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투치족

다른 표기 언어 Tutsi

요약 르완다부룬디에 사는 종족.
Batusi, Tussi, Watusi, Watutsi라고도 함.

투치족(Tutsi)

르완다 대량 학살에서 생존한 투치족 남자의 모습

ⓒ Seeds Scholars / wikipedia | 2.0 BY CC

나일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두 나라에서 각각 전체인구의 9%와 14%를 차지하며, 전통적으로 귀족계급을 이룬다. 그러나 1994년 르완다에서 발생한 투치족에 대한 정부 주도의 학살로 투치족의 수가 크게 줄었다. 투치족은 키가 크고 호리호리하며 피부색이 옅은 편이다. 투치족은 14~15세기에 방목지를 찾아 북동쪽에서 현재 사는 지역으로 이주했다.

이들은 뛰어난 전사였으나, 점진적이고 평화적인 방식을 통해 원주민인 후투족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투치족은 가축의 소유와 발달된 전쟁기술에 기반을 둔 일종의 봉건적 관계를 수립했다. 피라미드형의 복잡한 정치구조의 정점에는 신의 후예로 여겨지는 음와미('왕')가 있었다. 투치족은 19세기 유럽의 식민지화가 시작되기 전까지 세력을 널리 떨쳤다.

이들은 르완다에서 1961년 왕정이 무너질 때까지 후투족을 지배했다. 1994년 투치족 망명자들이 권력을 탈환하기 위해 일으킨 내전 기간에 후투족이 장악한 정부의 선동으로 수천 명의 투치족이 학살을 당했다. 이후 투치족 망명자들이 이끄는 군대가 정권을 장악하고 후투족 정부을 축출했다. 이와 달리 부룬디에서는 투치족이 후투족의 봉기를 진압하면서 권력을 유지했다. 1972년에도 봉기가 일어나 약 10만 명이 사망했는데 희생자의 대부분이 후투족이었다(→ 대량학살).

투치족은 괭이를 사용하여 농사를 짓기도 했으나 대개는 소를 사육하여 생계를 유지했다. 궁핍해진 사람은 할 수 없이 농사를 지어야 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그가 속해 있는 씨족에서 신분의 상징인 소를 빌려주어 위신을 잃지 않도록 배려했다. 후투족과 투치족의 문화는 상당히 많이 융합되었다. 투치족은 원래 후투족이 사용하던 르완다어·룬디어 등 상호 이해가 가능한 반투어를 받아들였다. 반면에 친족이나 씨족제도, 소를 소중하게 여기는 것 등은 투치족의 문화에서 유래한 것이다. 종교도 기본적으로 동일하여 애니미즘과 그리스도교적인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화 일반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투치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