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산수유 山茱萸
    수 있으나 실용성 있는 방법은 못 된다. ⓐ찰상법:10배의 굵은 모래와 혼합하여 절구에 찧으면 껍질이 얇아져서 수분을 잘 흡수하여 발아가 빠르다. ⓑ도정법:종자량이 많을 때 보리방아 찧는 정미기에 넣어 몇번이고 도정하게 되면 단단한 껍질이 얇아진다. ※주의:핵의 각질(殼質)이 얇아져서 손을 만지면 말랑거리는...
    분류 :
    산형화목 > 층층나무과 > 층층나무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개화기 :
    3월, 4월
  • 지산지(옥련생태공원)
    옥련생태공원은 경북 성주군에 위치한 공원이다. 세기 초에 겸재 정선이 그린 ‘쌍도정도’의 배경이 된 성주관아 건축물백화헌(白花軒)의 부속 시설인 쌍도정(雙島亭)을 복원해야 한다는 향토사학자들의 견해를 받아들여서 재현한 곳이다. 공원의 연못 안에는 100종류의 수련과 물토란 등 수생식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위치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련1길 8
  • 민간소극 民間小劇, local popular operas
    戱], 산시[陝西]·산시[山西] 지방의 미로극[眉盧劇], '탄황'으로부터 발전한 노극·소극·석극·용극·항극, '낙지창서조'에서 발전한 월극, '도정'에서 발전한 농극·진북도정 등은 대체로 좌창에서 분장·연출에 이르는 과정을 거쳤다. 이는 설창에서 그 곡조를 취했고 희극화의 필요에 발맞추어 발전한 극들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희곡
  • 익성군 신도비 및 무석 益城君 神道碑 및 武石
    익성군(益城君)은 본명이 이향령(李享齡)이고, 자는 수원(壽元)이며, 중종의 아들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손자이다. 13세 때에 익성정(益城正)이 되고, 그 후 도정(都正)이 되었는데, 임진왜란 때 선조가 의주로 행행(行幸)하자 익성도정이 하원군을 모시고 행재에 다다르니 선조가 아름다이 여기고 1596년(선조 29...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서예
  • 모색의도정 摸索─途程
    평론계의 부진과 그 당위」 등 10편, 제2장에는 「외국문학과 조선문학」·「작가와 평론가」 등 10편, 제3장에는 「문학의 서사적 정신」·「모색도정의 문학」 등 19편이 각각 실려 있다. 서문의 “이제 회갑이 되었다. 소천(宵泉)은 고사(固辭)하건만, 그의 문학평론집을 상재(上梓)하여 회갑기념으로 스승께 바치기...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헌구
    창작/발표시기 :
    1965년
    성격 :
    평론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정음사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비타민의 발견
    탄생한 것이다. 비타민 B군은 각기병을 연구하다 단서를 얻게 되었다. 네덜란드 과학자 에이크만은 각기병이 만연한 인도네시아 자바에서 근무하고 있을 때 도정된 쌀을 먹인 암탉들에게 각기병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도정하지 않은 쌀이나 쌀겨를 주면 신속하게 회복되는 것을 보고 쌀겨의 성분에...
  • 이해창 배언(拜言), 李海昌
    總御營軍司馬)·사헌부 장령·홍문관 응교를 역임하였고, 1891년 수정청 도청(修正廳都廳)이 되어 『선원보략(璿源譜略)』 개찬(改撰)에 참여하면서 종친부 도정을 겸하였다. 1892년 형조 참의를 거쳐 우부승지·사간원 대사간에 올랐다. 1893년 공조 ·예조 참의에 임명되었고, 1894년 다시 대사간을 거쳐 종정사장...
    시대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865년 10월 15일
    사망 :
    1945년 3월 2일
    경력 :
    한성부 판윤, 창산군
    유형 :
    인물
    직업 :
    관료, 금융인, 종친,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경제·산업/경제
    본관 :
    전주(全州)
  • 보개바람
    쓰임새 없던 건물이었지만 농림축산식품부와 농협중앙회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농촌 청년의 창업공간으로 재탄생한 곳이다. 높은 천장에 개방감이 느껴지고 1층에는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카운터와 보개상점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2층의 경우 단체룸과 도정시설이 있어 도정 과정을 관람할 수 있는 이색 체험도 가능하다.
    위치 :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불현길 10
  • 곡류 穀類, cereal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로 밀만을 섭취하는 선진국에서보다 후진국에서 곡류의 영양 기여도가 더 크다. 밀과 쌀은 인간이 소비하는 2가지 주요곡류인데, 도정된 쌀의 경우 티아민과 리보플라빈 함량이 낮아 쌀이 주식인 아시아에서는 각기병이 만연했다. 그러나 쌀의 도정방법을 바꾸고 다른 방식을 적극 활용하여 이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조선식량영단 朝鮮食糧營團
    했다. 기능과 역할 조선식량영단은 조선미곡시장주식회사와 도양곡주식회사의 업무를 계승하여 주요 식량의 수집과 배급은 물론 원료 조곡(粗穀)의 불하, 도정, 가공에 이르기까지 양곡 유통을 일원적으로 담당했다. 식량영단의 통제 대상도 미곡 · 보리 · 밀 · 쌀보리 · 조, 기타 잡곡뿐만 아니라 전분 · 고구마...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전북일보 全北日報
    따라 편집방침을 세웠다. 한편 이 신문은 타블로이드 배대판(倍大版)으로 주 36면(격일 8면) 발행하는 전국지로 등록하였다. 지면 구성은 제1면에 정치 · 도정(道政)기사 · 칼럼 · 만평, 제2면에 사설 · 경제 · 지방경제 · 단체소식 · 가십란, 제3면에 사회기사, 제4면에 지방기사(전주시를 제외한 시 · 구군의...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가공식품 加工食品
    부분이나 해로운 성분을 미리 제거하거나, 또는 저장하는 동안 재료에 들어 있는 효소나 성분들에 의해서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가공된 것을 말한다. 벼를 도정한 쌀, 살균한 우유, 냉장 숙성시킨 고기, 냉동한 생선 등의 그 원형을 변경시키지 않고 별다른 재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들은 일반적으로 가공식품이라 하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식생활

멀티미디어27건

도정(搗精) 작업
정미소 / 도정
쌀 도정
도정서원
실비도정
실비도정
도정법
도정서원 안내도
클로피도정 형태
클로피도정 포장
실비도정 형태
실비도정 포장
클피도정 형태
옛 도정궁터
정미소에서의 벼 도정
클로피도정 75mg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