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굴라크 Gulag
    수백 만 명을 수용하기도 했다. 굴라크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수용소 군도, 1918~56〉(1973)가 나오고 나서 서방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 책의 제목은 소련 전역에 흩어져 있는 노동수용소들을 군도에 비유한 데서 나온 것이다. 소련의 강제노동수용소 제도는 1919년 4월 15일자 소비에트 법령에 따라 시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조력발전 潮力發電, tidal power
    닫힌다. 간조로 인해 터빈을 작동시킬 만큼 충분한 낙차(落差)를 얻을 때 물을 방출하기 시작한다. 즉 터빈은 저수지로 흘러들어온 조류로 작동된다. 1969년 소련은 백해(白海) 부근에 약 1,000kW 용량의 조력발전소를 건설했다. 다른 유망지역으로는 캐나다에 있는 펀디 만인데, 이곳의 조차는 15m 이상이다. 비록 조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기/전자
  • 북부군집단 (소련) Northern Group of Forces, 苏军北方集群
    1945년 1월 비스툴라-오데르 공세가 시작될 때쯤이면 모든 폴란드의 도시는 소련군에게 해방되었고, 명목상 폴란드의 주권은 회복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소련이 폴란드 공산주의 괴뢰 정권을 수립하기 위해 폴란드는 소련군과 소련 보안병력이 통제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소련군의 동유럽 주둔군은 한번...
    도서 위키백과
  • 소련 공산당 대회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
    소비에트 연방공산당대회, 약칭 소공당대회는 소련 공산당 및 그 전신들의 전당대회다. 당강령에 따르면 소련 공산당의 총괄 지배기구는 대회다. 하지만 실권은 중앙위원회(당중앙)에 있었다. 1920년대까지는 매년 대회가 개최되다가, 이오시프 스탈린 집권기인 1939년에서 1952년 사이에는 한 차례도 대회가 열리지...
    도서 위키백과
  • 스푸트니크 sputnik
    스푸트니크 (1호)는 소련이 1957년 10월 4일 지구 저궤도로 발사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이다. 스푸트니크는 러시아어로 ‘여행의 동반자’라는 뜻이다. 러시아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는 이 인공위성에서 따온 이름이다. 스푸트니크의 발사 성공은 미국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를 ‘스푸트니크 쇼크...
  • TU-144 TU-144
    1968년 12월 시험비행한 뒤 1970년 5월 모스크바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이 비행기는 전장이 65.7m, 날개길이가 28.8m이고 정상 순항속도는 마하 2.2(2,300㎞/h)이다.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후퇴각이 있는 '2중 3각' 날개, 이착륙시 비행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날개 바로 뒤쪽 동체로부터 회전하는 콧수염 모양의 앞날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항공
  • 감사관 監査官, prokuratura
    소련 헌법은 감사원장(generalny prokuror)에게 정부 각 부처 및 하부기관, 공무원 개인 및 시민이 법을 준수하도록 감독하는 책임을 부여했다. 감사관은 모든 공무원과 시민이 헌법과 법률을 엄수하도록 책임지는 감시자일 뿐 법원 또는 심판소(tribunal)의 수장은 아니다. 이러한 감사관 조직은 KGB(Komitet...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사라진 소련 우주비행사 Lost Cosmonauts, 幽灵宇航员
    사라진 소련 우주비행사란 유리 가가린 이전에도 우주로 나갔던 소련 우주비행사들이 있으나, 소련 및 그 후신인 러시아에서는 그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음모론이다. 가가린의 첫 유인우주비행 이전에 소련은 두 차례 이상의 우주비행을 계획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최소 두 명의 우주비행사가 희생됐다는 것이다. 또...
    도서 위키백과
  • 시리아 주재 소련 군사고문단
    군대 정보 시리아군 내 소련 군사 전문가 그룹Как сообщает полковник М. В. Разинков, сочетание «Группа советских военных специалистов» в повседневной работе фактически никем не...
    도서 위키백과
  • 남·북한의 정치적 혼란
    한반도는 해방 직후 38선을 기준으로 남쪽에는 미국이 북쪽에는 소련이 진주하며 각각 상이한 세계로 변모되고 있었다. 이와 함께 미국과 소련은 남북한에서 별도의 정부를 세워 자신의 위성국가로 만들려는 야심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소련은 북한에 공산주의 정부를 세우며 남한까지 적화시키려 하였다. 하지만 남한...
    시대 :
    1945년~1950년
  • 소련의 정부수반 Premier of the Soviet Union, ソビエト..
    소련의 정부수반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СССР; 이하 소련)의 정부수반이다. 소련이라는 국가가 존재하는 동안 총 열두 명의 사람이 정부수반의 자리를 지나갔다. 그 중 두 명은 재임 중에 자연사했고(레닌, 스탈린), 세 명은 사임하였으며(코시긴, 티호노프, 실라예프), 서기장직과 정부수반직을 겸임한...
    도서 위키백과
  • 계획경제의 역사
    처음부터 생산수단의 국유화를 단행하면서 중앙집권적 경제계획을 실시했다. 사실상 1917~20년의 내전기와 1921~25년의 경제부흥기에는 이제 막 탄생한 소련이 국가존망의 위기에 직면해 있었기 때문에 사실상 중앙집권적 경제체제를 본격적으로 실시할 여유가 없었다. 그러나 1921년 2월에는 고스플란(Gosplan...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