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북태평양 남서부에서 발생하여 아시아 동부로 불어오는 풍속이 32㎧ 이상인 맹렬한 열대저기압의 세계적 분포.
개요
태풍의 평균적 발생지역과 발생빈도를 그림에 나타냈고, 지역에 따른 발생 빈도를 표에 나타냈다. 해수면 온도가 낮은 남동태평양과 남대서양에서는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지역 | 연평균발생빈도 | 합계 |
동부아시아와 남부 아시아 | 29 | |
북서태평양 | 21 | |
벵골 만 | 6 | |
아라비아 해 | 2 | |
북아메리카와 중앙 아메리카 | 14 | |
카리브 해와 북서대서양 | 8 | |
동태평양과 서멕시코 | 6 | |
오스트레일리아와 오세아니아 | 9 | |
남서태평양과 북동오스트레일리아 | 6 | |
티모르 해와 서오스트레일리아 | 3 | |
남서아프리카와 섬 | 7 | |
남서인도양과 마다가스카르 | 7 | |
전세계 | 59 |
계절별 빈도
1940년대 이전에는 많은 열대저기압을 감지하지 못했으나 오늘날에는 인공위성을 포함한 첨단 관측기기들의 도움으로 발생되는 거의 모든 열대저기압을 감지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열대저기압은 6~10월의 여름과 가을 사이에 발생하나 북반구에서는 모든 계절에 발생한다.
경로
열대 요란 단계에서는 넓은 지역에 걸쳐 뚜렷한 형태가 없이 거의 정지해 있다가 범위가 작아지고 원형을 이루는 열대저기압으로 강화되면서 천천히 이동하다가 점점 빠른 속도로 서쪽으로 이동한다. 태풍은 일반적으로 북서쪽으로 전진하다가 이동속도가 느려지면서 북동쪽으로 전향하여 직진 또는 긴 파동 형태로 빠르게 진행하는 포물선 형태를 띠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향하지 않고 직진하기도 한다. 전향점의 위치는 5~6월에는 북위 20° 부근, 7~8월에는 북위 30° 부근이나 10월에는 다시 남하해 북위 22° 부근이 되는 월별 변화를 보인다. 이동속도는 전향 24시간 전에는 5㎧ 정도이나 전향 후에는 8~9㎧ 로 전향 전보다 빨라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