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풍남문

다른 표기 언어 豊南門

요약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동에 있는 전주부성 4대문 가운데 남문.

전주 풍남문(보물 제308호)

전라북도 전주시 전동에 위치한 전주성의 문. 대한민국 보물 제308호이다. 1389년 고려의 제34대 왕 공양왕이 건설했으며, 당시의 명칭은 명견루였다. 그러나 조선시대 1767년(영조 43) 대화재로 소실되었고, 재건된 이후 풍남문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지금에 이른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물 제308호. 일반적인 성문과 마찬가지로 성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석축기대 중앙에 홍예문이 있고 그 위에 중층문루가 있다. 1층은 앞면 3칸, 옆면 3칸이며, 2층은 앞면 3칸, 옆면 1칸이다. 1734년(영조 10) 성의 시설이 낡아서 수축할 때의 공사 내역을 기록한 조현명의 〈명견루기 明見樓記〉에 의하면, 이 성문은 조선 초기에 도관찰사 최유경(崔有慶)이 축성했다고 한다.

처음 성(城)을 수축할 때 남문 위에는 명견루라는 3층 문루가 있었는데, 1767년 3월 화재로 소실되자 그해 9월부터 관찰사 홍낙인(洪樂仁)이 재건을 시작했다. 이때 현재의 모습처럼 2층 문루가 되었으며 풍남문이라고 했다. 일제강점기에 대부분의 성벽과 나머지 성문은 자취를 감추고 이 문만 남게 되었다. 1980년 중수공사 때 풍남문 양쪽에 있었다는 포루와 종각을 옹성과 함께 복원했다.

문루의 1층에 앞뒤로 4개씩 세워진 높은 기둥은 2층의 변주가 되었는데 이러한 기둥 배치는 우리나라 문루건축에서는 보기 드문 형식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풍남문


[Daum백과] 풍남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