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민족 말살 통치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일제가 우리 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뿌리 뽑으려 한 시기에 취한 통치 자세.

1920년대 말기 시작된 경제공황에 타격을 입은 일제는 그 타개책을 만주 침략에서 찾았다. 1931년 만주사변이 그 시작이었고 일제의 전쟁 도발은 중일전쟁에서 태평양전쟁으로까지 이어졌다. 전시 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한국에 대한 일제의 식민지 통치 정책도 변화했다. 국내의 민족운동을 철저히 탄압할 뿐 아니라, 조선사상보호관찰령·조선사상범예방구검령 등의 악법을 제정하여 사상통제를 강화했다. 중일전쟁 이후 내선일체 구호를 앞세워 한글 사용과 교육을 금지하고 창씨개명을 강요하는 등 조선인의 민족성을 말살하려고 했다. 민족말살통치는 대동아공영권의 꿈을 안고 세계 침략전쟁을 일으킨 일본이 우리 민족의 저항을 철저히 차단하고, 끝까지 전쟁 협력을 강요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이슈 TOP



[Daum백과] 민족 말살 통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