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남수 중심, 金南洙者同盟)에서도 활동하였다. 1923년 4월에는 조선노동연맹회 제2회 정기총회에서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그해 6월 경성고무공장 여공들의 동맹파업이 일어나자, 이 사실을 알리려고 윤덕병(尹德炳) ・ 이준태와 함께 「경성고무여공 동맹파업의 전말」이라는 인쇄물을 작성해 78개 노동단체에 발송...
- 출생 :
- 1899년 2월 22일, 경상북도 안동(安東)
- 사망 :
- 1945년 3월 22일
- 관련 사건 :
- 3・1운동, 경성고무여공파업사건, 경북청년대회, 전조선민중운동자대회, 형평사 예천지회 사건, 도산서원 철폐운동, 조선공산당 탄압사건(제3차)
- 본관 :
- 광산(光山)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22일 경상북도 안동군 예안면 만세시위 참여, 1920년 이후 각종 사회운동 및 노동운동 단체와 사상단체에서 활동, 1923년 6월 경성고무여공 파업사건 등 노동운동 지원, ‘제3차 조선공산당(ML당)’ 참여
- 포상훈격 :
- 2005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조선노동공제회 안동지부, 안동청년회, 조선노동연맹회, 무산자동맹, 풍산소작인회, 화요회, 화성회(안동), 조선기근구제회응원회(안동), 안동청년연맹, 안동노우회, 안동기우단, 안동기자단, 고려공산청년회 안동야체이카, 조선공산당(제3차), 신간회 경성지회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정권은 민주노동조합 활동을 탄압하였다. 1985년 노동자들은 전두환 군사독재정권의 노동운동 탄압에 맞서 한국전쟁 이후 최초의 동맹파업투쟁인 구로동맹파업을 벌였다. 그러나 구로동맹파업은 결국 군사독재정권의 탄압으로 인해 44명의 구속자와 1천여명의 탄압성 해고자가 발생하는 상처를 남기고 해산되었다. 이후...도서 위키백과
-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남천 실천과 체험의 문학문학가동맹’에서 이태준 · 임화 · 이원조 등과 더불어 주요 인물로 떠올라 1930년대 카프 시절의 활동성을 되찾는다. 그는 1946년 2월 8일에 열린 제1차 전국 문학자 대회에서 조직 위원으로 선임된다. 1947년 남한의 정세가 불리하게 돌아가자 그는 임화와 함께 월북한다. 김남천은 해주와 평양 등지에서 활동하며...
- 출생 :
- 1911년
- 사망 :
- 1953년?
-
김영만 김추봉(金秋峯), 김창기(金昌基), 金榮萬정학원·임종만·이영 등과 발기인으로 참가하였다. 1923년 7월 양말직공 파업보고강연회에서 「우리의 무기」라는 제목으로 강연하였다. 같은 해 8월 낙양관...징역 1년을 선고받고 1924년 7월 출옥하였다. 그 해 10월 고려공산동맹이 집행부서를 재정비할 때 민족부 책임자로 선출되었다. 11월 서울파의 무력조직인 적...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1년(고종 28)
- 사망 :
- 1934년
- 경력 :
- 사회주의자동맹 집행위원,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위원회 선전부 간부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낙양관사건
- 직업 :
-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헨리 에드먼드 홀런드 홀런드, Henry Edmund Holland광부들의 파업이 진압된 후에 열린 1913년의 한 합동회의에서 뉴질랜드 노동운동의 지도자로 떠올랐다. 1913~18년 노동연맹에서 발간하는 좌익노동조합운동의 기관지 〈마오릴랜드 워커 Maoriland Worker〉의 편집인으로 일했다. 1913~14년 선동죄로 투옥되었으며, 제1차 세계대전 참전을 위한 모병활동에 반대하는 운동...
- 출생 :
- 1868. 6. 10,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긴닌데라
- 사망 :
- 1933. 10. 8, 뉴질랜드 와이히
- 국적 :
- 뉴질랜드
-
반제국주의, 반봉건주의 혁명 운동, 5·4운동다시 동맹휴학을 결의했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은 거리에서 강연을 하고, 일본 상품 배척 운동과 국산품 애용 운동을 함께 전개해 나갔다. 연일 계속되는 학생들의 가두연설과 시위, 반일 운동, 애국 운동 등은 곧 전국으로 확산되어, 톈진, 상하이, 난징, 무한의 학생들도 가담했다. 그러자 당황한 북양 군벌 정부는...
- 시대 :
- 1919년
-
중화민국, 5 · 4 운동정부는 동맹휴교의 해제를 명령하고 탄압을 가하기 시작하였다. 6월 3일 정부는 북경시장에서 국산품 애용을 부르짖으며 가두연설을 하는 학생 7명을 체포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학생들의 반정부 운동에 기름을 끼얹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그 다음날 학생들은 다시 길거리에 나가 데모를 벌였다. 이날 178명이 체포...
-
-
이효정 李孝貞독서회에 가입, 활동하였다. 박진홍(朴鎭洪), 이순금(李順今) 등과 ‘백지동맹’을 주동, 시험을 거부하여 무기정학을 받았다. 광주학생운동에 동조, 시위에...의식화운동을 하였다. 같은 해 9월 21일 종연방직 경성제사공장 파업 때 지원활동을 하다 10월 17일 동대문경찰서에 보름간 구금되었다. 또한 1934년 권영태...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