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
원산지 | 아시아 |
서식지 | 계곡 |
크기 | 약 3m ~ 4m |
학명 | Fallopia multiflora (Thunb. ex Murray) Haraldson var. multiflora |
요약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진 덩굴성 약용식물. 심장형의 잎은 어긋나며, 꽃은 8~9월에 핀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장이다. 열매는 세모진 난형이고 윤기가 난다. 한국에는 지리산에 나도하수오가 있는데 잎이 크고 열매가 날개 없이 세모진 난형으로 꽃덮이에 싸여 있어 하수오와 다르다. 덩이뿌리는 강장제·강정제·통경제·양혈제·진해제로 쓰고 감기·토혈·신경쇠약·관절염 치료에 쓰인다.
개요
마디풀목 마디풀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진 덩굴성 약용식물이다. 하수오라는 이름은 중국 고사에서 하연수(何延秀)라는 사람이 어떤 식물의 덩이뿌리를 먹고나서 흰 머리가 검게 되고 회춘하여 자식을 낳아 까마귀같이 검은 머리라는 뜻의 '수오(首烏)'라고 이름지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키는 3~4m에 이르며 뿌리는 옆으로 길게 뻗어 종종 덩이뿌리를 형성하는데, 이 덩이뿌리는 한방의 좋은 약재로, 강장제·강정제·통경제·양혈제·진해제로 쓰고 감기·토혈·신경쇠약·관절염 치료에 쓰인다.
생태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랫동안 재배되고 있는 덩굴성 약용식물이다. 키는 3~4m에 이르며 뿌리는 옆으로 길게 뻗어 종종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심장형의 잎은 길이가 약 3~6㎝, 너비가 2.5~4.5㎝ 정도의 크기이며 서로 어긋나고, 잎자루와 턱잎(托葉)이 있지만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은 8~9월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장이다. 열매는 길이가 2.5㎜ 정도로 세모진 난형이고 윤기가 난다. 한국에는 지리산에 나도하수오가 있는데 잎이 크고 열매가 날개 없이 세모진 난형으로 꽃덮이(花被)에 싸여 있어 하수오와 다르다.
약효
덩이뿌리는 강장제·강정제·통경제·양혈제·진해제로 쓰고 감기·토혈·신경쇠약·관절염 치료에 쓰인다. 중국에서는 인삼과 같은 자양강장제로도 알려져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