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함경남도의 산업과 교통

다른 표기 언어

지하자원과 동력자원이 풍부하여 경제발전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산이 많아 경지면적은 도면적의 11.5%에 불과하며, 그 가운데 논이 30%, 밭이 60%, 과수원·뽕나무밭이 10%를 차지한다.

주요농산물은 쌀·옥수수·콩·팥·고구마 등이며, 쌀은 주로 남부의 금야평야와 함흥평야에서 생산된다. 옥수수는 전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그밖에 아마·담배·피마자 등이 장진군·요덕군·덕성군·단천시·허천군 일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요덕군은 예로부터 양잠업이 활발하다. 함주군은 오이, 부전군은 사과단지로 유명하다.

삼림자원이 풍부한 지역으로서 덕성군·정평군·요덕군·홍원군·허천군 등지에 갱목생산사업소가 있으며, 고원군·부전군·장진군 등에는 임산사업소가 있어 원목 생산 및 운반·가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근해는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조경수역으로서 어족이 풍부하다. 명태·청어·대구·연어·도루메기·낙지·까나리·문어·조개·게·해삼·새우·미역·다시마 등이 어획됨으로써 북한 총어획고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신포·양화·홍원에 수산사업소가 있으며, 신포는 원양어업기지이다.

석탄·비철금속·철광석·석회석·인회석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광업이 매우 발달했다. 고원과 수동 탄광에서는 무연탄이, 금야탄광에서는 유연탄이 채굴된다. 단천시의 검덕광산과 허천군의 상농광산은 북한 최대의 납·아연 광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허천군의 만덕광산에서는 유화철을, 동암광산에서는 인회석을 채굴하여 흥남비료공장의 원료로 공급하고 있다. 특히 단천지역의 용양광산과 대흥광산은 세계 제1의 마그네사이트 광산으로 그 매장량이 37억t에 달하며, 부래산광산과 운포광산에는 석회석이 채굴되고 있다. 장진군에는 중석광산, 부전군에는 금광산, 북청군·이원군·덕성군·허천군에는 철광산이 있으며, 그밖에 흑연·형석·규석·석면 등도 채굴되고 있다.

북한의 최대 화학공업지구인 함흥공업지구가 있는 화학공업의 중심지이며, 주요공업지대는 함흥시·단천신·신포시 일대에 분포한다. 함흥지역에는 흥남비료공장, 흥남제약공장, 본궁화학공장, 2·8 비닐론 공장 등의 화학공장과 흥남제련소·함흥철도종합공장·함흥강철공장·용성기공장·함흥기계공장·함흥전구공장·본궁전기공장 등의 비철금속 및 기계공장이 있으며, 그밖에 함흥모방공장, 함흥제사공장, 견직공장 등의 섬유공장이 있다.

단천지역은 비철금속 및 내화물공업의 중심지로서 단천제련소, 단천공작기계공장, 단천 마그네샤크링카공장, 단천탐사기계공장, 단천 텔레비전 공장 등이 있으며, 신포지역은 식료품·수산물가공·조선공업 지역으로서 신포오리통조림공장, 신포어류통조림공장, 신포수산물가공공장, 원양작업조선공장 등이 있다. 그밖에 이원7·6철도공장, 8·2부래산 시멘트 공장, 성천강전기공장, 흥산전동기공장이 있다. 주요발전시설로는 장진강수력발전소·부전강수력발전소·금야강수력발전소·함흥화력발전소가 있다.

함경남도는 북한의 동·서 해안지역과 남북지역을 연결하는 결절지역이며, 도 중심부에 함흥공업지구가 있어 육상·해상 교통이 발달했다. 철도는 평라선(평양-나진)이 고원역에서 강원선과 연결되고 동쪽 해안선을 따라 함경북도로 이어졌으며, 도내에서 장진선·신흥선·덕성선(덕성-북청)·단풍선(단천-홍군)·함남선 등의 지선들이 분기한다. 평라선과 나란히 도로가 나 있으며, 북청에서 후치령을 넘어 양강도로 이어지는 도로가 있다. 그밖에 함흥-장진, 함흥-부전, 금야-요덕 사이에 도로가 연결되어 있으나 거의 비포장도로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함경남도의 산업과 교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