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회전활강

다른 표기 언어 slalom , 回轉滑降

요약 구불구불한 코스에서 기문을 통과하며 속도를 겨루는 스키 종목.

1920년대초 영국의 운동가인 아널드 론 경(卿)이 고안해낸 경기로, 유럽의 알프스 산지에서 시작된 알파인 종목에 포함된다.

경기 코스는 참가선수들의 기술·속도·판단력 등을 심사할 수 있도록 주의깊게 설계되며 기문 또한 여러가지 형태로 조합된다. 훌륭한 출발점과 경기 코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술이 필요하며, 다양한 기술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코스들을 만들 수 있다. 기문을 그냥 지나친 선수는 되돌아가 적절한 방향에서 놓친 기문을 다시 통과해야 하며, 만약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실격을 당하게 된다.

기문의 너비는 76cm 이상이어야 하고 기문과 기문은 3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올림픽 대회와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남자 경기 코스에 180~220m의 수직하강 코스가 포함되어야 한다. 그밖의 경기와 비교적 미숙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기에서는 더 짧고 비교적 쉬운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남자경기에는 55~75개, 여자경기는 40~60개의 깃대가 각각 사용된다.

대회전(giant slalom) 경기는 회전경기와 활강경기 두 경기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중 특히 활강경기는 회전경기에 비해 경기 코스가 더 길며 경기속도도 더 빠르다. 대회전 경기는 경주로의 폭이 더 넓고 깃대 사이의 거리가 더 멀 뿐 아니라 경기 코스도 회전경기에 비해 훨씬 길다.

이 종목은 1950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처음으로 채택되었다. 정상급 국제대회의 경우 참가선수들은 동일한 코스 또는 2개의 다른 코스에서 연습없이 두 차례에 걸쳐 경기를 치르며, 합산된 소요시간이 가장 적은 선수가 우승하게 된다.→ 스포츠기록:스키, 올림픽 대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스포츠 일반

스포츠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회전활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