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구 동대사 고려불경 일괄 大邱 東大寺 高麗佛經 一括
    개설 대구 동대사 소장의 고려시대 전적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두 가지 각1축과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 1축, 『불설치성광대위덕금륜왕소재길상다라니경(佛說熾盛光大威德金輪王消災吉祥陀羅尼經)』 1축으로 이루어진 4축의 불경으로, 모두 권자본(卷子本)이다. 『대방광불화엄경』 권12는 고려...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고려국신조대장교정별록 교정별록(校正別錄),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綠
    저자 및 편자 고려 후기 재조대장경을 조성하면서 경전을 교감한 내용을 교정별록으로 정리한 수기(守其)는 고려 화엄종 승려이다. 생몰년은 알 수 없다. 이규보(李奎報)의 인척으로, 이규보의 처가인 진씨(晉氏)와 혈연관계에 있다. 또한 유승단(俞升旦)이 승선(僧選)의 고시관일 때 수기를 으뜸으로 선발했고, 수기는...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두만강 豆滿江
    동해로 들어간다. 두만강이라는 명칭의 유래를 『한청문감(漢淸文鑑)』 만주지명고(滿洲地名考)에서 언급하고는 있으나 명확하지 않다. 두만강은 또, 고려강(高麗江) · 도문강(圖們江) · 토문강(土們江) · 통문강(統們江) · 도문강(徒門江)으로 표기된 바도 있다. 만주지명고에 의하면, 두만강이 새가 많이 모여드는...
    유형 :
    지명/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고양 원각사 고려시대 다라니 일괄 진언, 高陽 圓覺寺 高麗時代 陀羅尼 一括
    서지사항 각종 다라니는 간행 시기, 크기, 구성이나 행자 수가 일정하지 않다. 1150년(고려 의종 4)에 간행된 『대비로자나성불경등 일대성교중 무상일승제경소설 일체비밀다라니(大毘盧遮那成佛經等 一代聖敎中 無上一乘諸經所說 一切一切秘密陀羅尼)』는 세로가 5.0㎝에 불과하고, 1152년(고려 의종 6)에 간행된...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광종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 光宗
    중국 풍속을 따르게 했는데 이는 대륙의 후주와 유대를 강화하여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고자 한 의도에서였다. 후주에서는 광종 7년(956)에 장작감 설문우를 고려로 보냈는데, 이때 설문우를 따라 온 사람이 쌍기(雙冀)였다. 설문우를 따라 온 쌍기는 그만 병을 얻어 고려에 머물렀다. 이듬해에 쌍기의 병이 완쾌되자...
  • 고려항공 조선민항, 高麗航空
    개설 본래 ‘조선민항’으로 불렸으나, 1992년 10월 1일 ‘고려항공(Air Koryo)’으로 명칭을 바꾸고 마크도 새롭게 바꿨다. 항공사 마크는 한반도를 상징하는 날아가는 두루미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항공기는 주로 러시아에서 제작한 것으로 노후 기종이 많다. 설립목적 ‘평양 · 함흥 · 청진’간 국내 항공노선의...
    유형 :
    단체
    분야 :
    경제·산업/교통
  • 고려시대 한문학
    고려시대의 문학은 무인란을 기점으로 전기의 귀족계층 문학과 후기의 사대부계층 문학으로 나눌 수 있다. 고려 전기에는 유미주의의 귀족문학이 지속되고 한시가 융성했는데, 이자연·김부식의 가문에 의한 문벌문학이 발달했다. 최언위·박인량 등 신라말 빈공과 출신의 활약, 광종 때의 과거제 이후 진사과 출신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강화 마니산 주변 가볼만한 곳, 마니산 고려 궁지 고려시대 궁궐의 일부로 남은 곳
    고려시대 때 이곳에는 궁궐이 있었다. 고려가 몽골군의 침략을 피해 1232년 강화도로 천도한 이후 최우는 2,000명의 군사를 동원하여 이곳에 왕궁을 건립하였다. 규모는 작으나 궁궐과 관아의 명칭을 개경의 궁궐과 같게 하고 뒷산의 이름도 송악이라 하였다. 이후 대몽 항쟁기 39년간 고려 왕궁으로 사용하다가 몽골...
    요금 :
    어른 900원, 청소년·군인 600원
    휴관일 :
    연중무휴
    가는 법 :
    강화 터미널을 등진 상태에서 오른편으로 걷는다. 사거리가 나오면 강화군청 방향으로 걷는다. 우체국을 지나친 후 계속 걷다 보면 고려 궁지가 표시되어 있는 이정표가 보인다. 이정표를 따라 길 안으로 들어선 후 계속 직지하여 걸으면 된다. 버스 터미널에서 고려 궁지까지는 도보로 20분 정도 소요된다.
    이용 시간 :
    오전 9시 ~ 오전 6시
  • 고려판대장경인쇄전말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
    것이다. 1931년에 조선인쇄주식회사(朝鮮印刷株式會社)에서 출판한 간행본에는 조선총독부 편으로 기록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일제강점기에 해인사에 소장된 고려 『재조대장경』을 인출한 보고서 3종 중 1915년에 등사된 조선총독부 편 『고려판대장경인쇄전말(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은 재조대장경의 조사에서부터...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문헌/도서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유덕고려학우회 독일유학고려학우회(獨逸留學高麗學友會), 留德高麗學友會
    연원 및 변천 독일에 유학 중인 한인학생들을 중심으로 1921년 1월 1일 베를린에서 유럽 최초의 유학생단체인 유덕고려학우회(留德高麗學友會, 獨逸留學高麗學友會)가 결성되었다. 창립 당시 주요 인물로는 김갑수(金甲洙)·윤건중(尹建重) 등 약 11명이 있었다. 설립 목적은 학생 자체의 발전과 친목을 도모하고 한인의...
    설립 :
    1921년 1월 1일
    성격 :
    해외한인, 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고려처용가 高麗處容歌
    구성 및 형식 가사로 볼 때는 4단 또는 5단 구성, 악곡으로 볼 때는 전강 · 후강 · 대엽의 강엽구조를 2번 반복. 내용 「고려처용가」는 신라 향가인 「처용가」에서 유래되었다. 「고려처용가」 가운데 향가 「처용가」의 끝 2구를 제외한 6구가 포함되어 있어 그 연관성이 확인된다. 하지만 내용과 형식에서는 많은...
    시대 :
    고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고려의 회화
    고려시대 회화는 일반회화와 불화로 나뉘어 전개되었다. 일반회화는 왕권의 안정과 문신귀족체제의 확립에 따라 문운이 극성을 부리던 문종대(文宗:1047~83)에 이르러 왕공문신들의 한묵풍류(翰墨風流) 취향에 힘입어 여기적(餘技的) 문인화가의 출현과 감상화의 본격적인 대두 등 새로운 경향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98건

고려
고려
고려
고려전(동국중보)
고려 혜종 순릉
고려 태조 현릉 전경
강화 고려 고종 홍릉 우측면
무신정권의 고려시대
강화 고려궁지와 강화유수부 좌측면
청구도 중 고려오도양계주현총도
개풍 고려 공민왕릉 중 공민왕 현릉의 장명등 정면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판고 내부
공민왕의 영토 수복과 북방 개척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개성 선죽교 정측면
개성 나성 성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