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운강선생창의일록 雲崗先生倡義日錄편자인 박정수(朴貞洙)·강순희(姜順熙)의 종군기를 엮어 목판본으로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김동진(金東鎭)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일록, 권2에 일록·보유·격문·서융사졸(誓戎士卒)·고결팔역동지(告訣八域同志)·장임록(將任錄)·지(識)·발(跋)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의 일록에는 1895년(고종32) 그가 경상북도...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강년(李康䄵), 박정수(朴貞洙), 강순희(姜順熙)
- 성격 :
- 의병록, 전기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추성관 터 · 추성창의관그는 당시 나이 60의 고령에다가 건강도 좋은 편이 아니었으나 맹주가 되는 것을 사양하지 않았다. 이어서 그는 6월 11일을 거병일로 정하고 각 지역에 격문을 보내어 선비와 장정들이 많이 참여하도록 했고 제주목사 양대수에게 격문을 보내어 말(馬)을 모았다. 고경명 등이 회맹한 담양 추성관은 지금의 담양 동...
- 소재지 :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23 담양동초등학교
- 지역 :
- 담양
-
김계진 승철, 金季鎭교육 방침으로 운영하였다. 아도서숙은 1933년 7월 무렵 일제의 탄압으로 폐쇄되고 말았다. 광주학생항일운동 이후 영주에서 4차례에 걸쳐 펼쳐진 격문 사건 중 2차 격문 사건을 전개하였다. 1930년 3월 송위길(宋渭吉), 이상을(李相乙) 등은 「만천하 피압박 대중에게 격함」이라는 격문을 작성한 뒤 같은 달 19일에서...
- 출생 :
- 1907년 1월 24일, 경상북도 영주(榮州)
- 사망 :
- 2000년 8월 5일
- 관련 사건 :
- 영주격문사건, 적색농민조합재건투쟁위원회
- 본관 :
- 宣城(혹은 禮安)
- 주요활동 :
- 영주청년동맹 평은지부 집행위원장, 신간회영주지회 집행위원, 아도서숙 운영위원, 적색농민조합재건투쟁위원회
- 포상훈격 :
- 2005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영주청년동맹 평은지부, 신간회영주지회, 아도서숙 운영위원, 적색농민조합재건투쟁위원회
-
소론 강경파의 정권 탈환 모의, 이인좌의 난 무신란(戊申亂)퍼뜨리며 반란 세력을 끌어들이고 민심을 규합했으며, 이로 인해 전국 곳곳에는 독살설과 관련된 흉서나 괘서가 나돌았다. 밀풍군을 왕으로 추대하자는 격문도 붙었다. 반란군은 충청, 호남, 영남, 경기, 평안도 등 전국에 걸쳐 조직됐고, 노비나 화적은 물론 양반들까지 가세했다. 목표는 영조 제거와 노론 타도...
- 시대 :
- 1728년
-
성명회 성명회(聲鳴會), 聲明會학교에 회합하였다. 비통한 분위기 속에 진행된 회의의 결의에 따라 성명회의 이름으로 “유혈적인 방법에 의하여 합병을 저지한다.” 는 격렬하고도 비통한 격문 1,000매를 인쇄하여 러시아와 만주 각지의 애국 동포들에게 배포하고 결사 항쟁을 호소하였다. 또한 일본 정부에는 ‘국제 공약에의 배신’을 나무라는...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왕산문집 旺山文集상숙형서(上叔兄書)」에는 외세를 빙자해 횡포를 부리는 일진회(一進會)의 작태와 그가 고종과 나눈 대화 내용이 상세하게 실려 있다. 잡저 가운데 「거의격문(擧義檄文)」은 이은찬 등과 창의(倡義)를 추진할 때 각처에 발송한 글이다. 「배일격문(排日檄文)」은 일본의 수탈행위를 낱낱이 열거해 국권의 수호를...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허위
- 창작/발표시기 :
- 1982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방산기념사업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평양만경대고분 만경대고분, 平壤萬景臺古墳10.3㎝인 원형의 백동질(白銅質)이다. 이 역시 태성리 움무덤에서 출토된 청동거울과 유사한데 청동거울의 뒷면에는 사엽좌(四葉座) 꼭지를 중심으로 하여 방격문(方格紋)의 네 모서리에는 유(乳)가 한 개씩 붙어 있다. 방격문의 네 변에는 새무늬를 각각 배치하고 그밖으로 이중의 톱날무늬띠를 둘렀다. 철제 귀달린...
- 시대 :
- 선사/철기
- 건립시기 :
- 초기철기시대, 서기전 1세기∼서기 1세기
- 성격 :
- 움무덤, 토광묘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북한 평양시 만경대구역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김세용 金世龍부속 공업전습소 2학년에 재학 중으로 일본조합기독교회인 한성교회(漢城敎會)에 다니고 있었다. 1919년 3월 7・8일 시내에 ‘동포여 일어나라’라는 제목의 격문 배포를 주도하였다. 1919년 3월 3~4일경 동창생 방재룡(方在龍), 일본조합교회인 광남교회(廣南敎會) 전도사 유석우(庾錫祐) 등과 독립 의식 고취를 위하여...
- 출생 :
- 1901년 10월 10일, 평안북도 의주(義州)
- 사망 :
- 1943년 10월 24일
- 관련 사건 :
- 3・1운동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7・8일 경성부에 '동포여 일어나라'라는 제목의 격문 배포 주도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존화록 尊華錄사전총서(祀典總敍)·경인고사(庚寅故事)·정부초기(政府草記)·윤음(綸音) 등이 실려 있다. 권4∼6은 한말 중앙정부 및 유림들의 척화소(斥和疏)·창의격문(倡義檄文)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4는 9항으로, 순조와 헌종의 척사윤음(斥邪綸音), 이항로(李恒老)의 척화소, 김평묵(金平默) 등과 교환한 서학비판(西學批判...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송병직(宋秉稷)
- 창작/발표시기 :
- 1900년
- 성격 :
-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3책
- 분야 :
- 교육/교육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
이탁영 정만록 임진변생후일록(壬辰變生後日錄), 李擢英 征蠻錄상황과 이 일록 및 연혁, 통문 등을 기록하거나 등사하게 된 연유를 6면에 걸쳐 자세히 적은 자서가 있다. 이어 7년 동안에 있었던 중요한 교서, 장계, 통문, 격문 등을 옮겨 실었으며, 권말에 일본에 포로가 된 명나라 사람 허의후(許儀後)가 자기 나라에 보낸 기밀봉사(機密封事)도 옮겨 실었다. 1592년(선조 25) 4월...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김천역 전투 전적지김천에 500여명으로 구성된 군진을 설치하여 활동했다. 5월 12일 여대로가 거창에 가서 곽준, 문위와 함께 각 읍에 의병을 일으킬 것을 촉구하는 격문을 보냈다. 격문에는 “거창에 이미 900여 명의 의병이 성주와 초계의 적을 격퇴하려고 하는데 각 고을도 시기를 잃지 말고 일어나 합세하라”고 했다. 한편 김천 일대...
- 소재지 :
- 경상북도 김천시 남산공원 3길 12 김천초등학교 부근
- 지역 :
- 김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