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농민문학논쟁 農民文學論爭
    문학과 일치하더라도 엄밀하게 프로 문학의 '동맹문학'으로서 독자적 지위를 가져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런 이론은 백철의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일본의 이론, 특히 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唯人]의 이론을 빌려온 것이었다. 이에 안함광은 〈농민문학의 규정 문제〉(비판, 1931. 12)에서 백철의 농민문학론에 대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시조 단가, 時調
    형태로 종장만으로 이루어진 단장시조(單章時調)가 창작되기도 하였으나 일본의 전통 정형시인 와카[和歌]의 영향으로 여겨지며, 지나친 작위성으로 인해 지속...대한 논의는 형식의 연원과 형성시기를 따져야 하고, 형식은 다시 문학적 형식과 음악적 형식의 연원이 규명되어야 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문학적 형식으로...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고전시가
  • 192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임화 시대의 전위에 선 불패의 정신
    시가 계급주의 문학에 접근하는 리얼리즘을 지향하면서도 일정한 감상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비판이 따른다. 이에 임화 자신도 반성을 하고 계급 문학에 좀더 충실하기 위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다. 그는 이북만의 집이자 카프의 도쿄지부인 ‘무산자사’에서 지내며 김남천 · 안막 · 김두용 등과 함께 ‘무산자파’에...
    출생 :
    1908년
    사망 :
    1953년
  • 여성문학 페미니즘 문학, 女性文學
    작가를 ‘여자’ ‘부녀’ ‘여인’ ‘여사’로 지칭하였고 1930년 전후에 문단, 작가 앞에 ‘여류’라는 한정사를 붙여 호칭하였다. ‘여류문학’이라는 용어는 1930년대에 일본에서 쓰는 용어를 비판 없이 수입한 것이다. 광복이전에 여류문학이 부정적 평가나 어떤 문학적 특성을 암시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은 당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이광수 춘원(春園), 李光洙
    일을 맡았다. 1905년 8월 일진회(一進會)의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일본으로 건너가 1906년 3월 다이세중학[大城中學]에 입학하였으나 학비 곤란으로 같은 해 11월...학보(白金學報)』 제19호에 일본어로 쓴 「사랑인가」를 발표하며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하였다. 1910년 『소년』에 신체시 「우리 영웅」을 발표...
    시대 :
    근대
    출생 :
    1892년(고종 29)
    사망 :
    1950년 10월 25일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2·8독립선언, 수양동우회사건
    직업 :
    소설가, 언론인, 친일반민족행위자
    대표작 :
    사랑인가, 무정, 검둥이의 설움, 소년의 비애, 개척자, 허생전, 재생
    성별 :
    남자
    분야 :
    문학/현대문학
    본관 :
    전주(全州)
  • 다이요 太陽, Taiyo
    1895년부터1928년까지 간행되었으며 특히 문학비평, 일본문학, 서양문학 번역으로 유명하다. 실용적·지적·철학적 주제를 폭넓게 다루었으며 문학란의 편집자인 다카야마 조규[高山樗牛:1871~1902]와 하세가와 덴케이[長谷川天溪:1876~1940]는 특히 이 잡지를 통하여 후기 낭만주의와 자연주의 문학을 대중화하는 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195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후반기 동인 동인지 없는 동인'이라는 이채로운 기록을 남기다
    문예』 · 『문학』 등에 초현실주의 시와 시론을 발표하던 그는 피난지에서 김경린 · 박인환 등을 만나 후반기 동인에 참여하게 된다. 조향의 시는 1930년대에 나온 이상의 「오감도」 이후에도 우리 시단에 초현실주의 또는 다다이즘의 맥이 이어지고 있음을 증명해 보인다. 조향, 「바다의 층계」 일부 낡은...
    시기 :
    1951년
  • 197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박남수 현대 문명의 원시적 건강성과 자유를 추구한 ‘새..
    를, 『조선문단』에 희곡 「기생촌(妓生村)」을 투고하고, 이 밖에도 여러 문예지에 「여수」 · 「제비」 · 「행복」 · 「삼림」 등을 투고하며 일찍부터 문학에 관심을 보인다. 숭인상업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으로 건너간 그는 주오(中央)대학에서 공부하면서, 김종한의 권유로 1939년 『문장』에 투고한 「초롱불...
    출생 :
    1918년
    사망 :
    1994년
  • 김두용 金斗鎔
    노동자 계급 국제주의 원칙에 따라 이론적·실천적으로 활동했고 정치적 과제에 부응하는 문예운동론을 펼쳐 정치와 문학을 직접 연결하려고 노력했다. 3·1운동 뒤 일본 도쿄제국대학 문학부에서 미학을 공부하다가 중퇴하고 1927년 10월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KAPF) 도쿄지부 결성에 참여하여 재정부 상임위원...
    출생 :
    함남 함흥, 1902
    사망 :
    미상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197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이병주 ‘지리산’에 새긴 민족 수난사
    무장한 작가였던 그의 죽음은 한국 문학의 부피를 늘려온 보기 드문 대형 작가의 상실이라는 점에서 큰 아쉬움을 남긴다. 이병주는 일제 강점기인 1921년 경남...확보를 위한 준비 과정으로 인고 단련(忍苦鍛鍊)이라는 훈련 시간을 두는데, 이 때 진주중학을 잠깐 보자. 일인 교장이 “일본을 위하여······.”라고...
    출생 :
    1921년
    사망 :
    1992년
  • 해외문학 海外文學
    종간되었다. 창간호는 편집 겸 발행인이 이은송(李殷松)으로 서울에서 간행되었고, 제2호는 편집 겸 발행인이 정인섭(鄭寅燮)으로 일본 동경(東京)의 외국문학연구회(통칭 해외문학연구회)에서 발행되었다. 의의와 평가 『해외문학』은 그 면수도 많지 않고 2호를 발간한 데 지나지 않았으나, 그 동인들은 이른바 ‘해외...
    시대 :
    근대
    저작자 :
    이은송, 정인섭
    창작/발표시기 :
    1927년 1월 17일(창간), 1927년 7월 4일(종간)
    성격 :
    회보, 문예잡지, 기관지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해외문학연구회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무정 無情
    여 만에 탈고. 8월 수양동우회 사건 이심에서 오 년 징역을 선고받고 곧 상고. 일본 작가 기쿠치 간, 도쿠나가 스나오, 총독부 학무국장 시오바라, 정인섭 등과...무정』 등이 발매 금지 처분을 당함. 모던일본사 주최의 제1회 조선예술상(문학 부문) 수상. 조선문인협회 회원 서른일곱 명과 묵동의 지원병 훈련소를...
    원제 :
    無情
    발행일 :
    2010년 7월 2일
    지은이 :
    이광수
    책임 편집 :
    정영훈
    출판사 :
    민음사
    ISBN :
    978-89-374-6250-4
    페이지 수 :
    568쪽
    시리즈 번호 :
    세계문학전집 250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