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의중 치원(致遠), 尹毅中
    관사(同知春秋館事)를 겸직하였고, 아울러 『명종실록』의 편찬사업에 참여하였다. 1572년(선조 5) 평안도관찰사, 이듬해 병조참판·대사헌을 거쳐, 1574년 대사간·예조참판·대사헌·부제학을 역임하였다. 1581년 형조판서에 올랐는데, 재산을 많이 모아 호남에서 제일 가는 갑부라는 탄핵을 받았다. 1589년 정여립...
    시대 :
    조선
    출생 :
    1524년(중종 19)
    사망 :
    1590년(선조 23)
    경력 :
    승정원동부승지, 평안도관찰사, 병조참판, 대사헌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정여립의 옥사
    직업 :
    문신
    성별 :
    남자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해남(海南)
  • 채침 중부(仲孚), 효부(孝孚), 蔡忱
    한 뒤 수찬(修撰)·지평(持平)을 지냈다. 1515년 8월 박상(朴祥)·김정(金淨) 등이 중종의 원비(元妃)인 단경왕후(端敬王后)를 복위하자고 상소하였는데, 대사헌 권민수(權敏手), 대사간 이행(李荇) 등과 함께 반대하였다. 1516년 교리로서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고, 곤양군수·장령(掌令)·집의(執義)·응교(應敎...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대사헌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평강(平康)
  • 이익회 좌보(左甫), 李翊會
    대사성을 거쳐 1827년 이조참의가 되었다. 1834년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에 올라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갔다. 1835년(헌종 1) 돌아와 대사헌이 된 뒤 여러 번 거듭해서 대사헌의 직을 지냈으며, 1843년 한성부판윤에 이르렀다. 글씨에 능하였으며, 작품으로 「삼우당문익점신도비(三憂堂文益漸神道碑)」를 썼다...
    시대 :
    조선
    출생 :
    1767년(영조 43)
    사망 :
    1843년(헌종 9)
    경력 :
    김제군수, 대사성, 이조참의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삼우당문익점신도비(三憂堂文益漸神道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의(全義, 지금의 충청남도 연기)
  • 김당 金璫
    올랐다. 1512년(중종 7)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이듬해 동지중추부사로 경직에 다시 들어왔다. 이어 한성부우윤, 경기도·전라도·경상도의 관찰사와 대사헌 및 공조·형조·병조·호조·예조의 참의 등 요직을 거쳤다. 특히, 1519년 기묘사화 때에는 호조참판으로서 조광조(趙光祖) 일파의 처벌에 참여해 변호하는...
    시대 :
    조선
    출생 :
    1465년(세조 11)
    사망 :
    1532년(중종 27)
    경력 :
    좌찬성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경주(慶州)
  • 이호익 사유(士猷), 李鎬翼
    1877년 성균관대사성이 되었고, 1878년에는 참의를 지냈다. 1880년 예방승지를 지냈고, 갑신정변이 일어나던 1884년에는 이조참판이 되었다. 1885년 사헌부대사헌이 되었으며, 1886년에는 충주목사를 지냈다. 1891년 한성부판윤과 형조판서에 임명되었고, 동지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92년 사헌부대사헌과 의정부...
    시대 :
    근대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이조참판, 충주목사,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민신 돈암(遯菴), 閔伸
    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호는 돈암(遯菴).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세종 대에 장령·승지·공조참판·형조참판·대사헌 등을 지냈다. 1443년(세종 25) 대사헌으로 있으면서 민신(閔伸)·정창손(鄭昌孫)·하위지(河緯地)·양성지(梁誠之) 등과 함께 공법(貢法)을 논의하였다. 문종 때 병조판서를...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453년(단종 1)
    경력 :
    병조판서, 이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 남세준 정경(正卿), 南世準
    죄는 있으나 너그럽게 법을 좇도록 왕께 건의하였으나, 남세준은 사간으로서 조광조를 죄줄 것을 요청하였다. 1521년 제용감정·선공감정, 1525년 좌승지·대사헌을 거쳐, 이듬해 왕실의 도(道)를 엄하게 할 것을 건의하고 호조참의가 되었다. 1527년 승지·우승지가 되고 이듬해 예조참판이 되었다. 1529년 한성부우윤...
    시대 :
    조선
    출생 :
    1478년(성종 9)
    사망 :
    1533년(중종 28)
    경력 :
    이조참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의령(宜寧)
  • 이목연 백춘(伯春), 李穆淵
    그 뒤 지평(持平)·이조참의·이조참판·한성판윤을 역임하였다. 1843년(헌종 9)에 동지 겸 사은정사(冬至兼謝恩正使)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대사헌·호조판서를 거쳐 1847년 광주유수(廣州留守)로 있을 때, 전날 대사헌으로서 조병현(趙秉鉉)의 탐학과 전권을 휘두르는 것에 대해 탄핵한 소장(疏章)에 과격한...
    시대 :
    조선
    출생 :
    1785년(정조 9)
    사망 :
    1854년(철종 5)
    경력 :
    이조참의, 전라감사, 형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주(全州)
  • 이세영 자실(子實), 李世英
    지내고, 1501년 강원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한성부우윤으로 재직중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공조참판을 거쳐 중종반정 후 대사헌을 역임하였다. 대사헌 재직시 원종공신의 개정을 요구하여 이를 실현시켰으며, 이어 1508년(중종 3)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개성부유수 재직중 죽었다. 평소 몸가짐이 맑고...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510년(중종 5)
    경력 :
    병조정랑, 대사헌, 동지중추부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중종반정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양성(陽城: 지금의 경기도 안성)
  • 이헌기 치규(稚圭), 李憲琦
    거쳐 다음해 가선대부로 가자되었다. 1820년 대사성에 임명되었으나 얼마 뒤에 체차(遞差: 관직이 교체됨.)되고 다음해 도승지·대사헌, 빈전당상, 우참찬을 역임하였다. 1822년 대사헌, 예조판서·수원부유수·우참찬·장례원제조를 지냈으며 다음해 장례원당상·판의금부사·좌참찬, 비변사제조·이조판서·공조판서를...
    시대 :
    조선
    출생 :
    1774년(영조 50)
    사망 :
    1824년(순조 24)
    경력 :
    이조참의, 대사헌, 예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주
  • 성세순 태순(太純), 成世純
    1505년 전라도관찰사로 나갔다가 다시 돌아와 호조참판에 임명되었고, 다음 해에 명나라에 성절사(聖節使)로 다녀왔다. 중종이 즉위한 뒤에 한성부좌윤·대사헌·형조참판·충청도관찰사·호조참판·형조참판·이조참판·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연산군일기』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성품이 민첩하고 국량(局量)이...
    시대 :
    조선
    출생 :
    1463년(세조 9)
    사망 :
    1514년(중종 9)
    경력 :
    한성부좌윤, 대사헌, 형조참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창녕(昌寧)
  • 정원하 성조(聖肇), 鄭元夏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 다시 관직에 등용되어 1882년 사간원대사간에 제수되었다. 1892년 우승지를 지낸 뒤 진급하여 이듬해 사헌부대사헌에 제수되었고, 그 뒤 대사간과 대사헌을 한차례씩 더 역임하였다. 조선의 개항기에 삼사(三司)의 요직을 두루 거치고 사간원·사헌부의 장관까지 지내기는 하였으나 뚜렷한 행적...
    시대 :
    근대/개항기
    출생 :
    1855년(철종 6)
    사망 :
    미상
    경력 :
    대사헌, 대사간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연일(延日)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