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직물
원사를 직물로 전환시키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직조, 즉 실을 규칙적인 체계로 얽어짜는 것이다.
직물은 보통 날실이라고 부르는 세로줄 실과 씨실이라고 부르는 가로줄 실로 구성되어 있다. 씨실과 날실을 얽어주는 역할을 하는 직기는 일찍이 BC 5세기부터 사용되어왔으며, 산업혁명과 더불어 크게 개선되었다. 직물조직에는 평직·능직·수자직의 3가지 기본조직이 있다. 이중에서 가장 간단한 조직인 평직은 씨실과 날실이 1올씩 상하로 번갈아가며 교차하는 것이다.
이것은 직조법이 간단하고, 강하고 실용적이며 변화있는 직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구김이 잘 생기고 표면이 거칠며 광택이 적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광목·당목·옥양목·포플린·브로드클로스·태피터 등이 여기에 속한다. 능직은 날실 또는 씨실이 2올 이상씩 교차하도록 짠 직물이다. 능직물은 평직에 비해 두껍고 부드럽다.
마찰에는 약한 편이지만 광택이 좋고 표면결이 곱다. 서지·개버딘·드릴·진·데님 등이 여기에 속한다. 수자직은 날실과 씨실의 조직점을 적게 하면서 분산시켜 직물 표면에서 날실 또는 씨실만 돋보이게 한 직물이다. 이것은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매우 좋아 아름답게 보이지만 마찰에 약해 실용적인 직물이 못 된다. 공단·도스킨 등이 대표적이다.
특수직물에는 이중직물·파일직·인레이드직·자카드직·도비직이 있다.
이중직물은 날실 또는 씨실의 어느 한쪽이 이중으로 되어 있거나 양쪽이 모두 이중으로 되어 있다. 파일직은 짧은 섬유를 기포면(基布面)에 수직으로 밀생시킨 직물이다. 인레이드직은 날실이나 씨실의 조직을 변화시켜 무늬가 생기도록 한 직물이다. 자카르직은 자카르 직기를 이용하여 큰 무늬라든가 곡선 등을 표현한 것이다.
도비 장치를 이용하여 만드는 도비직은 작은 무늬 또는 바둑무늬를 특징으로 한다.
편직물
편직물은 실로 고리를 만들고 이 고리에 실을 걸어서 새 고리를 만드는 것을 되풀이하여 만든 피륙이다.
구조와 편성방법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분류하는데, 1올의 실이 고리를 엮으면서 좌우로 왕래하여 평면상의 편직물을 만들거나 원형으로 진행하면서 원통상(圓筒狀)의 편직물을 만든 것을 위편직물이라고 하며, 이와 다르게 직물에서와 같이 많은 경사를 사용하고 이들 경사가 고리를 만들면서 좌우에 있는 실과 엮어져서 만들어진 것을 경편직물이라고 한다.
위편직물은 필요한 크기와 모양으로 편성할 수 있어 풀 패션(full fashion) 스웨터와 양말을 비롯하여 다양한 소재를 만들 수 있다. 대표적인 경편직물로는 라셸과 트리코가 있다.
기타
텍스타일 레이스는 여러 올의 실을 서로 매거나 꼬아서 또는 엮거나 얽어서 만든 비쳐보이는 텍스타일이다.
브레이드는 3가닥 또는 그 이상의 실이나 천오라기로 땋아 만든 것이다. 펠트는 양모 또는 모혼방섬유를 고온압축하에서 문질러 양모의 축융성에 의해 섬유가 얽히게 만든 텍스타일이다. 부직포는 얇은 피막상태의 섬유를 접착제 또는 열융접착으로 접착한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의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