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묘향산력사박물관 妙香山歷史博物館보현사의 8각 13층 탑은 고려시대에 건축되었는데, 고려 말의 탑으로는 층수가 가장 높은 탑 가운데 하나이다. 묘향산역사박물관 안에는 팔만대장경 영인본과 고려시대 목판 · 활자본을 비롯하여 주요 유물들이 보관되어 있다. 팔만대장경 영인본은 6·25전쟁 직후에 보현사 대웅전에 보관하다가 1983년에 대웅전 남쪽...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단체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가산불교대사림 伽山佛敎大辭林티베트어 등 불교 원어를 병기함으로써 한한(韓漢) · 한범(韓梵) · 한파(韓巴) 등 다용도의 복합 어휘 전문 사전으로서 그 활용도를 높였다. 또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한국불교전서(韓國佛敎全書)』, 『신수대장경(新修大藏經)』 등 각종 대장경류 및 원전류 1,000여 종을 전거(典據)로 하여 각 항목에 대한...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창원 내광사 지장보살본원경 창원 내광사 지장경, 昌原 內光寺 地藏菩薩本願經세운 보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장보살은 관세음보살과 더불어 동아시아에서 가장 인기가 있다. 『지장보살본원경』은 고려대장경, 송판 대장경, 원판 대장경에 수록되어 있지 않고, 명판 대장경에 처음으로 수록되기 때문에 그 성립 시기가 의심된다. 그래서 위경일 가능성이 있다. 『지장보살본원경』은 다음과...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삼국 및 고려 시대의 과학기술합천군 해인사에 보관되고 있는 팔만여 장의 목판으로 이루어진 팔만대장경은 15년의 제작과정을 거쳐 1251년에 완성한 것으로, 11세기 초부터 시작된 고려대장경 사업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불심에 의해 외적으로부터 나라를 구해 내려는 간절한 종교적 염원은 현대인이 감탄할 만한 수준의 목판 인쇄 기술로 성과...도서 위키백과
-
도서관 圖書館점검하고 '고려국십사엽신사세어장서대송건중정국원년대요건통원년(高麗國十四葉辛巳歲御藏書大宋建中靖國元年大遼乾統元年)'이라는 장서인을 날인한 일이 있다. 이 장서인이 찍힌 책 중 일본 궁내성(宮內省) 서릉부(書陵部)에 북송판 ≪통전 通典≫이 수장되어 있으며, 마에다가(前田家)의 존경각에는 ≪중광회사 重光...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55 유가론, 再雕本瑜伽師地論卷五十五완성한 직후인 13세기 중∼후기에 인출한 초기 간본으로 인쇄상태가 선명하고 정교하다. 특히 표지 등이 원형대로 남아 있으며, 현전하는 재조대장경 간본 중에서 고려 때 찍어낸 것으로는 보존 상태가 비교적 온전하여 가치가 높다. 호림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재조본 『유가사지론』권99에도 이 책에서처럼 정미세...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현장(玄奘)(한역)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972호
- 창작/발표시기 :
- 1247년
- 성격 :
- 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책
- 간행/발행 :
- 대장도감(大藏都監)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
서예 書藝마찬가지로 비석과 묘지 등의 금석문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또한,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을 비롯한 각종 목판서적의 글씨도 좋은 자료가 된다. 비석은 사적비...의하여 성의를 다한 것이므로, 우수한 필법을 보여 주는 동시에 고려 서예의 뛰어난 수준을 보여 준다. 초기에는 신라의 전통을 계승하여 당나라의 여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화엄경 주본, 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二,七十五새기게 되었던 것이다. 결국 이 대장경은 전쟁 중에 불교신앙의 힘으로 국민을 단결시켜 국난을 타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간행한 것이었다. 이 초조대장경은 고려 현종 때인 1011년에 시작하여 10여 년 동안 판수제 등 개보판 대장경의 일부를 수정하여 판각하였다. 서지적 사항 상하단변에 상하 간 크기는 22.3㎝(권2...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실차난타(實叉難陀)(한역)
- 문화재 지정 :
- 국보 제266호
- 창작/발표시기 :
- 11세기
- 성격 :
-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2축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신림동) 호림박물관
-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陜川 海印寺 高麗木板개설 198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해인사고려각판은 국가기관인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새긴 해인사 대장경판(국보, 1962년 지정)과는 달리 사찰이나 지방관서에서 새긴 것으로, 현재 해인사 대장경판전 사이에 있는 일명 동서(東西) 사간판전(寺刊板殿)에 봉안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54종 2,835판인데, 1982년 이 중...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