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추바시야 Chuvashiya
    이 제조업들은 1930년대에 개발되었다. 마리인스키포사트와 코즐로프카는 볼가 강 유역의 목재업 중심지로 조립식 가옥, 철도 침목, 갱버팀목, 성냥용 재목이 생산된다. 마리인스키포사트에서는 조선업도 이루어지며, 식품가공업과 직물·가죽 제조업이 널리 행해진다. 화학공업은 부르나리에 발달되었는데 나무에서...
    위치 :
    러시아 서부 볼가 강 중류 오른쪽 기슭
    인구 :
    1,231,117명 (2018 추계)
    면적 :
    18,343㎢
    대륙 :
    유럽
    국가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모명재 慕明齋
    조선에 귀화한 뒤에 조선의 사대부들에게 명당을 잡아준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신도비 현재의 모명재는 1912년 경산객사(慶山客舍)가 철거될 때 그 재목을 사다가 두사충의 묘소 앞에 지은 건물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건물이 퇴락하자 1966년 2월에 중수했다. 모명재(慕明齋)라고 한 것은 고국인 명나라를...
    소재지 :
    대구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525길 14-21
    지역 :
    대구
  • 트리푸라 Tripura
    제조업은 대부분은 소규모로 이루어지는데 직조, 목공, 바구니 세공, 도기 제조 같은 가내공업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작은 업체들에서 차, 설탕, 재목, 벽돌, 양철 그릇, 과일 통조림, 신발·농기구를 생산한다. 트리푸라는 지형적으로는 외부와의 왕래가 어려운 데다 방글라데시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주...
    위치 :
    인도 북동부
    인구 :
    4,546,000명 (2018 추계)
    면적 :
    10,492㎢
    대륙 :
    아시아
    국가 :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모명재 慕明齋
    두사충(杜師忠)의 호인 ‘모명(慕明)’에서 유래된 것으로, 그는 귀화하여 대구에 정착하였다. 모명재는 1912년 경산객사(慶山客舍)가 헐리자 그의 후손들이 그 재목을 옮겨와 두사충의 묘소 앞에 지은 것으로, 건물이 너무 낡아 1966년 중수하였다. 건물의 이름을 모명재라고 한 것은 고국인 명나라를 사모한다는 뜻이다.
    건립시기 :
    조선시대
    성격 :
    건물
    유형 :
    유적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525길 14-21(만촌동)
    분야 :
    예술·체육/건축
  • 파라과이의 경제
    공장 건설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제조업이 GNP의 1/5을 차지하며 노동력의 약 15%가 종사한다. 주로 국내 원료를 바탕으로 해서 시멘트·고무·직물·조당·재목 등을 생산한다. 여러 가지 세금 특혜로 공업부문에 외국 투자가 활기를 띠고 있다. 특정 원료와 자본재의 수입관세가 낮은 편이다. 1976년부터 전력을 자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아메리카
  • 팽판 숙판(熟板), 烹板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소금을 넣는데, 과학적으로 소금이 진한 용매가 되어 나무가 가진 수액을 빼내 나무결을 삭이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판의 재목이 구해지면 먼저 필요한 부분을 가려낸 다음 판자 형태의 목판을 만든다. 이후 바다의 짠물에 일정한 기간 동안 목판을 담가 두어 판각하기 쉽게 나무의 결을...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조경 사척(士惕), 趙儆
    훈련원도정·한성부판윤을 거쳐 1599년 충청병사·회령부사를 지냈으며, 1604년 선무공신(宣武功臣) 3등에 책봉되고 풍양군(豊壤君)에 봉하여졌다. 그는 무신으로 사서(史書)를 두루 통하여 고사(古事)에 밝았고 늦게 급제하였으나 명망이 높아 사람들이 모두 대장의 재목으로 기대하였다. 시호는 장의(莊毅)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541년(중종 36)
    사망 :
    1609년(광해군 1)
    경력 :
    충청병사, 회령부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임진왜란
    직업 :
    공신,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풍양(豊壤)
  • 티치아노 베첼리오 Tiziano Vecellio
    작품 세계 형성에 영향을 받았다. 비평가들은 조수 신분이었던 티치아노의 작품에 강한 인상을 받았고, 지오르지오네와 함께 베네치아의 회화를 이끌어갈 재목으로 지목했다. 1510년 전염병으로 지오르지오네가 사망했고, 1516년 티치아노의 스승이었던 지오반니 벨리니도 사망했다. 그러나 이 시기 이미 티치아노는...
    출생 :
    1488?년
    사망 :
    1576년
  • 팍티아 Paktia
    호전적이기로 유명한 소수 부족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살고 있다. 대부분이 농사와 유목·반유목 형태의 가축사육에 종사한다. 제재업도 이루어지고 있어 재목의 일부는 수출되기도 한다. 주도 가르데즈에 카불과 가즈니로 가는 도로 연결점이 있는 것을 제외하면 팍티아 주는 주요도로가 없고 왕래도 드문 편이다...
    위치 :
    아프가니스탄 남동부
    인구 :
    570,500명 (2017 추계)
    면적 :
    6,431.8㎢
    대륙 :
    아시아
    국가 :
    아프가니스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주베르 Barthélemy-Catherine Joubert
    거의 확실했으나 그와 모로는 러시아의 수보로프와 전투를 치러야 했다. 그는 오스트리아와 러시아의 승리로 끝난 노비 전투에서 죽었다. 그의 재능이 실제로 비범했는지 확인되기도 전에 죽었지만 나폴레옹은 그가 위대한 장군이 될 재목이라 여겼으며, 프랑스인들은 오슈·마르소와 함께 그를 위대한 지도자로 꼽았다...
    출생 :
    1769. 4. 14, 프랑스 퐁드보
    사망 :
    1799. 8. 15, 이탈리아 노비리구레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인경궁 仁慶宮
    비하여 규모가 큰 궁궐이었다. 그런데 병자호란 뒤 1648년(인조 26)에 청인(淸人)들의 요구로 홍제원(弘濟院)에 역참(驛站)을 만들 때 청나라 사신들의 숙소 등의 건물을 새로 짓기 위하여 인경궁과 태평관의 건물을 허물어 재목과 기와를 사용하였으므로, 이 후부터 인경궁의 자취는 사라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성격 :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서양주목 西洋朱木, English yew
    유럽과 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동쪽으로는 히말라야까지 퍼져 있다. 재목을 취급하는 무역상들은 서양주목의 영어 이름 3가지 모두를 쓰고 있으며, 일부 식물학자들은 히말라야에서 자라는 개체들을 특히 히말라야주목(Himalayan yew)으로 분리하기도 한다. 키는 10~30m까지 자라고, 줄기에는 옆으로 퍼지는 가지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겉씨식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재목꾀꼬리큰버섯
재목꾀꼬리큰버섯
재목을 싯고 비탈을 달리는 차를 급정거 시켰을 때의 재목 운동(상)과 정지 관성을 이용한 장난감 떨어뜨리기(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