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패도

다른 표기 언어 覇道

요약 맹자는 고대의 제왕들이 덕에 의한 정치를 실현한 데 반해 후대의 제후들이 힘으로 신하와 백성들을 통치하는 것을 비판했다. 맹자는 패도를 행한 대표적인 제후로 제의 환공, 진의 문공, 송의 양공, 진의 목공, 초의 장공을 들었는데, 이들을 춘추5패라 한다. 맹자의 왕도사상을 계승한 유교정치이념에서 패도는 항상 부정적인 정치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법가의 경우에는 오히려 실정법에 의해 국가를 통치할 것을 주장하여 법률·형벌을 중시하고 부국강병을 제창했다. 법가의 사상은 진나라의 정치이념으로 채택되기도 했으나 한대에 유교가 국교화됨으로써 표면적으로는 사라졌다. 그러나 법가의 사상은 유교국가의 현실 정치 속에서 명맥을 유지하면서 유교정치이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왕도와 패도의 개념으로 정치를 설명한 것은 맹자에서 비롯되는데, 그는 "힘으로 인(仁)을 가장하는 것을 패라 하고, 덕으로 인을 행하는 것을 왕이라 한다"고 했다.

맹자의 이러한 설명은 고대의 제왕들이 덕에 의한 정치를 실현한 데 반해 후대의 제후들이 힘으로 신하와 백성들을 통치하는 것을 비판하는 것이었다. 맹자는 패도를 행한 대표적인 제후로 제(齊)의 환공(桓公), 진(晉)의 문공, 송(宋)의 양공, 진(秦)의 목공, 초(楚)의 장공(莊公)을 들었는데, 이들을 춘추5패라 한다.

맹자의 왕도사상을 계승한 유교정치이념에서 패도는 항상 부정적인 정치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며, 주로 법적 강제를 통한 통치, 부국강병을 목표로 하는 정치가 패도로 비난받았다. 그러나 법가의 경우에는 오히려 실정법에 의해 국가를 통치할 것을 주장하여 법률·형벌을 중시하고 부국강병을 제창했다.

법가의 사상은 진(秦)나라의 정치이념으로 채택되기도 했으나 한대(漢代)에 유교가 국교화됨으로써 표면적으로는 사라졌다. 그러나 법가의 사상은 유교국가의 현실 정치 속에서 명맥을 유지하면서 유교정치이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흔히 공리주의(功利主義)라고 일컬어지는 송대의 이구(李覯)·왕안석(王安石)·진량(陳亮)·섭적(葉適) 등의 사상은 유교정치이념뿐만 아니라 법가의 사상도 적극적으로 채택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맹자


[Daum백과] 패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