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베트셰아림 Bet She'arim
    동북동쪽으로 5㎞가량 떨어진 곳에는 유대 율법학자들의 문헌에 자주 언급되는 고대 베트셰아림(히브리어로 '문의 집'이란 뜻)이 있다. 베트셰아림은 랍비 유다 하 나시(135경~220)가 랍비들의 최고 법정 산헤드린을 관장하고 죽은 뒤 묻힌 곳으로 상술되고 있다. 그후 2세기 동안 이곳은 유대인들의 중앙묘지가...
    위치 :
    이스라엘 북부
    인구 :
    762명 (2016 추계)
    면적 :
    2.2㎢
    대륙 :
    중동
    국가 :
    이스라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모르데차이 엘리야후 Mordechai Eliyahu
    1950년대 초 엘리는 10개월간 감옥에 수감되었다. 그 이유는 이스라엘에서의 신정 수립을 옹호하는 조직을 공동으로 설립했기 때문이다. 그는 1953년 랍비 및 종교 재판관 연구소를 졸업하고 이어서 이스라엘 종교재판소의 가장 젊은 판사가 되었다. 그는 또한 이스라엘의 세파르디어 유대인들을 위한 수석 랍비를 10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빌뉴스 Vilnius
    유대인의 문화생활의 중심지였다(아슈케나지). 1568년에 시작된 이 공동체는 17세기 중엽에 이르러 시 전체인구의 20%로 구성되었다. 18세기 이 공동체는 랍비 엘리야 벤 솔로몬의 영향을 받아 종교적·정신적으로 결정적인 성장을 하면서 랍비 학문으로 유명해졌는데, 이러한 연구로 1799~1938년에 지금까지도 규범이...
    위치 :
    네리스 강과 빌니아 강 합류 지점
    인구 :
    541,000명 (2023년 추계)
    면적 :
    401㎢
    언어 :
    리투아니아어
    대륙 :
    유럽
    국가 :
    리투아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율법학자 律法學者, sofer
    관리하는 중요한 임무를 맡고 있으나 종교적인 지위가 전연 없는 사람을 지칭했다. 에즈라와 그의 제자들은 오늘날까지 유대교의 근본적인 특징을 전해주는 랍비 학문의 전통을 창시한 사람들이었다. 이 율법학자들이 사라지면서 그들이 갖고 있던 성서적인 학문의 전통은 주로 바리사이파 사람들이 이어받았고, 그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크레스카스 Ḥasdai ben Abraham Crescas
    유대인의 사고 속에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적 합리주의의 전통을 비판했으며 아라곤 왕실의 랍비로 활동했다. 바르셀로나의 상인이며 유대인 자치단체 지도자(1367)로서 후안 1세가 즉위한 후 아라곤 왕실과 매우 가까이 지내 '왕실 가족'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왕의 칙령에 의해 유대 법률이 정한 유대 공동체의 사법권과...
    출생 :
    1340
    사망 :
    1410, 스페인 사라고사
    국적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최고 랍비단 chief rabbinate
    大)산헤드린이었다. 유대인에게는 중앙권위기관이 없었기 때문에, 족장제도가 425년 무렵까지 로마의 지원 아래 그 역할을 맡았다. 비록 엄밀한 의미에서 모든 랍비의 종교적 권위가 똑같다고 할지라도, 여러 유대교 공동체들은 랍비장이 있음으로 해서 얻어지는 실질적인 이득을 알고 있었다. 더구나 유대인의 이익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모세스 Moses de Leon
    책인 〈세페르 하 조하르 Sefer ha-Zohar〉의 저자로 추정되는 인물이며, 이 책의 영향력은 여러 세기에 걸쳐 〈구약성서〉 및 율법·민담·주석에 대한 랍비들의 해설서인 〈탈무드〉에 버금갔다. 모세스 데 레온의 생애는 대부분의 유대교 신비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분명치 않다. 1290년까지 과달라하라(스페인에...
    출생 :
    1250, 스페인 레온
    사망 :
    1305, 아레발로
    국적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할리차 halitza
    재산을 취할 때 그 위를 걸음으로써 실제적으로 그것을 소유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신발은 소유를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스도교 시대가 열리기 훨씬 전 랍비들은 죽은 남편의 형제와 결혼하는 레비레이트(levirate)보다 할리차를 더 선호하여 이를 마땅히 따라야 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죽은 자의 형제가 이미 결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춘츠 Leopold Zunz
    일을 하다가(1824~31) 이후 베를린에 있는 유대교 교사양성을 위한 신학교에서 교사 겸 원장으로 일했다(1840~50). 유대주의 과학 운동은 그의 신학저술 〈랍비 문헌에 관하여 Etwas über die rabbinische Literatur〉(1818)를 효시로 시작되었다. 이 저작에서 그는 최초로 성서 이후 유대 문헌의 방대함과 아름다움을...
    출생 :
    1794. 8. 10, 리페 데트몰트
    사망 :
    1886. 3. 18, 베를린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헤르츠 Joseph Herman Hertz
    시로 이민했고, 새로 설립된 아메리카 유대교신학교를 제1회로 졸업했다. 1894~96년 뉴욕 시러큐스의 한 회당에서 영적 지도자로 일한 다음 요하네스버그에서 랍비 임명을 받았다. 보어 전쟁에서 영국 편을 들고, 정부가 유대인과 로마 가톨릭교도들의 신앙을 제약하는 것에 열렬히 반대하여 폴 크루저 대통령의 명령...
    출생 :
    1872. 9. 25, 헝가리 레브레니
    사망 :
    1946. 1. 14,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예수의 생애와 사목
    기도, 메시아의 마지막 도래에 대한 기대 등) 예루살렘의 순례에 참가했다. 경건한 분위기에서 성장한 듯하며, 그가 신학적 교육을 받았음은 그의 가르침과 '랍비'(선생)라는 명예로운 이름에서 밝혀지는데, 그 시대에 랍비라는 칭호는 훈련되어 임명된 율법학자라는 직업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었다. 예수의 초기생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하브루타 Chavruta, חַבְרוּתָא
    정해 토론식으로 진행하는데 이를 ‘시우림(Shiurim)’이라 한다. 토론식 학습법에 대한 생각은 《탈무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탈무드》에 등장하는 랍비 요세 벤 하니나(Jose b. Hanina)는 “토라를 공부하기 위해 혼자 앉아 있는 학자들은 어리석다”고 말하기도 했다. 대화와 토론을 통한 하브루타 학습법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랍비의 고양이(전 2권)
《탈무드》를 읽고 토론하는 랍비들
19세기 개혁파 유대교 랍비인 아브라함 가이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