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조선인이총 교토귀무덤, 朝鮮人耳塚때문에 이 법회는 허구의 공양이었다. 임진왜란 당시 납치되었던 유학자 강항(姜沆)은 히데요시의 자민(慈愍)에 대해 비판한 바 있다. 에도시대 조선통신사 환영연회가 조선인이총 앞의 호코지[方広寺] 대불 앞에서 거행되었는데, 유학자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州]가 진언하고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가 중개하여...
- 시대 :
- 조선후기
- 문화재 지정 :
- 일본 정부 지정
- 건립시기 :
- 1597년 9월
- 성격 :
- 무덤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일본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차야마치[京都市 東山区 茶屋町]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개인숭배 North Korean cult of per..또한 1995년 김정일은 주 송운 정책을 발표했고, 이는 주체사상을 발전시키고, 국가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두 개의 주요 조선 뉴스 출판물 (로동 신문, 조선중앙통신사)는 "김씨 일가"에 관한 매달 약 300개의 기사를 발표한다.웹 인용 이 보고서는 또한 김정은이 사망하면서 조선의 일반 시민이 김씨일가를...도서 위키백과
-
기유약조 己酉約條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조약 체결에 대해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세견선(歲遣船)만 밝히고 있다. 조약의 명칭도 문헌에 따라 기유약조 · 기유개정약조(己酉改正約條) · 약조 · 기유년신정약조 · 송사약조(送使約條) · 만력기유년신정약조(萬曆己酉年新定約條) 등으로 달리 표기되어 있으며, 조약문의 내용과 조문수...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전화 電話을미개혁 · 을미사변 등 불안한 정정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896년 즈음, 경운궁(현재 덕수궁)을 중심으로 중앙부서를 연결하는 전화선과 더불어 서울과 조선의 대표적 개항장 인천 사이에 전화선 가설이 완료되어 공무용으로 이용되었다. 이 전화선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부서로 궁내부 소속의 통신사가 설치되었다...
- 유형 :
- 물품
- 분야 :
- 경제·산업/통신
-
계해약조 癸亥約條1426년 조선에서는 그들의 간청도 있고, 또한 새로운 문제 발생을 염려해 삼포(三浦)를 개항하고 무역을 허락하였다. 아울러 삼포와 서울에 왜관(倭館)을 설치하고 그 곳에 한해서만 왜인들의 숙박과 무역을 허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대마도주에게 입국증명서(圖書·書契·行狀·文引)를 만들어주어 입국하는 왜인은 이...
- 시대 :
- 조선
- 발생 :
- 1443년(세종 25)
- 성격 :
- 조약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변효문
-
일본왕환일기 日本往還日記사신으로 가던 전해에 황신은 심유경의 접반관(接伴官)으로 있었다. 조선 조정에서는 왜영(倭營)에 들어가 적정(賊情)을 살피도록 요구했는데, 심유경은 조선의 통신사와 같이 갈 것을 주장하였다. 다음 해 심유경의 조선사신 동행 주장이 여러 번 번복된 끝에, 같이 가되 사신이라는 명칭은 붙이지 말고 단지 두 사람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황신(黃愼)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견문록, 사행록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대한하키협회 大韓─協會발기로 조선하키협회가 창설되어 7월 10일 대한체육회에 가맹하였다. 그 뒤 1957년 9월 15일에 대한필드하키협회로 새로 발족하였다. 1958년 2월 국제하키연맹(F.I.H) 및 아시아하키연맹(A.H.F)에 가입하였으며 1966년 3월 대한하키협회(K.H.A)로 개칭되었다. 그리고 1966년 10월에 제39회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륜동의 올림픽회관 안
- 설립 :
- 1947년 6월 7일
- 성격 :
- 경기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최경달(崔敬達), 장태영(張泰瑩), 백삼출(白三出) 등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영가대를 배경으로 한 현대 문학 永嘉臺를 背景으로 한 現代 文學永嘉臺)는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대(子城臺)에 있는 정자이며, 조선 시대에 동구 범일동 경부선 철로 변에 있던 것을 다시 복원하였다. 한양에서 출발한 조선 통신사 일행이 부산에 도착하여 일본 쓰시마[대마도(對馬島)]로 떠나기 전에 항해의 안전을 기원하는 해신제를 올리던 곳이다. 이곳은 1614년(광해군 6...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동파관 동파건, 東坡冠墻) 또는 장식 무늬가 있는 형태도 있는데, 모두 모서리가 양 눈썹 사이에 오도록 쓰고 뒷면 중앙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드림이 두 개 달려 있다. 1811년 조선통신사 상상관을 그린 일본의 회화인 『갑신접사록(甲申接使錄)』, 『상서기문(象胥記聞)』에서 볼 수 있다. 셋째, 드림이 앞면에 두 개 뒷면에 두 개 달린...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의생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