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만년설

다른 표기 언어 firn , 萬年雪

요약 과 빙하빙의 중간에 해당하는 부분적으로 고화된 싸락눈(→ 얼음).
n대체이미지v대체이미지라고도 함.

만년설

ⓒ Alex Alekseev/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만년설은 빙하지역에 내린 눈의 하부에 나타난다. 상부 눈에 의해 압력을 받은 하부 눈의 눈입자가 압축작용에 의해 파괴되고 부분적으로 용융되거나 재결정화되면서 형성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의해 만년설이 형성되는 기간은 약 1년 정도이다.

1년 사이에 형성된 만년설의 한 층 내에는 흔히 여름 동안 표면에 쌓인 얇은 먼지나 낙회층이 나타나기도 한다.

만년설은 약 45~60m 깊이에서 계속해서 압축되면 빙하빙으로 바뀌는데, 만년설이 공기와 물에 대해 어느 정도 투수성을 갖고 있는 반면 빙하빙은 공기와 물을 전혀 통과시키지 않는 불투수성이다. 만년설의 밀도는 0.4~0.84g/㎤이며 입자크기는 약 0.5~5㎜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지구

지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만년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