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포포카테페틀

다른 표기 언어 Popocatepetl

요약 멕시코 중부 메히코 주와 푸에블라 주의 경계선에 있는 휴화산.

멕시코 중부 메히코 주와 푸에블라 주의 경계선에 있는 화산이다. 이 산과 쌍둥이 산을 이루는 이스탁시우아틀(Iztaccihuatl) 화산에서 남동쪽으로 16㎞ 떨어져 있다. 북서쪽으로 72㎞ 떨어진 곳에는 멕시코시티(Mexico City)가 있어 날씨가 좋은 날에는 멕시코시티에서 포포카테페틀 산을 볼 수 있다.

포포카테페틀 산은 동서로 900km에 이르는 멕시코 횡단 화산축(Trans-Mexican Volcanic Belt)에 속한다. 멕시코 횡단 화산축은 천 개 이상의 화산을 포함하고 있는 멕시코 중부의 화산 지대다. 포포카테페틀의 나이는 73만 년 정도로 추정한다.

포포카테페틀(Popocatepetl)

ⓒ Ricraider/wikipedia | CC BY-SA 3.0

포포카테페틀 산의 높이는 5,426m로 시틀랄테페틀(Citlaltepetl) 산에 이어 멕시코에서 두 번째로 높은 화산이다. 균형 잡힌 원뿔형 모양으로 산꼭대기는 늘 만년설과 빙하 등으로 덮여 있었으나 1990년대 이후부터 지구온난화와 화산 활동의 증가로 많이 줄어든 상태다. 산 정상에 있는 분화구의 크기는 기장 600m, 폭 400m 정도다.

포포카테페틀(Popocatepetl)이란 이름은 나우아틀어각주1) 로 ‘연기를 뿜는 산’이라는 뜻이다. 포포카테페틀은 1300년대 중반 폭발한 적 있으며 당시 중앙아메리카를 지배했던 아스텍족이 이름을 붙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주 오래전부터 포포카테페틀은 그 지역 사람들에게 신성한 산으로 여겨졌다. 아스텍족은 포포카테페틀 산이 자신들의 신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했으며 나우아족의 전설에서는 신들이 연인을 포포카테페틀과 쌍둥이 산인 이스탈시우아틀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현재 해당 지역에 사는 나우아족은 포포카테페틀 산을 지역의 수호성인인 그레고리오의 이름을 따 ‘돈 고요(Don Goyo)’라 부르기도 한다.

남쪽에서 바라본 포포카테페틀의 모습

ⓒ Jakub Hejtmánek | CC BY-SA

1519년 스페인 출신의 디에고 데 오르다스(Diego de Ordás)가 이끄는 탐험대가 최초로 포포카테페틀을 등정했다고 알려졌다. 16세기에는 산 중반에 수도원이 세워졌으며 1994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포포카테페틀은 멕시코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이다. 분화 기록은 14세기부터 나타나며 1519년 스페인이 중앙아메리카에 상륙한 이후 15차례의 대형 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특히 1947년에 일어난 폭발이 가장 규모가 큰 화산 활동이었다. 이후 약 50년 동안 큰 폭발이 없어 휴화산으로 여겨졌으나 1990년대 들어 다시 활동이 시작되었다. 1990년대 초부터는 분화구를 통해 연기가 나면서 가스와 재가 분출되었으며 1994년에는 바람을 타고 날린 화산재로 인해 인근 5만 명의 주민이 대피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2000년과 2005년에는 포포카테페틀에서 화산재와 함께 용암이 방출되었으며 2012년에는 화산재 폭발로 주변 대기가 크게 오염되었다. 2013년 5월에는 3시간 이상 강한 진동이 발생했으며 7월에는 화산재 폭발과 증기로 인해 40편 이상의 항공편이 취소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2016년 4월에도 폭발해 용암과 화산재, 가스 등이 분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내셔널 지오그래픽, 《일생에 한 번은 가고 싶은 성지 여행(세계여행사전3)》, 2012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포포카테페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