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유기화합물의 알칼로이드 계열에 속하는 골격근 이완제.
식물에서 얻어지며, 현대의학에서 특히 복부수술시에 시클로프로판과 함께 주로 전신마취제의 보조제로 사용된다.
큐라레를 주사하면 횡문근을 이완시키는 신경근차단제로 작용해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과 경쟁하여 신경충격이 골격근이나 수의근을 활성화하는 것을 방해한다. 처음에는 발가락·귀·눈의 근육에 영향을 미치고, 다음에 목과 사지를, 최종적으로는 호흡과 관련 있는 근육에 영향을 미친다. 치사량을 복용하면 호흡 마비로 죽는다.
큐라레라고 하는 천연제제는 남아메리카의 인디언이 사냥할 때 화살독으로 사용했다. 원료는 남아메리카의 여러 열대식물, 주로 방기과의 콘도덴드론과 마전과(Loganiaceae)의 스트리크노스속이다. 천연 큐라레는 수지상의 흑갈색 또는 흑색을 띠는 덩어리로 끈적끈적하거나 단단하며, 방향성 타르 냄새가 난다. 큐라레라는 용어는 독을 뜻하는 인디언 말에서 유래했다.
제제들은 이것을 사용하기 위한 용기에 따라 분류되었다. 항아리 큐라레는 질그릇 단지에, 관 큐라레는 대나무에, 호리병박 큐라레는 호리병박에 담겨 있다. 몇 가지 알칼로이드 성분들이 이러한 제제에서 약리학적 작용을 하는데, 주된 알칼로이드인 튜보큐라린은 1897년 관 큐라레에서 최초로 분리되었고 1935년에 결정형태로 얻어졌다. 염산튜보큐라린(d-이성질체)은 남아메리카의 덩굴식물인 콘도덴드론 토멘토숨의 수피와 줄기로부터 분리되는데 의약품으로 정제된 형태가 사용된다.
큐라레 알칼로이드의 마취주사는 척수마취와 비교해 최소농도를 사용했을 때 이완되는 정도가 크다. 이로 인해 회복이 빠르고 수술 후 폐렴과 다른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킨다. 이 약은 또한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이완제로 또는 직장이나 항문처럼 속이 빈 장기를 조사하고자 할 때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많은 근육의 수축과 경련, 그리고 척추의 요추와 천장골 부위를 다루는 이완제로 사용된다. 이 약은 빠른 가역작용을 하기 때문에 근육장애인 근무력증 진단에 유용하다. 또한 큐라레는 경련성 마비를 덜어주기 위해 사용되며, 척추골절 사고를 줄이기 위해 충격요법시 보조제로도 사용되고, 근육을 이완하고 환자를 움직이지 않게 하는 데에도 쓰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의약품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