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속예능 시리즈(제2집) 승전무
    부처님에 바치는 신공양(身供養) 행위로서 의식절차에 따라 15가지로 나누어진다. 나비의 날개처럼 넓은 소매가 달린 흰 장삼을 입고 화려하게 장식한 큰 고깔을 쓰고 추는 이 춤은 처음부터 끝까지 고개를 움직이지 않고 정중한 자태로 춘다. 그리고 이 춤을 출 때 때로는 모란꽃을 양손에 하나씩 들고 추기도 한다. 2...
    발행일 :
    1975.4.20
    발행량 :
    30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10원
    디자인 :
    승전무
    우표번호 :
    949
    인면 :
    26×36
    천공 :
    13
    전지구성 :
    10×5
    용지 :
    백색 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4도색
    디자이너 :
    전희한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민속예능 시리즈(제2집) 나비춤
    부처님에 바치는 신공양(身供養) 행위로서 의식절차에 따라 15가지로 나누어진다. 나비의 날개처럼 넓은 소매가 달린 흰 장삼을 입고 화려하게 장식한 큰 고깔을 쓰고 추는 이 춤은 처음부터 끝까지 고개를 움직이지 않고 정중한 자태로 춘다. 그리고 이 춤을 출 때 때로는 모란꽃을 양손에 하나씩 들고 추기도 한다. 2...
    발행일 :
    1975.4.20
    발행량 :
    30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10원
    디자인 :
    나비춤
    우표번호 :
    948
    인면 :
    26×36
    천공 :
    13
    전지구성 :
    10×5
    용지 :
    백색 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4도색
    디자이너 :
    전희한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일반우표 2,530원
    금판 4매를 결합한 형태인데, 상부는 반원형이고 밑으로 내려갈수록 넓어집니다. 아랫단은 활처럼 휘고 양끝이 처져 있어, 얼핏 보면 손바닥을 합장한 듯한 고깔 모양입니다. 우표의 배경에 있는 신라의 말탄사람모양 토기(기마인물형토기)를 보면 당시 관모를 어떻게 착용했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978년 12월 7일...
    발행일 :
    2022. 11. 11.
    발행량 :
    1,000,000장(수요에 따라 계속 발행)
    종수 :
    1
    액면가격 :
    2,530원
    디자인 :
    천마총 관모
    우표번호 :
    3626
    인면 :
    23×33
    천공 :
    13
    전지구성 :
    6 × 5
    용지 :
    평판원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 4도 / 금분/ 보안인쇄
    우표크기 :
    26×36
    디자이너 :
    박은경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일반우표 1,000원
    금판 4매를 결합한 형태인데, 상부는 반원형이고 밑으로 내려갈수록 넓어집니다. 아랫단은 활처럼 휘고 양끝이 처져 있어, 얼핏 보면 손바닥을 합장한 듯한 고깔 모양입니다. 우표의 배경에 있는 신라의 말탄사람모양 토기(기마인물형토기)를 보면 당시 관모를 어떻게 착용했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978년 12월 7일...
    발행일 :
    2022. 11. 11.
    발행량 :
    1,000,000장(수요에 따라 계속 발행)
    종수 :
    1
    액면가격 :
    1,000원
    디자인 :
    대금
    우표번호 :
    3625
    인면 :
    33×23
    천공 :
    13
    전지구성 :
    5 × 6
    용지 :
    평판원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 4도 / 보안인쇄
    우표크기 :
    36×26
    디자이너 :
    김미화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장김치
    세 쪽 정도 낸다. 6. 단감과 배는 껍질을 벗겨 무와 비슷하게 썬다. 7. 쪽파는 흰 부분만 길이 3.5cm정도로 썰고, 마늘과 생강을 곱게 채 썬다. 8. 잣은 고깔을 떼고 마른 행주로 닦는다. 9. 3에 썰어 놓은 모든 재료를 넣어 버무려 하루쯤 두었다가, 국물 간을 맞추어 부어 덮어 익힌다. 참고사항 장김치는 달고 고소한...
    분류 :
    부식류 > 김치류
    성격 :
    가열하지 않는 음식 > 소금이나 장류에 절이는 음식
  • 금강제비꽃 金剛─
    5월에 피며 땅 속에서 피는 페쇄화이다. 꽃자루는 잎 길이의 1/5∼1/3이며 중앙 윗 부분에 2개의 포가 있다. 꽃받침잎은 털이 없다. 삭과(蒴果)는 길이 13㎜정도로서 자주색 무늬가 있다. 종자는 너비 2∼2.5㎜이다. 얼핏 보기에 고깔제비꽃 비슷하지만 꽃이 희고 땅 속에서 피는 페쇄화인 것과 지하경이 있는 것이...
    분류 :
    제비꽃과
    성격 :
    식물, 풀
    유형 :
    동식물
    학명 :
    Viola diamantica NAKAI.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4∼5월
  • 장김치
    3cm 길이로 썰고, 흰 파는 채 썬다. 4. 배는 무와 같은 크기로 썰고, 석이버섯과 표고버섯은 물에 불려 채 썬다. 5. 밤은 껍질을 벗겨 편으로 썰고, 잣은 고깔을 떼어 놓는다. 6. 마늘과 생강은 채 썰고, 실고추는 2cm 길이로 자른다. 7. 따로따로 절여진 배추와 무는 건지고 간장국물은 따로 둔다. 8. 배추와 무 이외의...
    도서 전통저장음식 | 태그 음식 , 레시피
  • 수영들놀음 수영야류
    원형무대의 주위에는 모닥불을 피워 조명을 밝혔다. 놀이판 주변에 개복청(改服廳)을 설치했으며, 관중들은 머리에 촛농이 떨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종이고깔을 써야 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큰 등이나 작은 등은 미리 준비하여 길놀이에 사용하고 난 후 놀이판에 설치하는 것이다. 보름날 저녁에 놀이에 앞서 고사를...
    문화재 지정 :
    1971.02.24
    소재지 :
    부산광역시 수영구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43호
  • 두텁떡 봉우리떡
    믹서에 갈아 섞는다. 5. 체에 내린 팥고물에 간장, 설탕, 꿀, 계핏가루, 후춧가루를 넣어 고루 섞은 후 팬에 보슬보슬 볶아 식혀 다시 체에 내린다. 6. 잣은 고깔을 떼고, 밤과 대추는 잣 크기로 자르고, 호두는 속껍질을 벗겨 잘게 썬다. 유자청 건더기는 다진다. 7. 6의 재료에 유자청을 잘 섞어 1cm 완자를 빚어 살짝...
    분류 :
    떡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백자편 잣엿강정
    식재료 잣 1컵 부재료 <즙청액> 물엿 25g, 설탕 25g, 식초 1/3작은술, 소금, 식용유 약간 조리방법 1. 잣은 고깔을 떼어 내고 마른 면포로 문질러 닦아 먼지를 제거한다. 2. 설탕과 물엿에 약간의 소금을 넣은 후 중불에서 설탕을 녹이고 끓으면 약간의 식초를 넣어 중탕하면서 더 이상 굳지 않도록 한다. 3. 약한 불...
    분류 :
    다과류 > 과정류 > 엿강정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약간의 수분을 양념과함께 넣고 익혀 양념이 식품에 스며들게 하는 음식
  • 천선대 天仙臺
    하늘에서 천녀가 이 봉우리에 내려와 즐겼다는 전설에서 천선대라 부르게 되었다. 자연환경 중생대 쥐라기에 마그마가 관입하여 생긴 화강암으로 만들어져 고깔 모양 또는 원추형으로 되어 있다. 천선대를 오르는 길에는 금강마을의 노인이 샘터에 이르러 물을 마신 후 지팡이를 잊어버린 지도 모르고 한달음으로 천선대...
    문화재 지정 :
    북한 천연기념물 제216호
    성격 :
    지형지물
    유형 :
    지명
    면적 :
    높이 936m
    소재지 :
    북한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놋젓가락나물 제추(帝秋)
    꽃이 달린다. 꽃의 수는 많지 않고 한쪽으로 몰린다. 꽃자루는 다소 짧으며 잔털이 있다. 5개인 꽃받침 조각은 꽃잎처럼 생겼는데 뒤쪽에 있는 꽃받침 조각은 고깔처럼 생겼고 옆에 달린 조각은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의 원형, 밑의 조각은 긴 타원형이다. 수술은 여러 개인데 수술대는 밑 부분이 날개 모양으로 넓게...
    학명 :
    Aconitum ciliare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지의 숲속
    번식 :
    분근·씨
    약효 부위 :
    덩이뿌리·꽃
    생약명 :
    초오(草烏)
    키 :
    2m 정도
    과 :
    미나리아재빗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가을
    취급요령 :
    햇볕이나 불에 말려 쓴다.
    특징 :
    평온하며, 맵다.
    독성여부 :
    있다.
    1회 사용량 :
    1~1.5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노랑돌쩌귀·투구꽃·이삭바꽃의 덩이뿌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9건

고깔
고깔
승려의 고깔
승무 / 이매방
고깔해파리
고깔 동기
고깔 양배추
고깔제비꽃
고깔제비꽃
고깔양배추
고깔양배추
고깔제비꽃
고깔양배추
고깔제비꽃
제비고깔
제비고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