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화랑도의 수련상의 특징

다른 표기 언어

화랑도는 일정한 기간을 정해놓고 단체생활을 했다. 신라사회에서는 통상 3년을 하나의 서약·수련·의무의 이행기간으로 잡고 있었으므로 화랑도 역시 수련기간이 3년으로 짐작된다. 여러 가지 역사 기록을 종합해보면 화랑은 대개 15~18세의 청소년이다. 화랑집단의 구성원들은 이 기간 동안 경주의 남산을 비롯하여 멀리는 금강산이나 지리산 같은 명산대천을 순례하면서 국토에 대한 애착심을 기르는 한편 도의를 연마했다.

그런데 그들이 연마한 도의란 흔히 6세기말 진평왕 때 원광법사(圓光法師)가 제정한 세속5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충(忠)·효(孝)·신(信)·용(勇)·인(仁)의 5계 가운데에서도 그들이 특별히 소중하게 여긴 사회윤리 덕목은 충과 신이었다. 이것은 화랑도가 제정된 6세기 중엽부터 삼국통일을 이룩하게 되는 7세기 중엽까지의 200여 년 간이 신라 역사상 드물게 보는 국난기였기 때문이었다.

한편 화랑도의 수련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노래와 춤이었다. 본래 노래가 정신교육, 특히 청소년의 의기를 북돋우는 데 크게 이바지했는데, 화랑집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절대적이었다. 화랑도가 즐긴 노래와 춤은 그들의 명승지 순례와 더불어 놀이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이 놀이는 화랑도의 인격 형성, 나아가 그 세계관 형성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화랑도운동이 크게 일어났던 진평왕 때는 신라사회에 불교가 전성기를 맞고 있었다. 그런 만큼 화랑도집단도 불교의 영향을 받아, 불교의 미륵신앙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 당시 사람들은 화랑을 도솔천에서 내려온 미륵으로, 낭도를 미륵을 쫓는 무리로 여겼다. 화랑 김유신(金庾信)의 무리를 용화향도로 불렀다는 역사책의 기록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당시 국난기에 즈음하여 귀족계급이나 민중들은 하루 빨리 이상국가가 건설되기를 바라고 있었고, 나아가 화랑도가 자신들의 열망을 실현시켜줄 것으로 기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화랑도는 낭도 스스로의 의사에 따라 결합된 위에 조국수호, 나아가서는 이상세계 건설이라는 원대한 공동 목표를 위해 일정한 기간 동안 수련하는 단체였던 만큼 그 구성원간의 인적 결합관계는 매우 긴밀했다. 그들 사이의 우정은 단순한 것이 아니라 함께 죽기를 약속할 정도의 사우·맹우 관계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신라

신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화랑도(花郞徒)


[Daum백과] 화랑도의 수련상의 특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