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화사아미타극락회상도 桐華寺阿彌陀極樂會上圖
    원래는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부식이 심하여 따로 보관하고 있다. 아미타불과 8보살·제석(帝釋)·범천(梵天), 6구의 타방불(他方佛), 사천왕(四天王), 비구승 14인 등의 인물들을 세 폭에 나누어 그린 형식은 무량사아미타극락회상도(無量寺阿彌陀極樂會上圖, 1633년 작)와 비슷하다. 하지만 중앙의...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1699년(숙종 25)
    성격 :
    불교 회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295㎝, 가로 172㎝
    권수/책수 :
    3폭
    재질 :
    비단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동화사
  • 법주사 法住寺
    다시 헐고 1989년 초파일에 높이 33m의 청동미륵불상이 점안(點眼)되었다. 이밖에 국가지정문화재인 쌍사자석등(국보 제5호)·석련지(石蓮池:국보 제64호)·사천왕석등(보물 제15호)·마애여래의상(보물 제216호)·신법천문도병풍(新法天文圖屛風:보물 제848호)·괘불탱(보물 제1259호)과 지방지정문화재인 세존사리탑...
    문화재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2018)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통일신라미술의 조각
    영락장식의 표현 등에서 뛰어난 조각솜씨를 보여준다. 대표적인 불상은 대부분 경주지역에 집중되어 있는데 7세기 후반의 군위석굴 아미타삼존석불, 사천왕사지 출토 사천왕전, 황복사지탑 출토 금제불상 2구, 감산사지 출토 석조아미타불 및 미륵보살입상(719), 굴불사지 사면석불, 석굴암 불상군 등을 들 수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일신라 , 조소
  • 칠장사 소조 사천왕상 七長寺 塑造 四天王像
    기다랗고 굴곡이 심하지 않은 허리 부분은 직지사(直指寺) 사천왕상이나, 1624년 법주사 사천왕상과 유사하다. 전체적으로 세장하고 강직한 1515년 보림사 사천왕에 비하여 평판적이고 친근감이 드러나기 때문에 17세기 전반기로 추정된다. 사천왕상의 양쪽 발밑에는 고통스러운 모습을 하고 버둥거리는 악귀들의 모습이...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불영사 영산회상도 佛影寺 靈山會上圖
    의 석가불좌상이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하는 법회 모임인 영산회상도이다. 내용 석가불좌상을 중심으로 십대보살(十大菩薩), 십대제자, 범천과 제석천, 사천왕, 신장 등이 둘러선 군도(群圖)식 구도이다. 키 모양 광배(光背: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지장시왕도 地藏十王圖
    靜嘉堂] 소장. 내용 화면을 상하 2분하여 위에는 지장보살을 크게 묘사하였다. 아래에는 사자(使者)와 판관·시왕,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범천·제석천·사천왕 등 협시를 대각선으로 배치하였다. 이러한 구도는 중앙의 지장보살에게로 보는 이의 시선을 유도하는 시선 집중 효과를 주고 있다. 그리고 뒤로 갈수록 인물...
    시대 :
    고려
    창작/발표시기 :
    고려시대
    성격 :
    불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143.5㎝, 가로 55.9㎝
    재질 :
    비단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세이도당[靜嘉堂]
  • 유성 有誠
    새로운 형식의 불화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유성이 부일(富日)을 수화승으로 해 조성한 서악사 아미타불회도는 화면 하단 좌우에 원형으로 공간을 구획하고 사천왕을 배치하였다. 원형으로 공간으로 구획하는 방식은 갑장사 아미타불회도의 경우와 같이 18세기 후반에 경상북도 상주를 중심으로 시도되었던 화면 구획법...
    시대 :
    조선후기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화승
    대표작 :
    청도 운문사 삼신불회도(1755년), 청도 운문사 삼장보살도(1755년), 안동 봉정사 감로도(1765년), 안동 봉정사 포월당대선사초민진영(1766년), 안동 봉정사 서봉당대선사서욱진영(1766년), 안동 봉정사 영산암 청허당대선사진영(1768년), 안동 봉정사 영산암 송운당대선사진영(1768년), 경주 불국사 대웅전 사천왕벽화(서방·북방)(1769년), 안동 모운사 지장보살도(1770년), 예천 서악사 영산회상도(1770년), 서산 개심사 영산회괘불도(1772년), 양산 통도사 응진전 영산회상도(1775년), 양산 통도사 응진전 팔상도 도솔래의상(1775년), 양산 통도사 응진전 팔상도 비람강생상(1775년), 양산 통도사 응진전 팔상도 사문유관상(1775년), 영천 은해사 기기암 신중도(1777년), 김천 직지사 극락구품도(1778년), 하동 쌍계사 삼세불도 석가모니불도(1781년), 하동 쌍계사 삼장보살도(1781년), 의령 수도사 감로도(1786년)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삼척 영은사 괘불 영은사영산회상도, 三陟 靈隱寺 掛佛
    왼손은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내리어 땅을 가리키는 손 모양)의 석가불좌상이 중심이다. 그리고 8대보살 · 10대제자 ·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 · 사천왕 · 팔부신중 · 천중(天衆) 등 많은 권속이 둘러 선 군도(群圖) 형식이다. 높은 사각 연화대좌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하고 키 모양의 광배(光背 : 회화나...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장안사 명부전 지장보살도 長安寺 冥府殿 地藏菩薩圖
    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84.5㎝, 가로 219.6㎝. 사후 세계의 교주(敎主)인 지장보살과 협시인 도명존자 · 무독귀왕, 보살 4위, 사천왕 등의 여러 권속들이 묘사된 불화이다. 화기를 통해 1856년(철종 7)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부분적으로 안료의 박락이 확인되나 전반적으로 화면 상태...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불상의 종류
    불교세계를 수호하는 천부의 여러 신이다. 즉 인도에 불교성립 이전에 있던 브라만교의 최고신인 범천(梵天), 제석천(帝釋天), 불국토를 사방에서 수호하는 사천왕(四天王), 성역(聖域)의 입구를 지키는 인왕(仁王) 등이다. 범천과 제석천은 일찍 불교에 받아들여져 불법수호신이 되었으며 석가삼존의 양협시로 삼존형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삼신탱화 三身幀畵
    묘사되고 있다. 또, 상단부에는 성문(聲聞)들이 빽빽이 묘사되고, 양 끝에는 천왕(天王) 및 화엄신중이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외호신(外護神)인 사천왕(四天王)이나 팔부중(八部衆)은 묘사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노사나불후불탱화는 비로자나불탱화의 왼쪽에 배치된다. 중앙에는 보신불인 노사나불이...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수덕사 노사나불괘불탱 修德寺 盧舍那佛掛佛幀▽
    의 존명이 있으며 1767년, 1780년, 1801년, 1888년 4번의 중수를 거쳤다. 내용 본존인 정면 입상의 노사나불을 중심으로 12대보살, 10대제자, 범천과 제석천, 사천왕, 화불, 비천 등이 좌·우대칭으로 에워 싼 구도이다. 보관(寶冠)을 쓴 노사나불은 강조된 두 손을 어깨 높이로 올린 설법인(說法印)의 손 모양을 하고...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멀티미디어98건

사천왕
사천왕
양산 통도사 천왕문 사천왕 / 남방증장천왕
양산 통도사 사천왕상 / 동방지국천왕
양산 통도사 사천왕상 / 북방다문천왕
양산 통도사 사천왕상 / 서방광목천왕
범어사 다문천왕
사천왕사지 출토 채유사천왕상전
보은 법주사 사천왕석등 화사석과 사천왕
보은 법주사 사천왕석등 화사석과 사천왕
보은 법주사 사천왕석등 화사석과 사천왕
보은 법주사 사천왕석등 화사석과 사천왕
사천왕(천은사)
사천왕(천은사)
사천왕상전
사천왕사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