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경흠 차석동, 高景欽
    民)·이북만 등과 함께 제3전선사를 만들고 기관지 〈제3전선〉을 발행했다. 5월에는 재동경조선청년동맹에 가맹하여 집행위원이 되었다. 10월에 재일본노동총동맹과 신흥과학연구회에 가입했다. 1928년 일본대학 전문부 법과에 입학하고, 10월 신간회 동경지회에 가입했다. 이때를 전후하여 중국으로 건너가 한위건...
    출생 :
    1909(융희 3)
    사망 :
    미상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운동가
  • 전후의 위기와 파시스트의 진출
    물결이 높아가던 당시 보르디가의 주도하에 그람시·톨리아티 등을 포함한 혁명파는 1921년 1월 리보르노 대회에서 이탈리아 공산당(PCI)을 창당, PSI 및 노동총동맹(CGL)과 결별하게 되었다. 파시스트가 처음 의회에 진출한 5월 선거에서 중도 연립정부 수립에 실패한 졸리티에 이어 들어선 보노미 내각, 이듬해의 팍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정재달 전우, 鄭在達
    를 접수, 화요파 당과 공청기관을 해체하여 코민테른 파견원에 넘길 것을 결의하였다. 6월 신간회 복대표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고, 이 무렵 조선노동총동맹 부활준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김한, 채규항(蔡奎恒) 등과 공산주의운동의 이론과 투쟁방침에 관해 협의하였다. 같은 해 7월 코민테른 동양부 산하...
    시대 :
    근대
    출생 :
    1895년(고종 32)
    사망 :
    미상
    경력 :
    고려공산청년회 중앙총국 위원, 조선인민공화국 중앙인민위원회 후보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방향전환론 方向轉換論
    후쿠모토주의[福本主義]에 자극받은 것이었으나 그 수용범위는 한국과 일본의 상황 차이로 인해 용어차용의 수준에 머물렀다. 정우회 선언이 발표되자 조선노동총동맹, 삼월회, 상하이 사회주의 동맹 등 국내외의 여러 단체가 지지했다. 그러나 1926년 12월 15일 정우회와 조직적인 경쟁관계에 있던 서울 콤그룹의 합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최순탁 崔淳鐸
    위원이 되어 독립정신을 고취하는 「생(生)의 충동(衝動)」이라는 제목의 연설을 하여 일본경찰의 경고를 받았다. 1925년 조선청년연합회 상무위원, 전조선노동총동맹 준비위원,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재검거되어 잔혹한 고문을 받고 옥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표창, 1980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892년(고종 29)
    사망 :
    1926년
    경력 :
    조선청년연합회 상무위원, 전조선노동총동맹 준비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사회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삼월회 三月會
    小樽高等商業學校)의 야외군사연습에서 교관이 작성한 군사교안에 조선인과 무정부주의자를 가상적으로 하였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동경에 있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재동경무산청년동맹·조선인유학생학우회·무산학우회·흑우회(黑友會)·형설회(螢雪會)·일월회(一月會) 등의 학생단체·사상단체와 함께 연합된...
    시대 :
    근대
    설립 :
    1925년
    성격 :
    독립운동단체, 여성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현경(李賢卿), 황신덕(黃信德)
    분야 :
    역사/근대사
  • 김한경 김균, 金漢卿
    열린 조선공산당 제3차 대회에 일본지부 대표로 참석했고, 여기에서 결성된 제4차 조선공산당의 중앙위원 및 조직부장으로 선임되었다. 재일본 조선노동총동맹에 가입하여, 중앙집행위원 및 정치교육부장을 역임하면서 재일본 조선인노동자 및 청년들의 정치교육을 담당했다. 그해 8월 29일 국치일 격문살포 및 시위사건...
    출생 :
    1902(광무 6), 충북 제천
    사망 :
    미상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운동가
  • 안광천 안효구(安孝駒), 安光泉
    일월회 강령을 기초했고, 상무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일월회 기관지 『사상운동』에 각종 논설을 기고하였다. 1925년 동경무산청년동맹회와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결성에 참여하였다. 11월에는 재일본 각 부문운동을 통일한 관동조선무산계급단체협의회 조직에도 참여하였다. 1926년 파쟁청산과 사상단체 통일방침에...
    시대 :
    근대
    출생 :
    1897년(고종 34)
    사망 :
    미상
    경력 :
    자혜병원 의사, 일월회 상무집햅위원, 정우회 상무집행위원, 조선공산당 정치부장, 조선공산당재건설동맹 위원장
    유형 :
    인물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대표작 :
    정우회선언, 신간회와 그에 대한 임무, 민족해방운동에 관한 논간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고학생형설회 苦學生螢雪會
    10월 5일 새로운 사무실에서 회를 쇄신, 재건하는 총회를 개최해 임원진을 새로 선출하여 새출발을 하였다. 1925년 3월 1일 동경에서 조선유학생학우회·조선노동총동맹·무산청년동맹(無産靑年同盟) 등과 함께 3·1절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진행 도중 일본경찰에 의해 해산당하자 장소를 옮겨 이를 강행하였다. 1922...
    시대 :
    근대
    설립 :
    1921년
    성격 :
    학생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필호, 정명원, 이상봉, 이상현, 유진걸, 유연표, 이종모, 최영복
    분야 :
    역사/근대사
  • 서울청년회
    주도한 노동단체 결성운동에 밀려 1924년 4월 이들이 주도한 전조선노농총동맹 창립대회에 참여하게 된다. 다른 한편 여러 청년단체들을 사회주의적 성격으로 재편·결집시키기 위해 1923년 3월 전조선청년당대회를 개최했고, 1924년 4월 조선청년총동맹 창립대회를 개최했다. 서울청년회는 1924년 들어 청년·노동 단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남선노농동맹 南鮮勞農同盟
    1922년 10월 조선노동공제회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조선노동연맹회가 조직되었다. 윤덕병(尹德炳)·백광흠(白光欽)·강달영(姜達永) 등에 의해 주도된 조선노동...노동자의 계급의식 앙양, 투쟁역량의 전국적 집중을 표방하면서 조선노농총동맹을 결성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했다. 그 일환으로 1924년 1월 진주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세계노동조합연맹 World Federation of Trade Unions,..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세계적인 국영 혹은 산업 노동조합과 협의체 뿐 아니라 아프리카 노동조합 연합조직(OATUU), 국제 아랍 노동조합 연맹(ICATU), 남아메리카...식량농업기구 등 유엔 산하 기구들에 대한 자문 자격을 갖고 있고, 뉴욕, 제네바, 로마에 고정 조직을 유지하고 있다. 조선직업총동맹 브리태니커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건

조선노동총동맹 창립대회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취지서
일제를 타도하자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격문 
조선노동총동맹 창립대회에 강달영이라는 이명으로 참가한 강달룡(『매일신보』 1924.4.2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