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백수오

다른 표기 언어 Cynanchi wilfordii radix , 白首烏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목련강 > 용담목 > 박주가리과 > 백미꽃속
원산지 한국
서식지 한국 중부 이남의 산과 들
학명 Cynanchum wilfordii Hemsley

요약 한반도 자생식물인 박주가리과 큰조롱의 덩이뿌리. 주로 겨울철에 수확하여 말린 뒤 약재로 사용한다. 따뜻한 성질이 있어 몸의 영양 상태를 보충하여 기운을 북돋고, 소화기에 도움을 준다. 여성의 갱년기 증상에도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비슷한 이름과 생김새로 인해 하수오나 이엽우피소를 백수오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다.

정의

박주가리과 큰조롱의 건조시킨 덩이뿌리. 백하수오라고도 한다. 큰조롱은 ‘은조롱’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 한국 자생 식물이다. 연한 황녹색 꽃을 틔우며, 주로 산 기슭이나 양지바른 풀밭, 혹은 해안의 경사지에서 자란다.

백수오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징

길쭉한 원뿔 모양이 구부러진 모양이며, 색깔은 황백색을 띄고 있다. 길이는 5~10cm, 지름은 1.5~3.5cm 정도이다. 표면에는 황갈색의 주름이 많고, 만졌을 때 단단하다. 줄기와 잎을 자르면 흰색유액이 분비되며, 단면을 자르면 노란색 섬유질이 박혀 있다. 냄새가 없고 맛은 달큰하면서도 쌉쌀한 편이다.

효능

겨울에 뿌리를 수확하여 말린 후 약재로 쓴다. 한의학적으로는 혈기를 북돋아 몸을 건강하게 하며, 조혈 작용을 돕고, 소화기에 도움을 주며, 해독 작용을 한다. 손발의 저림과 무기력증, 수면장애, 모유수유 중 젖이 부족할 때, 나이에 비해 흰 머리가 빨리 나는 오수발(烏鬚髮)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여성의 갱년기 증상에 탁월하여 건강식품과 영양제의 형태로도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구별법

종종 하수오나 이엽우피소를 백수오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다. 하수오는 적하수오라고도 불리며, 마디풀과에 속한다. 횡단면에 선명한 국화무늬를 띄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구별하기가 쉽다. 그러나 백수오와 같은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이엽우피소는 국내에서 재배된 지 10년이 넘었기 때문에, 국내 토양에 적응하면서 점차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이엽우피소에는 백수오의 쌉쌀한 맛이 나지 않아, 맛으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주관적이다. 정확한 구분을 위해서는 유전자 검사를 해야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박주가리과 식물

추천항목


[Daum백과] 백수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