 측과 밀약...
    도서 위키백과
  • 박기종 朴琪淙
    1871년(고종 8)까지 소통사로 군무하였다. 일본어를 잘한 덕분에 1876년(고종 13) 강화도 조약 체결 후 조선에서 김기수(金綺秀)를 단장으로 한 제1차 수신사 파견 때 동행한 4명의 통사 중 한 명으로 일본을 방문하였다. 4년 후인 1880년(고종 17) 6월 김홍집(金弘集)이 제2차 수신사로 도일할 때도 통사로 동행하였다...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 영남 만인소
    유생 이재교를 중심으로 경상도 지역 유생들이 정부의 갑신 복제개혁에 반대해서 올린 상소문으로 유생들이 전개한 위정척사 운동이다. 1880년 8월, 2차 수신사로 갔다온 김홍집이 일본에서 귀국하였는데, 일본에 있던중에 김홍집은 일본 주재 청나라 공사관의 참사관으로 있던 청국인 황준헌(黃遵憲, 황쭌셴)을 만나...
    도서 위키백과
  • 이동인 李東仁
    교유의 폭을 넓혔다. 그리고 많은 서적과 자료 등을 오쿠무라에게 부탁하여 김옥균 등에게 보내기도 하였다. 이동인은 일본에 머무르고 있던 1880년 6월에 수신사(修信使)로 일본을 방문한 김홍집(金弘集)과 만났는데, 이동인의 식견에 감동한 김홍집의 추천으로 조선조정에도 연이 닿게 되었다. 1880년 8월에 이동인은...
    도서 위키백과
  • 종두
    어려서부터 의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중국에서 들여온 서양 의학서를 많이 접하면서 에드워드 제너의 우두법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876년 수신사 자격으로 일본을 다녀온 스승 박영선(朴永善)에게서 《종두귀감》을 얻어본후, 1879년 10월 부산에서 일본인이 운영하던 제생의원에서 일본인 의사에게서...
    도서 위키백과
  • 박문국
    신문 및 잡지 등을 편찬·인쇄하던 출판 기관으로 신문을 발행했다는 점에서는 한국 최초의 신문사이기도 하다.백과사전 인용깨진 링크 조선 말기인 1876년 수신사 김기수가 일본에 다녀오면서 서양의 과학 기술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기 시작했다. 그는 일본에서 여러 가지를 시찰하였는데, 인쇄소에서 책이 찍혀...
    도서 위키백과
  • 지석영
    중국)에서 들여온 서양 의학서의 번역본을 많이 읽었고,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의 우두법(우두 접종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876년 음서 천거 및 수신사 자격으로 일본을 다녀온 역시 명의로 칭송이 자자하던 스승 박영선(朴永善)에게서 《종두귀감》을 얻어 보고 나서 감명을 받았고, 1879년 10월 부산에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현재페이지11 12 1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