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제인 희중(希仲), 閔齊仁되었다. 이때 국왕의 명을 받아 「구언전지(求言傳旨)」를 지어 올렸다. 승정원에서 3년 봉직한 뒤, 1541년 외직으로 나가 평안도관찰사가 되었고, 이어서 사헌부대사헌·형조참판을 역임하였다. 중종이 승하하자, 고부청시청승습사(告訃請諡請承襲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인종 때 사헌부대사헌을 다시 역임하였다...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93년(성종 24)
- 사망 :
- 1549년(명종 4)
- 경력 :
- 승정원주서, 춘추관기사관, 성균관사성, 호조참의, 승정원동부승지, 형조참판, 우찬성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을사사화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
종오품 從五品1298년 충선왕이 즉위해 관제를 개혁하면서, 광정원(光政院)의 도승지(都承旨)가 종5품 관직으로 신설되었다. 그리고 감찰사의 잡단은 혁파되고, 시어사는 사헌부(司憲府)의 내시사(內侍史)로 개편되었다. 또한, 통례문인진부사는 합문인진부사로, 전중성의 승은 종정시승으로 각각 고쳐졌으며, 비서성의 승은 비서감승...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지사 지성사, 知事폐지하고 전리사 · 군부사 · 판도사 · 전법사 등 4사가 전조(銓曹) · 병조 · 민조(民曹) · 형조 · 의조(儀曹) · 공조 등의 6조로, 감찰사는 사헌부로 관제를 개편하면서 지사는 폐지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에 충선왕이 퇴위하고 관제가 복구됨에 따라 밀직사와 4사에 지사를 다시 두었으며, 이 때 지밀직사사는...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
정인홍 조선 중기의 학자23세에 생원시에 합격했으나 관직에 뜻을 두지 않아 과거를 포기했다. 1573년(선조 6) 김우옹의 천거로 처음으로 관직에 나가 황간현감이 되었다. 이후 사헌부 지평에 제수되었으나 받들지 않았고, 1580년(선조13) 12월 정4품 사헌부 장령(掌令)에 제수되어 1581년 7월까지 재직하다가 사직했다. 1589년 기축옥사로...
- 출생 :
- 1536(중종 31), 경남 합천
- 사망 :
- 1623(인조 1)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유교(성리학)
- 본관 :
- 서산(瑞山)
- 자 :
- 덕원(德遠)
- 호 :
- 내암(來庵)
-
기유약조 체결 일본과 국교를 재개하다있다. 그들이 바친 물건은 하루라도 대궐 안에다 두어서는 안 된다.”라고 했다. 이듬해 3월에는 비변사가 왜인에게 시장을 개방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사헌부와 영의정 이덕형(李德馨) 사이에 설전이 벌어졌다. 사헌부는 “왜인들과는 물건을 사고팔거나 재물을 주고받을 의리가 조금도 없다. 그럼에도 왜인들이 궁각...
- 시대 :
- 1609년
-
정제두 사앙(士仰), 鄭齊斗署別提)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종부시주부·공조좌랑에 임명되었다. 1688년 평택현감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서연관(書筵官)을 비롯하여 상령군수·종부시주부·사헌부장령·사헌부집의에 임명되었다. 1709년 강화도 하곡(霞谷) 으로 옮겨 살았으며, 호조참의·강원도관찰사·동지중추부사·한성부좌윤에 임명되었다...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49년(인조 27)
- 사망 :
- 1736년(영조 12)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영일(迎日)
-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 辛景行 淸難功臣敎書 및 關聯 文籍개설 선조가 신경행에게 내린 청난공신교서 1점과, 신경행을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임명하면서 밀부(密符)를 내린 유서 1점, 사헌부와 사간원의 시호서경(諡號署經) 각 1점, 신경행의 아들 신면(辛勉)에게 내려준 청난원종공신녹권(淸難原從功臣錄券) 1점과 순조가 1812년(순조 12)에 발급한 증시교지(贈諡敎旨) 1...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