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종경 여회(汝會), 朴宗慶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金氏)가 수렴청정을 하자 총애를 입어 이듬해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으로 기용되고, 홍문관의 응교(應敎)·부제학(副提學),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승정원에서는 동부승지에서 도승지까지, 규장각에서는 직각(直閣)으로부터 직제학(直提學)까지, 그리고 참찬을 거쳐 판서 등을 지냈다...
    시대 :
    조선
    출생 :
    1765년(영조 41)
    사망 :
    1817년(순조 17)
    경력 :
    도승지, 여주목사, 호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반남박씨오세유고, 박준원신도비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반남(潘南: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
  • 권응선 학여(學汝), 權膺善
    시관을 역임하였다. 우승지·이조참판을 거쳐 1891년에는 진하정사(進賀正使) 서정순(徐正淳)과 함께 부사(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1894년에는 사헌부대사헌에 올랐다. 대한제국 때에는 봉상사제조(奉常司提調)·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였고, 궁내부특진관 및 칙임관 2등에 이르렀다. 품계는 정2품에 이르렀으며...
    시대 :
    근대
    출생 :
    1835년(헌종 1)
    사망 :
    미상
    경력 :
    이조참의, 사헌부대사헌, 봉상사제조, 강원도관찰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안동(安東)
  • 박사수 내헌(耐軒), 朴師洙
    호는 내헌(耐軒)·내재(耐齋). 박세기(朴世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박태정(朴泰定)이고, 아버지는 박필영(朴弼英)이며, 어머니는 안진(安縝)의 딸이다. 대사헌 박필명(朴弼明)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14년(숙종 40) 생원으로 참봉이 되고, 1723년(경종 3) 증광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1727년(영조 3...
    시대 :
    조선
    출생 :
    1686년(숙종 12)
    사망 :
    1739년(영조 15)
    경력 :
    승지, 대사성, 대사헌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반남(潘南,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
  • 김양순 원회(元會), 金陽淳
    받고 수찬(修撰)에 임명되고, 이듬해 교리(校理)가 되었다. 1822년 대사성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가자(加資)되었다. 1825년 이조참판에 올랐고, 1827년 대사헌에, 1833년 이조판서에 임명되었다. 헌종이 즉위한 뒤 1838년(헌종 4) 대사헌에 임명되었으나, 1840년 모역혐의를 받고 투옥되어 국문(鞫問: 신문)을 받던 중...
    시대 :
    조선
    출생 :
    1776년(영조 52)
    사망 :
    1840년(헌종 6)
    경력 :
    대사헌, 이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탄옹행장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안동(安東)
  • 신사철 명서(明敍), 申思喆
    문학·지평(持平)을 거쳐 1713년 홍문록(弘文錄)에 올랐다. 이듬해 이조좌랑을 거쳐 1719년에 전라도관찰사에 제수되었다. 경종 즉위 후 대사간·대사성·대사헌을 역임한 뒤 신임옥사로 노론이 숙청될 때 파직되었다가 영조 즉위 후 노론이 집권하자 대사헌과 호조판서가 되었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다시...
    시대 :
    조선
    출생 :
    1671년(현종 12)
    사망 :
    1759년(영조 35)
    경력 :
    호조판서, 판중추부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정미환국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평산(平山: 지금의 황해도)
  • 이명 李蓂
    윤원형(尹元衡) 등과 함께 을사사화(1545)를 일으켜 권력을 잡은 이기(李芑)가 권력을 남용하여 사류를 죽이거나 몰아내자 1548년 부제학으로 있으면서 대사헌 구수담과 함께 이기를 탄핵했다. 1549년 진위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대사헌이 되었다. 1553년 이조참판으로 특진관이 되어 경연에서 을사사화 때 화를 입은...
    출생 :
    1496(연산군 2)
    사망 :
    1572(선조 5)
    국적 :
    조선, 한국
  • 구익 익지(翼之), 具㢞
    경현당(景賢堂)에서 실시한 한학문신친시(漢學文臣親試)에서 강독을 잘하여 정언이 되었다가 홍문관수찬에 특별히 제수되었다. 헌납·사간·승지·이조참판·대사헌을 역임하는 가운데 오랫동안 승지를 지냈다. 1776년(정조 즉위년)에 멀리 유배된 것으로 보아 영조 때에 승지로서 영조의 개혁정치 또는 사도세자(思悼...
    시대 :
    조선
    출생 :
    1737년(영조 13)
    사망 :
    1804년(순조 4)
    경력 :
    판서, 지돈녕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능성(綾城,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
  • 김홍윤 의중(毅仲), 金弘胤
    1545년(명종 즉위년) 강원도관찰사가 되었으며, 이듬해 호조참의가 된 뒤 동부승지·우승지·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병조참의 등을 지냈다. 1561년 대사헌이 되고 이어 우윤(右尹)을 거쳐 경기관찰사에 이르렀다.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있는 귀족들을 두려워하지 않았고, 대사헌으로 있을 때 권세가들을 탄핵하다가...
    시대 :
    조선
    출생 :
    1499년(연산군 5)
    사망 :
    1569년(선조 2)
    경력 :
    대사헌, 경기도관찰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광산(光山)
  • 반우형 이성군(利城君), 潘佑亨
    1495년(연산군 1)에 사간을 거쳐 대사성이 되고, 1504년(연산군 10)에 성균관동지사를 겸하였다. 이후 동지중추부사, 한성부의 좌윤·우윤, 사헌부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으로 정국공신 4등으로 녹권되고 이성군(利城君)에 책봉되었으며, 뒤에 기성군(岐城君)으로 개칭되었다. 또 같은 해...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성균관동지사, 동지중추부사, 한성부좌윤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기묘사화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거제(巨濟)
  • 민개 閔開
    말 문과에 급제한 뒤 1390년 경연참찬관․지신사․밀직부사를 거쳐, 1391년 공양왕의 왕세자였던 정성군을 따라 하정사의 일행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대사헌이 되었고, 조준․정도전 등이 역성혁명을 통해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려 하자 강력히 반대했다. 이때 죽음을 당할 뻔했으나 조준의 도움으로 죽음을...
    시대 :
    14세기말
    출생 :
    1360(공민왕 9)
    사망 :
    1396(태조 5)
    경력 :
    경상도관찰출척사
    본명 :
    민개
    국적 :
    조선
    직업 :
    문신
    성별 :
    관련 인물/단체 :
    조준, 정도전, 이성계
  • 조덕윤 수이(修爾), 趙德潤
    역임한 뒤, 1799년 6월 곡산부사로 나갔다. 1801년(순조 1) 승정원승지로 임명된 뒤 대사간·예조참판·공충도관찰사·함경감사·호군(護軍)·공조판서·대사헌·형조판서·좌참찬 등을 역임하고, 1815년 2월 병조판서에 이르렀다. 그러나 같은 해 7월 홍문관교리 이진연(李晉淵)의 인사행정상의 문제점을 지적한 상소로...
    시대 :
    조선
    출생 :
    1747년(영조 23)
    사망 :
    1821년(순조 21)
    경력 :
    우참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임천(林川)
  • 조영진 여읍(汝揖), 趙榮進
    濟用監奉事)를 거쳐, 남원부사로 재임 중인 1756년 정시 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정언을 배수받았다. 1759년 동부승지·한성좌윤을 거쳐 대사헌에 올랐고, 1761년 도승지로서 사도세자의 처형을 강력히 반대하다가 영조의 노여움을 사서 한때 파직되었으나 다시 대사헌으로 기용되었다. 이어 예조와 병조...
    시대 :
    조선
    출생 :
    1703년(숙종 29)
    사망 :
    1775년(영조 51)
    경력 :
    형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양주(楊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