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아름다운 서체’란 뜻을 지닌 그리스어 'Kalligraphia'에서 유래했다. 동양에서는 서화, 곧 해서·행서·초서를 의미한다. 비석 등에 끌로 파서 새기는 에피그래피와는 구분된다.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캘리그래피 디자인을 전파한 사람은 영국의 에드워드 존스턴으로, 10세기 후반 영국에서 사용됐던 필사본체를 응용해 캐롤라인 왕조시대의 캐롤라인 서체와 르네상스 시대의 필사체 중간 지점에 위치한 양식을 창안했다. 이 캘리그래피는 후에 ‘할리2904'라는 서체로 태어났다. 현대에는 마케팅 전략의 하나로 영화 포스터, 드라마 타이틀, 북커버, 패키지, BI, 현판, 간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름다운 서체'란 뜻을 지닌 그리스어 'Kalligraphia'에서 유래했다. 캘리(Calli)는 미(美)를 뜻하며, 그래피(Graphy)는 화풍·서풍·서법 등의 의미를 갖고 있다 동양에서는 서화, 곧 해서·행서·초서를 의미한다. 붓이나 펜을 이용해 종이나 천에 글씨를 쓰는 것으로, 비석 등에 끌로 파서 새기는 에피그래피(epigraphy)와는 구분된다.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캘리그래피 디자인을 전파한 사람은 타이포그래퍼로도 활동한 영국의 에드워드 존스턴으로, 10세기 후반 영국에서 사용됐던 필사본체를 응용해 캐롤라인 왕조시대의 캐롤라인 서체와 르네상스 시대의 필사체 중간 지점에 위치한 양식을 창안했다. 이 캘리그래피는 후에 '할리(harly) 2904'라는 서체로 태어났다.
캘리그래피의 또 다른 말이기도 한 '캘리그램'(calligrames)이란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한 사람은 프랑스의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이다. 1918년 자신의 시집 제목을 고민하다 캘리그램이란 단어를 고안하게 되었다고 하는데, 캘리(calli)는 접두사로 '아름답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그램(grames)은 '형태'라는 뜻이다. 한편, 이란의 폰트는 우리나라나 동양의 서예와는 다른 관점에서 독자적인 형태의 캘리그래피 디자인을 발달시켜 왔다.
현대적인 의미의 캘리그래피는 붓이나 펜으로 쓴 듯 질감이나 필력이 느껴지는 글씨을 말한다. 보통 긴 장문(읽기 위한 글)에는 적합하지 않고 인용문이나 제목처럼 글자 속의 메시지·이미지·분위기 등을 전달해야 하거나 제품명 또는 기업 심볼(워드마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마케팅 전략의 하나로 영화 포스터, 드라마 타이틀, 북커버, 패키지, CI(Corporate Identity), BI(Brand Identity), 현판, 거리의 간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