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모든 언어권에서 불후의 작품들을 낳은 시대의 문학을 지칭하는 말.
고전 문학의 영역은 크게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으로 나누어진다. 고대의 문학은 고조선의〈건국 신화>, 부여·고구려계의 〈동명왕 신화>, 신라의 〈박혁거세 신화> 등 신화·서사시가 주를 이룬다. 삼국 시대에 한문을 사용하면서 한국 문학은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을 공유하는 시대로 접어든다. 특히 신라에서는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는 향찰이 창안되면서 향가가 나타났다. 고려 전기는 신라의 문학을 계승하면서 불교와 유학의 이념을 구현하는 데 힘썼으며 한문학이 왕성하게 번성한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신라에서 비롯된 향가는 고려 전기까지 그 명맥을 유지했다. 고려 후기에는 비평 문학이 본격적인 모습을 드러냈으며, 경기체가가 창안되었다. 조선 건국 이후 악장이 국문 시가의 한 갈래를 형성했고, 가사가 사대부 문학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한문학이 새롭게 정비되었다. 고전 문학에는 당시의 시대 상황, 민족의 전통적인 생활 모습과 가치관, 삶의 태도가 담겨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