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칠레와 한국의 외교·경제·문화적 관계. 칠레와 한국과의 공식적인 외교관계는 1962년 4월에 시작되었다.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차량, 합성수지, 전자제품이고, 주요 수입품은 동괴, 동광, 펄프, 돼지고기이다. 한국과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은이 2004년 4월에 정식 발효되었다. 이 밖에 양국이 체결한 협정으로는 무역협정, 항공협정, 경제·기술협력협정, 과학기술협력협정, 투자보장협정 등이 있다. 칠레에 설립된 한글학교와 칠레한인회는 양국 간 우호증진 및 문화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외교
칠레는 1962년 4월 12일에 한국 정부와 국교를 수립했다. 한국은 1966년 1월에 산티아고에, 칠레는 1969년 11월에 서울에 각각 상주공관을 설치했고, 1966년 11월에 주 칠레 한국대사관, 1969년 11월에 주한 칠레 대사관을 개설했다. 2003년 2월 15일에 한국은 칠레와 자유무역협정을 맺었다. 2004년 4월 1일부터 발효된 이 협정으로 칠레는 한국의 첫 자유무역협정 국가가 되었다. 한국은 1996년 9월에 김영삼 대통령, 2004년 11월에 노무현 대통령, 2012년 6월에 이명박 대통령이 방문하여 정상회담을 개최했으며, 칠레는 1994년 11월에 프레이 대통령, 2003년 2월과 2005년 11월에 라고스 대통령, 2009년 11월에 바첼렛 대통령이 방한하여 정상회담을 가졌다.
한편 칠레는 북한과 1972년 6월에 수교했으나 1973년 9월에 피노체트 정권 수립 이후 단교했다가 1992년 9월에 외교관계를 재개했다. 북한은 주 브라질 대사가 그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한국은 칠레의 경제개발에 협력하기 위해 2017년 누계 6.9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삼성전자, LG전자, 이건산업, 포스코건설, 현대종합상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이 칠레에 진출해 있다. 한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한국 기업의 진출 및 상담을 돕기 위해 산티아고무역관을 설치했으며, 한-칠레상공회의소가 출범하여 기업 및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이 확대되고 있다.
2023년 기준 칠레의 대한국 수출액은 44억 5,741만 달러, 수입액은 7억 9,109만 달러이다. 주요 수출품은 구리, 탄산리튬, 광 및 슬래그 등이고, 주요 수입품은 자동차, 황산과 발연황산, 광물성 연료 등이다. 1999년 12월에 협상 개시된 한국과 칠레의 자유무역협정(FTA)은 총 6차례의 협상을 거쳐 2004년 4월에 정식 발효되었다. 한국-칠레 FTA는 농업을 포함한 모든 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투자·무역규범·정부조달·지적재산권·동식물검역 조치까지 자유화 대상에 포함하는 포괄한다. 칠레와의 FTA는 한국 기업의 중남미지역 진출 교두보로서 가치가 높으며, 포괄적이고 전략적인 협력관계로 도약했다.
이 밖에 양국이 체결한 협정으로는 무역협정(1977), 항공협정(1979), 경제·기술협력협정(1982), 문화협정(1983), 과학기술협력협정(1994), 범죄인인도협정(1994), 외교관/관용여권 사증면제협정(1995), 투자보장협정(1996), 이중과세방지협약(2002), 원자력협정(2002년), 일반비자면제협정(2004년 발효), 세관협력협정(2005), 운전면허상호인정협정(2008) 등이 있다.
문화교류·교민 현황
칠레에는 한글학교 1개가 설립되어 있어 교민과 칠레인의 한글교육에 이바지하고 있다. 칠레한인회는 한인사회의 발전과 권익보호에 힘쓰고 이쓰며 한국·칠레문화협회는 양국의 문화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칠레에는 2,345명의 재외동포가 있고, 이들 대부분은 칠레의 수도인 산티아고에 거주하고 있다. 한국에는 2023년 기준 251명의 칠레의 국적의 등록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 외교부
- ・ 주 칠레 대한민국 대사관
- ・ 한국무역협회 통계
- ・ 외교부 재외동포 현황(2023년 기준)
- ・ 법무부 등록외국인 국적별 현황(2023년 기준)
남아메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칠레와 한국의 관계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