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타이태닉

다른 표기 언어 Titanic

요약 타이태닉 호'는 1912년 4월 14일 자정 무렵 뉴펀들랜드 남쪽 640km 지점에서 빙산과 충돌로 침몰하여 1,515명의 인명이 손실되었다. 당시 가장 거대하고 호화스러운 선박으로 수밀격실로 이루어진 이중저선체로 이루어져 침몰 위험이 없다고 생각되던 배지만 첫 항해에 침몰했다.
타이타닉 침몰 사고의 결과 승선 승객 인원에 맞는 구명정 비치, 구명정 훈련·교육, 24시간 내내 무선관찰 규정 등을 명시한 최초의 국제해상안전협정이 체결되었다. 또 북대서양 항로의 선박에 빙산을 알려주는 국제부빙순찰대가 창설되었다.
1985년 9월 4,000m 깊이의 해저에서 타이태닉호 잔해가 발견되어 충돌 충격으로 선체 판재의 비틀림으로 이음새가 벌어져 선체로 바닷물이 유입된 것이 침몰 원인이 된 것으로 단정하게 되었다.

타이태닉(Titanic)

취역일 촬영한 타이타닉호

ⓒ F.G.O. Stuart/위키피디아 | Public Domain

뉴펀들랜드에서 남쪽으로 640km 떨어진 지점에서 일어난 이 침몰사고로 인해 1,515명의 인명이 손실되었다. 그당시 가장 거대하고 호화스럽던 '타이태닉 호'는 16개의 수밀격실로 이루어진 이중저 선체를 가지고 있었다.

그 수밀격실 중 4개가 물이 차도 부력에 이상이 없었기 때문에 침몰의 위험이 없다고 생각되었다. 4월 14일 자정이 조금 지났을 때 빙산과 충돌하여 4월 15일 오전 2시 20분 침몰했다. 미국과 영국에서 이루어진 조사에 의하면 그날 밤새 동안 사고지점에서 32㎞가 채 안 되는 곳에 레이랜드 정기선인 '캘리포니안호'가 있었는데, 만약 당시 그 선박의 무선기사가 근무중이었다면 조난신호를 받았을 것이고 침몰위기의 타이태닉호를 구조했을 것이다.

타이태닉호가 침몰한 지 1시간 20분 후 커나드 정기선인 '카파시아호'가 사고지점에 도착하여 인명손실을 줄일 수 있었다. 이 비극의 결과로 런던에서 최초의 국제해상안전협정이 체결되었다. 그 협정은 모든 선박은 승선한 승객이 모두 탈 수 있는 구명정을 비치해야 한다는 규정(타이태닉호는 2,224명의 승객 중 1,178명이 탈 수 있는 정도의 구명정이 비치되어 있었음), 항해중 구명정에 대한 훈련·교육이 있어야 한다는 규정, 캘리포니안호가 타이태닉호의 조난신호를 듣지 못한 이유로 24시간 내내 무선관찰을 해야 한다는 규정 등을 정했다. 또한 북대서양 항로를 지나는 선박에 빙산이 있음을 알려주기 위해 국제 부빙순찰대가 창설되었다.

그후 1985년 9월 1일 2부분으로 분리되었으며 곧추서 있는 타이태닉호의 잔해가 4,000m 깊이의 해저에서 발견되었다. 그 선박은 대략 북위 41˚26', 서경 50˚14'에 위치해 있었다. 미국·프랑스 과학자의 감독하에 무인잠수정으로 탐사가 이루어졌다. 빙산에 부딪혀 갈라진 긴 틈이 있을 거라는 예상과는 달리 그런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충돌시 생긴 충격으로 인한 선체 판재 부근의 비틀림과 이음새가 벌어져 선체로 바닷물이 유입되었으며 그로 말미암아 침몰하게 되었다고 단정하게 되었다. 혹자는 당시의 기술로는 너무 큰 선박을 제작해서 거대한 기관으로부터 생긴 진동이 선체 판재가 비틀리게 된 어떤 요인이 되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타이태닉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