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이자가 원금에서 차지하는 비중. 오래 전부터 고리대금업 안에서 존재해 왔다. 이자는 채무자가 돈을 빌렸다가 갚을 때 함께 내야 하는 사용료와 같은 것인데, 금리는 이자가 원금에 비해 차지하는 비율을 이른다. 자금의 수요와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때에 따라 배분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금리는 경제 순환을 올바르게 하는 데에 필요하기 때문에 금리가 오르고 내림에 따라 경제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경제의 척도라고 불리기도 한다.
은행 등의 금융 기관에서 돈을 빌린 사람은 원금 외에 일정 기간 동안 빌려 쓴 돈에 대해 대가를 지급하는데, 이를 이자라 한다. 이러한 이자의 원금에 대한 비율은 금리 또는 이자율이라고 한다. 금리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우선 돈을 빌리려는 자금의 수요와 돈을 빌려주려는 자금의 공급을 원활히 조절한다. 자금의 공급보다 수요가 많으면 자연스레 금리가 오르고 그러면 다시 자금에 대한 수요가 점차 줄어들면서 순환하게 된다. 또 금리는 자금의 배분 기능도 수행한다. 금리가 오르면 자금의 공급이 늘어난다. 또 수익성이 좋은 분야는 더 많은 금리를 줄 수 있으므로 그 분야로 자금이 몰리게 된다. 이렇듯 금리는 시중의 자금 수급을 반영하고 자금 수급에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에 경제의 척도라 불린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