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후의 위기와 파시스트의 진출물결이 높아가던 당시 보르디가의 주도하에 그람시·톨리아티 등을 포함한 혁명파는 1921년 1월 리보르노 대회에서 이탈리아 공산당(PCI)을 창당, PSI 및 노동총동맹(CGL)과 결별하게 되었다. 파시스트가 처음 의회에 진출한 5월 선거에서 중도 연립정부 수립에 실패한 졸리티에 이어 들어선 보노미 내각, 이듬해의 팍타...
-
정재달 전우, 鄭在達를 접수, 화요파 당과 공청기관을 해체하여 코민테른 파견원에 넘길 것을 결의하였다. 6월 신간회 복대표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고, 이 무렵 조선노동총동맹 부활준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김한, 채규항(蔡奎恒) 등과 공산주의운동의 이론과 투쟁방침에 관해 협의하였다. 같은 해 7월 코민테른 동양부 산하...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5년(고종 32)
- 사망 :
- 미상
- 경력 :
- 고려공산청년회 중앙총국 위원, 조선인민공화국 중앙인민위원회 후보위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최순탁 崔淳鐸위원이 되어 독립정신을 고취하는 「생(生)의 충동(衝動)」이라는 제목의 연설을 하여 일본경찰의 경고를 받았다. 1925년 조선청년연합회 상무위원, 전조선노동총동맹 준비위원,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재검거되어 잔혹한 고문을 받고 옥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표창, 1980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92년(고종 29)
- 사망 :
- 1926년
- 경력 :
- 조선청년연합회 상무위원, 전조선노동총동맹 준비위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사회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삼월회 三月會小樽高等商業學校)의 야외군사연습에서 교관이 작성한 군사교안에 조선인과 무정부주의자를 가상적으로 하였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동경에 있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재동경무산청년동맹·조선인유학생학우회·무산학우회·흑우회(黑友會)·형설회(螢雪會)·일월회(一月會) 등의 학생단체·사상단체와 함께 연합된...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25년
- 성격 :
- 독립운동단체, 여성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현경(李賢卿), 황신덕(黃信德)
- 분야 :
- 역사/근대사
-
안광천 안효구(安孝駒), 安光泉일월회 강령을 기초했고, 상무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일월회 기관지 『사상운동』에 각종 논설을 기고하였다. 1925년 동경무산청년동맹회와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결성에 참여하였다. 11월에는 재일본 각 부문운동을 통일한 관동조선무산계급단체협의회 조직에도 참여하였다. 1926년 파쟁청산과 사상단체 통일방침에...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7년(고종 34)
- 사망 :
- 미상
- 경력 :
- 자혜병원 의사, 일월회 상무집햅위원, 정우회 상무집행위원, 조선공산당 정치부장, 조선공산당재건설동맹 위원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대표작 :
- 정우회선언, 신간회와 그에 대한 임무, 민족해방운동에 관한 논간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고학생형설회 苦學生螢雪會10월 5일 새로운 사무실에서 회를 쇄신, 재건하는 총회를 개최해 임원진을 새로 선출하여 새출발을 하였다. 1925년 3월 1일 동경에서 조선유학생학우회·조선노동총동맹·무산청년동맹(無産靑年同盟) 등과 함께 3·1절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진행 도중 일본경찰에 의해 해산당하자 장소를 옮겨 이를 강행하였다. 1922...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21년
- 성격 :
- 학생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필호, 정명원, 이상봉, 이상현, 유진걸, 유연표, 이종모, 최영복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