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일야서 日夜書삶을 통해 중국 근현대사의 명암을 조망한 『일야서』는 지청 문학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격동하는 역사 속에서 인성의 본질을 묻는 진지한 필력은 중국 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거장의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역자 소개-심규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지은 책...
- 원제 :
- 日夜書
- 발행일 :
- 2016년 11월 30일
- 지은이 :
- 한사오궁
- 옮긴이 :
- 심규호, 유소영
- 출판사 :
- 민음사
- ISBN :
- 978-89-374-6346-4
- 페이지 수 :
- 620쪽
- 시리즈 번호 :
- 세계문학전집 346
-
조선문학논고 朝鮮文學論稿나뉜다. 조선전기의 김시습부터 한말의 김택영까지를 다룬 전근대 문학 분야의 논문이 10편, 신채호부터 윤동주에 이르는 근대 문학 분야의 논문이 9편, 그리고 한국과 중국의 문학을 비교 연구한 논문이 3편이다. 이 논문들은 처음에 옌벤대학 등에서 한글로 발표한 논문이었으나, 이 책에서는 모두 중문으로 번역되어...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박충록(朴忠祿)
- 창작/발표시기 :
- 1994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1책
- 간행/발행 :
- 베이징 베이징대학출판사(北京大學出版社)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시조 단가, 時調문화발전추진회, 연변단풍수필회, 연변시조시사, 연변녀류문인협회, 연변녀류시회, 연변어머니수필회, 연변소설가학회, 연변시인협회, 중국조선족문학연구회, 연변 조선족아동문학연구회, 연변아동문학회, 료녕심양시조선족문학회, 흑룡강성 조선족문학회, 북지문학회 그리고 연변내 각 현시의 작가협회, 녕안, 해림...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문학 文學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신채호는 친일적이며 흥미본위의 문학이 대두하는 것을 극력 경계하고, 민중을 일깨우며 민족광복운동에 기여하는 문학이 일어나야 한다고 하였으며, 망명지 중국에 가서는 그러한 주장을 더욱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한편, 이해조는 신소설 「화(花)의 혈(血)」(1911)의 서두와 결말에서 소설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불교문학 佛敎文學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등으로 이어졌다. 문학성을 구비한 인도의 불교문학은 불교전파와 더불어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중국은 인도 불교문학을 수용하면서 한편으로는 인도와 다른 경지를 개척했다. 중국은 구마라집(鳩摩羅什) 같은 한역가(漢譯家)의 노력으로 중국은 경전의 가르침과 문학성...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190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박지원과 정약용의 실학 세계 사실주의 문학의 시발점형성하면서 임금에 대한 절대 충성과 청렴주의, 그리고 주자학적 엄격성에 바탕을 둔 유교 이념을 다져나간다. 아울러 그들은 유교 이념의 발원지인 중국의 여러 문학 양식을 비판 없이 받아들인다. 조선 시대에 들어 사대부들은 유교의 규율에서 한치라도 벗어난 시도는 문학으로 인정하지 않는 극히 폐쇄적인 태도를...
- 시기 :
- 1901년
-
인왕산을 노래한 시문학동인, 송석원시사사이에 사신뿐만 아니라 상인 · 학자 · 승려들이 자유롭게 오가며 교류했지만, 조선 초부터는 국경을 폐쇄하고 사신만 오가게 했다. 한평생 중국 서적을 보며 중국의 문학과 철학, 역사와 지리를 공부했던 선비들이 정작 중국에 직접 가 볼 수 없게 된 것이다. 합법적으로 가 볼 기회는 사신, 또는 사신의 수행원이...
-
기행문학 紀行文學鉉)의 <금강산유산록 金剛山遊山錄> 등이 있는데, 실명씨의 작품까지 합하면 18편이나 된다. 공식적인 국외기행의 기록인 이른바 사행록(使行錄)류도 기행문학의 큰 몫을 차지한다. 우리나라는 지형적으로 중국과 일본에 에워싸여 있어 양국의 영향을 여러 면에서 많이 받아왔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외교...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
태평양전쟁의 발발과 마오쩌둥 사상의 성립예술이론과 운동을 비판했을 뿐 아니라 5·4운동 이래 혁명문학 논쟁 내부에서 일었던 ‘문예의 대중화’ 문제에 대해 확고한 해답을 제시했고, 향후 중국 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김학주 · 이동향, 『중국 문학사』 2, 방송통신대학출판부, 1989. 254쪽. 〈문예강화〉의 중요한 요점은 “문학과 예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