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흰줄표범나비10월까지 다시 활동한다. 이 때 암컷은 기주식물인 제비꽃 주변 약간 그늘진 곳을 택하여 마른 풀 위에 한 개씩 산란한다. 습성 숲 가장자리의 초지나 하천 주변, 산 정상의 초지에서 서식한다. 엉겅퀴처럼 보라핵 계통의 꽃이나 개망초, 큰까치수영처럼 흰 꽃에 잘 모여 흡밀한다. 그외 습한 곳이나 동물의 배석물...
- 분류 :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좁쌀메뚜기속
- 학명 :
- Argyronome laodice (Pallas, 1771)
- 출현시기 :
- 6월, 7월, 8월, 9월, 10월
-
조흰뱀눈나비확실하지 않을 때 배끝을 조사하는 것이 안전하다. 생태 암컷은 기주식물 주변의 마른 풀이나 다른 식물들의 잎에 산란하는 경우가 많다 습성 보통 초지에 서식하는데, 제주도 한라산에서는 1,100m 이상의 산지의 초원에 서식한다. 가시엉겅퀴, 금방망이 등의 꽃에 잘 모여 흡밀한다. 중부 지방에서는 산지의 초지나...
- 분류 :
- 나비목 > 뱀눈나비과
- 학명 :
- Melanargia epimede Staudinger, 1887
- 출현시기 :
- 6월, 7월, 8월
-
작은은점선표범나비 선진은점선표범나비7실 및 기부 1,7실에도 은무늬가 있다. 생태 암컷은 기주식물 주변의 마른 풀줄기 등에 한 개씩 산란한다. 월동 번데기는 나뭇가지나 인가의 담벽 등에서 불 수 있다. 습성 강이나 하천 변의 초지에 주로 서식한다. 봄에서 가을까지 발생지 주변의 여러 꽃에 모여 흡밀하고 초지 위를 천천히 낮게 날아다닌다. 월동 번데기
- 분류 :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사과잎갈고리나방속
- 학명 :
- Clossiana perryi (Butler, 1882)
- 출현시기 :
-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
제주꼬마팔랑나비 제주꽃희롱나비앞날개 윗면 중실 아래쪽에는 가늘고 선명한 흰줄 성표가 비스듬히 있다. 암컷은 앞날개 제1b실에 흰무늬가 있다. 습성 제주도와 남부 해안의 초지나 해변가에 인접한 개울의 초지에 서식한다. 암수 모두 엉겅퀴 등 각종 꽃에 모여 흡밀하고, 수컷은 맑은 날 오전에 풀잎 위에서 일광욕을 하거나 점유행동을 한다. 특히...
- 분류 :
- 나비목 > 팔랑나비과
- 크기 :
- 15~18cm
- 학명 :
- Pelopidas mathias (Fabricius, 1798)
- 분포지역 :
- 일본을 비롯한 동양 열대지역
- 출현시기 :
- 5월, 6월, 7월, 8월
-
암먹부전나비검정색으로 테가 둘려져 있으나 암컷은 검정색으로 봄 가을형은 기반부에 청남색의 비늘가루가 발달한다. 습성 숲 가장자리의 양지바른 초지나 강둑 등지에 서식한다. 수컷은 초지를 낮게 활발히 날아다니며, 물가에서 물을 먹는 일이 많다. 또한 암수 모두 갈퀴나물, 토끼풀, 싸리 등의 꽃에 잘 모여 흡밀한다. 맑은 날...
- 분류 :
- 나비목 > 부전나비과 > 진맵시벌속
- 서식지 :
- 풀밭
- 먹이 :
- 매듭풀, 갈퀴나물
- 크기 :
- 약 20~30mm
- 학명 :
- Everes argiades (Pallas, 1771)
- 분포지역 :
- 한국, 유라시아 대륙, 북아메리카 등
- 출현시기 :
-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
담색어리표범나비 연한색표문번티기특징 암컷은 일반적으로 수컷보다 크고 날개모양이 둥그스름하며 날개 윗면의 바탕색은 연하며 검정색 무늬의 발달이 약하다. 습성 저산지의 초지에 서식한다. 날 때에는 낮게 이리저리 활발하게 날지만 그다지 멀리 가지 않는다. 큰까치수영이나 엉겅퀴, 개망초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요즘 이 종의 채집이 점점 어려워...
- 분류 :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다색우단풍뎅이속
- 학명 :
- Melitaea protomedia Ménétriès, 1859
- 출현시기 :
- 6월, 7월
-
초지진 草芝鎭진장을 종3품 무관인 첨사(僉使)로 승격시켰다. 군관(軍官) 11인, 사병 98인, 돈군(墩軍) 18인, 목자(牧子) 210인을 배치했고, 진선(鎭船) 3척을 두었다. 초지돈(草芝墩) · 장자평돈(長者坪墩) · 섬암돈(蟾巖墩)이 소속되어 있었고, 포대는 9개가 있었다. 1871년(고종 8) 4월 23일 미국 해병 450명이 함포의 지원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근대사
-
대승기신론동이략집 大乘起信論同異略集일으킨다고 보았다. ⑥ 삼신동이문(三身同異門)에서는 부처의 삼신설(三身說)에 관해서 비교하였다. 『성유식론』에서는 청정한 세계 그 자체인 자성신(自性身), 초지(初地) 이상의 보살이 얻는 타수용신(他受用身), 초지 이하의 보살과 이승(二乘) · 범부를 제도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변화신(變化身)의 삼신으로...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참알락팔랑나비 알락점희롱나비특징 날개모양이나 무늬에 의한 암수구별은 어려우므로 배끝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습성 산지의 양지바른 초지나 개울가 주변 초지에 서식한다. 맑은 날 수컷은 물가에 와서 흡수하거나 개망초, 엉겅퀴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또한 오전 중 햇빛이 강하게 내리쪼이면 낮은 풀 위에서 날개를 완전히 펴고 점유행동을...
- 분류 :
- 나비목 > 팔랑나비과
- 크기 :
- 몸길이 8~13mm, 날개 편 길이 20~30mm
- 학명 :
- Carterocephalus dieckmanni Graeser, 1888
- 분포지역 :
- 한국, 중국, 극동 러시아
- 출현시기 :
- 5월, 6월
-
평창군의 산업과 교통1960년에 고랭지농업시험장이 개설되면서 시장성이 높은 농업이 주로 이루어진다. 군면적 가운데 임야(1,222.38㎢)가 84%를 차지하며, 임야의 많은 지역이 초지로 고랭지농업과 목축업에 이용된다. 총 경지면적은 95.66㎢로 경지율은 7.8%에 지나지 않으며, 그 가운데 논 5.82㎢, 밭 89.85㎢로 밭이 훨씬 많다(2015). 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