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농산물 〉 채소류 〉 근채류 |
---|---|
원산지 | 제주시 구좌읍 |
생산시기 | 11~12월 |
생산량 | 2013년 52,700톤(겨울당근 기준) |
가공식품 | 보일드 통조림, 냉동품, 건조품, 당근 주스 |
요약 당근의 원산지는 아프카니스탄의 히말라야, 힌두쿠시산맥으로 뿌리는 굵고 곧으며 황색 · 감색 · 붉은색을 띈다. 계절에 따라 주 생산지가 달라지는 작물로 겨울에는 제주 구좌에서, 여름에는 경남지방, 가을에는 평창 고랭지에서 많이 생산된다. 생산량으로는 제주산이 전체의 68%로 가장 많고 월별 가격 동향은 제주산의 출하시기인 12~3월까지 비교적 낮게 형성되어 있으나, 6~10월은 높은 편이다. 저장성이 뛰어난 작물로 적정 저장조건이 유지될 경우 6~8개 월까지 품질이 유지된다.
생산
봄당근
원산지 : 시설 재배(남해안)
생산시기 : 4~5월
생산량 : 2013년 3,933톤
고랭지당근
원산지 : 강원 평창
생산시기 : 6~7월
생산량 : 2013년 3,042톤
가을당근
원산지 : 경남 밀양/김해
생산시기 : 10월 하순~11월
생산량 : 2013년 5,689톤
겨울당근
원산지 : 제주시 구좌읍
생산시기 : 11~12월
생산량 : 2013년 52,700톤
베트남산 당근 수입 증가추세
국내 당근 재배면적은 해마다 감소추세에 있는 반면 수입 물량은 지속 증가하여 국내산 자급률은 44%로 추정된다. 당근의 주 수입처는 중국이었으나 최근 무관세의 베트남산 당근 수입이 급격히 증가(작년 동월 대비 16배 증가)하여 중국산을 앞지르고 있다.(2015년 3월 당근 수입량 중국산 : 3,697톤, 베트남산 5,871톤)
-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활용
식재 | 형태 및 종류 | 조리방법 | 활용가능메뉴 |
---|---|---|---|
당근 | 생것 | 조림용 : 깍뚝썰기, 돌려썰기, 반달썰기, 둥글썰기 | 카레 |
깐것 | 볶음용 : 깍뚝썰기, 채썰기 | 닭볶음탕, 볶음밥용 | |
국/탕용/찌개/전골용 : 나박썰기 | 각종 탕, 찌개, 전골류 | ||
찜용 : 돌려썰기, 반달썰기 | 닭찜 | ||
튀김용 : 채썰기, 둥글썰기 | 야채튀김 | ||
기타 : 갈기, 채썰기 | 당근 주스, 당근케이크 |
당근 1개에 함유된 비타민 A는 약 15mg으로 갈거나 가열해도 손실되지 않으며, 지용성으로 기름을 활용하여 조리할 경우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강력한 비타민 C 분해효소 아스코르비나아제가 있어 다른 채소와 함께 쥬스를 만들면 다른 채소의 비타민 C를 파괴하게 된다. 이 경우 식초를 섞어 산성으로 하면 효소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단 맛이 있기 때문에 나물·김치·샐러드 및 서양요리 등에도 많이 이용된다.
품종
당근은 모양, 용도, 색깔에 따라 60여종의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크게 서양계와 동양계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서양계는 터키 서부지방이 원산지로 당근 특유의 냄새가 강한 것이 특징이며, 동양계는 중앙아시아가 원산지로 주로 적자색과 백색을 띠고, 향이 상대적으로 약한 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뿌리색이 주황색인 5촌 당근이 많이 재배되고 있다.
효능
당근은 비타민 A의 전구체인 β-카로틴을 비롯하여 비타민 B, C, E군 및 칼슘이나 칼륨, 유황, 요오드, 인 같은 미네랄과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구성 성분들의 상승효과로 항산화작용이 뛰어나며 암이나 기타 성인병에 효과가 있고, 야맹증을 예방하고 간 기능을 개선하는데 좋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