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규식 예관(睨觀), 申圭植
    와 대한협회(大韓協會) 등 애국계몽단체에도 참가하였다. 중동학교 · 청동학교(淸東學校) · 문동학교(文東學校) 등의 교육기관을 설립하였다. 1909년에는 대종교를 믿고 광산경영도 하였다. 1910년 망국조약의 소식을 듣고 다시 음독자살하려고 했으나 나철(羅喆)에 의해 구원되었다. 이듬 해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권태훈 윤명(允明), 權泰勳
    정치운동에 나섰으나 고난을 치렀다. 60세 때에 공주에 연정원(硏精院)을 신축하여 수련을 하다가 65세 때에 상경하여 한의원을 개업, 83세가 되는 1982년에 대종교의 최고지위인 총전교에 취임하였다. 1984년에는 『단(丹)』이란 소설을 통해서 선인으로 세상에 알려졌으며, 1986년에는 한국단학회 연정원을 설립하고...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종교·철학/대종교
  • 김교헌 金教献
    성직자 정보 김헌(金獻, 1868년 7월 5일~1923년 12월 25일)은 조선·대한제국 시대 말기의 문신이었던 대종교의 제2대 교주이며,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기도 한데, 본은 경주(慶州)이며, 경기도 수원 생이고, 자(字)는 백유(伯猷), 아호(雅號)는 무원(茂園)이다. 김교헌은 조선의 경기도의 수원에서 출생...
    도서 위키백과
  • 규원사화 揆園史話
    東夷)라고 총칭되었던 동방의 여러 종족들을 단군조선의 주민인 배달민족으로 간주하여, 단군조선의 역사를 웅대한 대제국으로 재구성한 것은 대체로 한말의 대종교(大倧敎) 성립 이후부터이다. ≪단기고사 檀奇古史≫와 ≪환단고기 桓檀古記≫는 대종교인들이 쓴 대표적 사서로서, 전자는 대조영의 아우 대야발(大野勃...
    시대 :
    조선
    저작자 :
    북애노인
    창작/발표시기 :
    1675년(숙종 2)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도교
  • 민족주의사학 民族主義史學
    의식을 분명히 하였다. 그러나 이 당시만 해도 그의 역사인식에는 사회진화론과 영웅중심사관의 성격이 강하였다. 내용 1910년대 1910년대 민족주의역사학은 대종교(大倧敎) 계열의 역사인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하였다. 1910∼1920년대에는 박은식이 『한국통사(韓國痛史)』·『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계화 계활, 桂和
    알려져 있으나, 정확하지 않다. 특히 사망하였다고 알려진 1921년 이후에도 신문 지상에 활동 상황이 보도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만주로 이주하여 대종교에 입교하였다. 1911년 대종교인들과 함께 중광단(重光團)을 조직하여 항일운동에 종사하였다. 중광단은 지린성(吉林省) 왕칭(汪淸)현에서 활동한 대종교 독립...
    출생 :
    1885년 10월 7일, 평북 선천
    사망 :
    1921년
    관련 사건 :
    중광단, 대한정의단, 대한군정서
    본관 :
    수안(遂安)
    주요활동 :
    대한군정서 재무부장
    포상훈격 :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중광단, 대한정의단, 대한군정서
  • 이기 李沂
    후 다시 서울로 돌아와 호남학회의 간부로서 계몽적 글들을 발표했다. 그는 유학을 바탕으로 신학문을 수용하려 했으며, 양계초의 영향을 받아 사회진화론을 수용하고 있었다. 1909년에는 뒤에 대종교로 개칭된 단군교를 창립하는 데 가담했고, 그해 7월 서울의 여사에서 죽었다. 저서로는 〈해학유서 海鶴遺書〉가 있다...
    출생 :
    1848(헌종 14), 전북 김제
    사망 :
    1909(융희 3)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나철
    1863년 12월 2일~1916년 9월 12일)은 조선·대한제국 시대 말기의 관료 겸 문신이자, 대종교의 창시자이기도 하고, 대한제국·일제강점기 시대의 항일 독립운동가이기도 하다. 본은 나주(羅州)이며, 전라도 보성 벌교 생이다. 본명(本名)은 나두영(羅斗永)이고, 개명(改名)은 나인영(羅璌永 → 羅寅永)·나철(羅喆...
    도서 위키백과
  • 대한독립선언서
    4252년이라 하였다. 이름 생년 몰년 출신 지역 종교 정치이념 운동계열 당시 활동지역 건국훈장 훈격 서훈 년도 비고 김교헌(金敎獻) 1868 1923 경기 수원 대종교 공화주의 북로 만주 독립장 1977 - 김규식(金奎植) 1882 1950 경기 양주 - 공화주의 북로군정서 만주 독립장 1963 김동삼(金東三) 1878 1937 경북 안동...
    도서 위키백과
  • 천부경 天符經
    《천부경(天符經)》은 대종교의 경전 중 하나로, 1975년 교무회의에서 채택되었다. 현재는 환인(桓因)이 환웅(桓雄)에게 전하여 지금까지 내려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1917년경 최초의 등장 시에는 단군교의 경전이었다. 실제 세상에 처음 알려진 것은 1917년으로 단군교(檀君敎)에서 처음으로 언급, 유포하기 시작...
    도서 위키백과
  • 중광절
    중광절(重光節)은 대종교의 4대 경절 가운데 하나로, 매년 음력 1월 15일이다. 현재 대종교의 4대 경절로 중광절 · 어천절 · 가경절 · 개천절을 기념하고 있다.「한국종교사상사」, 대종교 창건사, 김홍철 저, 연세대학교출판부(1998년, 158~160p) 1909년 음력 1월 15일 홍암대종사 나철이 단군대황조신위(檀君大皇...
    도서 위키백과
  • 윤세복
    성직자 정보 윤세복(尹世復, 1881년 3월 29일~1960년 2월 13일)은 대한제국 시대 말기에 대종교 신자로 입문하여, 대종교 제3대 교주를 지낸,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대종교의 제3세 도사교이며, 대한민국의 초대 및 제3대 대종교 총전교(總典敎)이기도 하다. 본명(本名)은 윤세린(尹世麟)이고, 후일에 윤세복(尹世復...
    도서 위키백과

멀티미디어18건

대종교(Daejonggyo)
대종교 선의식
대종교 본부
대종교 교기
대종교 천진전
대종교 / 중광절 기념식
천신교기(天神敎旗)
대종교 총본사 천전
대종교 야외법회
대종교 기구표
대종교 총본사 환국기념(1946.6.16)
대종교 주요 간부들(1941) 
대종교 선의식 / 존폐, 가경절
대종교 선의식 / 주유, 가경절
대종교 선의식 / 참령, 가경절
대종교 / 중광절 기념식 원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