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태풍의 특징

다른 표기 언어

개요

태풍 주위의 유선은 편동풍이 불고 있을 때에는 복잡해진다. 편동풍이 중심 안으로 끌려 들어갈 때는 태풍 중심의 강한 풍속에 의해 밖으로 약간 부풀어 오른 형태를 띠며, 편동풍이 저기압성 순환과 반대 방향을 이루는 부분에서는 태풍 순환류와 편동풍이 충돌해 변형장을 형성한다.

바람이 포물선 형태로 태풍 중심쪽과 반대 방향으로 분리되는 변형장 부근에서는 풍속이 약하며 중심에서는 풍속이 0인 정점이 존재한다.

풍속

37~56km/h의 속도로 순간적 또는 2~3분 동안 지속되는 돌풍이 불규칙적으로 부는 강풍대를 태풍의 벽이라 하며, 이는 강수대와 관련이 있다. 태풍의 벽 내부는 태풍의 눈이라 하며 눈 내부에서는 산들 바람이 불거나 무풍인 특이한 구조를 갖는다.

태풍의 실제 바람은 중심으로 향하는 나선형 순환과 태풍이 진행하는 성분인 지향류와의 합이다. 지향류는 태풍 진행방향의 오른쪽 풍속을 강화시키는 반면, 왼쪽 풍속은 약화시켜 전체적인 태풍 순환이 비대칭형이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편동풍인 무역풍대에 있는 전향 전의 태풍은 진행방향의 오른쪽인 극방향에서는 지향류가 더해져 풍속이 강화되는 반면, 진행방향의 왼쪽인 적도방향에서는 지향류가 음의 방향으로 작용해 풍속이 약화된다. 그러나 지향류는 태풍 바람에 부가적인 영향만을 줄 뿐 저기압성 순환이 주를 이룬다.

구름과 강수

열대 폭풍은 보통 넓은 지역에 권운을 동반한다. 강한 소나기는 대부분 태풍의 500~600km 전면 해안에 내린다. 1~2일 내에 폭풍은 두꺼운 적란운 벽(태풍의 벽이라고 함)과 함께 나타난다. 중층운과 상층운은 발산 방향으로 진행하나 하층운은 지면 50m 고도에서부터 존재하고 특별한 방향이 없다.

시원한 바람이 불며 비가 내리고 갑자기 구름이 온 하늘을 덮으며, 바람은 점점 강해지고 강수도 심해진다. 벽에서 가장 강한 비가 내리고, 그 이후 10~45분 동안은 조용하며 비가 내리지 않는 눈이 통과한다. 다시 강풍과 심한 강수, 두꺼운 적란운의 벽이 통과하면서 강수와 바람이 약해지고 구름도 얇아지며 태풍 영역에서 벗어난다. 강수량은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 기류의 수렴 또는 발산 정도, 지형 효과 등에 의해 결정되며 강풍으로 인해 실제 강수량의 50% 정도밖에 채집되지 않는다. 어떤 관측소에서는 모든 측기가 바람에 날아간 경우도 있다.

평균적인 강수량은 태풍 진행로 부근에서는 24시간에 150~200㎜이며, 2만~3만㎢ 지역에서는 50~60㎜ 정도이므로 지역에 따라 홍수를 유발할 수 있다.

태풍의 에너지

태풍의 에너지 K는 다음의 경험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K=0.71×1022(1,010-Pmin)(R/111)2

여기서 K의 단위는 erg/s이며 Pmin은 태풍 중심 기압(mb), R는 마지막 폐곡된 등압선까지의 반지름(km)이다. 이 식에 의해 구한 강한 태풍의 에너지는 약 1025erg/s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태풍의 특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