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태풍 경보와 진로 추적

다른 표기 언어

일반적으로 저위도에서는 일일 기압변화율이 작아 접근하는 열대저기압을 감지하기가 어렵다. 24시간에 3~4mb가 하강한다면 위험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폐곡된 등압선이 관측자 방향으로 발달하면 열대저기압이 접근해오는 것으로 인식하고 폐곡된 등압선 중심을 저기압 중심으로 간주해야 한다. 박무층(薄霧層)의 높이와 같은 역전층의 고도가 갑자기 증가하거나 고도에 따라 풍향이 빠르게 변해도 열대저기압이 접근하는 것으로 알아야 한다.

습도의 증가는 태풍의 접근과 무관하나 권운과 저녁놀과 같은 구름 형태나 구름 이동은 태풍의 접근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다. 해안의 긴 너울은 수백km 떨어진 태풍 중심에서부터 전파된 것일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1921년 오스트레일리아의 퀸즐랜드 해안에 태풍경보소가 세워진 이후, 1935년 미국 기상 센터에 의해 허리케인 센터가 운영되는 등 열대저기압의 영향권 내에 들어 있는 세계 각 나라들은 적절한 경보 체계를 갖추고 있다. 전에는 항해하는 선박이 강풍과 급격한 기압 하강 및 높은 파도를 보고하면 매 3시간마다 특별 관측이 이루어지고 모든 선박에 경보가 주어졌다. 1943년에는 태풍 내부의 비행관측이 시작되었고, 1945년부터 열대 요란에 대한 위치와 특성 및 이동에 관한 정기적 비행관측이 이루어졌다. 오늘날에는 인공위성을 비롯한 각종 원거리 관측 장비들의 관측에 의해 직접 관측이 어려운 지역에서 발생하는 열대 요란까지도 감지하며, 비행관측으로 정확한 위치와 특성 및 강도 등을 탐지한다. 레이더에 나타난 두꺼운 나선형의 구름대와 강한 강수대로 태풍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위성사진으로 세계 모든 곳의 구름 형태를 알 수 있다. 원거리 관측 장비, 특별 및 정기 비행기 관측, 태풍영역 내 관측소의 자료 등 열대저기압에 대한 모든 정보가 수집되면 일기도에 표시되고, 선박을 비롯한 경보를 필요로 하는 모든 곳에 기상전문으로 정규시간이나 특별한 시간에 송신된다. 열대저기압에 대한 빠른 감지와 추적, 좀더 정확한 진로 예보, 신속한 경보 체계로 태풍에 의한 인명피해는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으나 해안 시설물의 가격 상승으로 피해액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태풍 경보와 진로 추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