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칠레 문화와 역사

다른 표기 언어

문화

예술 분야에서는 가브리엘라 미스트랄과 파블로 네루다와 같은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시인, 클라우디오 아라우 같은 음악가, 로베르토 마타 에차우렌 같은 화가들이 있다.

파블로 네루다(Pablo Neruda)

칠레의 시인

ⓒ Materialscientist / wikipedia | Public Domain

역사

스페인 식민시대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스페인사). 16세기 스페인인들이 발견했을 당시 아라우카니아 인디언은 주로 비오비오 강 남쪽에 살면서 다른 부족을 지배하던 유목민이었다(아라우칸인). 스페인인들은 19세기 내내 아라우카니아 인디언과 싸웠으나 끝내 그들을 정복할 수 없었다.

스페인은 1536년 디에고 데 알마그로의 지휘 아래 세력을 뻗어가기 시작했으며, 1541년 페드로 데 발디비아가 산티아고를 세웠다. 대토지에 기반을 둔 농업이 주요경제활동이었고, 이로 인해 부유한 지주계급이 생겼다. 1808년 프랑스의 스페인 침공으로 인해 독립운동은 활기를 띠었다. 1810년 산티아고에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1814년에 스페인이 통치권을 재천명했지만 애국 지도자 베르나르도 오이긴스가 아르헨티나로 피신했다가 호세 데 산 마르틴이 이끄는 군대와 함께 돌아와 1817년 차카부코에서 스페인군을 물리쳤다.

오이긴스(Bernardo O'Higgins)

남아메리카의 혁명 지도자, 군사령관

ⓒ wikimedia commons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오이긴스는 국가원수로 선포되었으며, 이듬해 2월 12일 공식적으로 독립이 발표되었다. 1861년까지는 헌법으로 보장된 지주들의 과두정치가 행해졌고, 그후 정권은 자유당으로 넘어갔다. 로마 가톨릭의 권위가 축소되었으며, 유럽의 정치적·지적 흐름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1879~83년에 있었던 볼리비아와 페루와의 전쟁으로 두 나라로부터 옛 영토를 되찾아 영토가 확장되었다.

19세기에 토지를 소유한 이전의 소수 독재자들이 국내 정치계에서 계속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20세기초,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도시중산계급이 출현했다. 그후 10년 동안 급진당·사회당·기독교민주당 등과 같은 새 정당이 창설되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초 약간의 정치적 불안과 혼란이 있었지만 평화적인 정치발전이 계속되어 민주적 정권교체가 가능했다. 1938~52년에 급진당에 속한 대통령들이 줄곧 통치했으나, 1964년에는 중도파인 기독교민주당이 집권당이 되었다.

이 정부는 가난한 사람들을 정치행정에 채용하는 개혁을 시도했다. 1969년 사회당과 공산당은 급진당과 기독교민주당에 소속된 몇몇 좌파들과 연합해 1970년 대통령 선거에서 과반수를 득표했다. 그들의 후보였던 살바도르 아옌데가 마르크스주의자로 자처하는 사람으로는 처음으로 라틴아메리카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아옌데는 미국 소유의 구리광산을 몰수하고 여러 가지 사회주의정책을 실시했다. 그후 2년도 안 되어 미국이 자본투자 거부를 주도하여 경제는 악화되기 시작했다. 많은 중산층 사람들이 아옌데 정부에 등을 돌렸으며, 1973년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육군사령관이 군부 쿠데타를 일으켰다. 아옌데 정부는 전복되고 군사혁명위원회가 들어섰다. 군사평의회의 수반인 피노체트는 엄격한 자유시장정책을 제도화했으며, 군부통치에 반대하는 국내 저항세력들을 잔혹하게 진압했다.

피노체트 (Augusto Pinochet Ugarte)

칠레의 육군 총사령관, 군사정부 대통령

ⓒ Warko / wikipedia | 2.0 CL BY CC

1980년 새 헌법이 승인되었고, 피노체트가 대통령으로 뽑혔다. 헌법에 명시된 대로 1988년 10월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이 투표는 군사정부의 후보인 피노체트의 8년간 재임 추진을 위해 실시된 것이었지만, 대다수의 유권자들이 피노체트를 거부했다. 결국 피노체트는 물러났고, 1989년에 실시된 선거로 다시 민간정부가 들어섰다.

기독교민주당(Christian Democrts/PDC) 출신의 아일윈 대통령은 군부정권에 살해·실종된 정치범들에 대한 증거를 조사하기 위해 진실과 화해 위원회를 구성했다.

10개월 후인 1991년 2월 위원회는 1973~90년 군부독재 기간 동안의 인권 침해 사례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279명이 사망했고, 그중 1,068명이 고문·총살·처형당했다. 보고서는 1973~77년 군보안경찰인 디나(DINA)가 '체계적인 학살 정책'을 수행했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보고서에는 가해자의 이름이 빠져있었으며, 아일윈 대통령은 희생자들 일부에 대한 보상이 주어지겠지만 인권재판은 열지 않기로 한 결정을 재확인했다.

1993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PDC에 에두아르도 프레이가 당선되었다. 하지만 1980년 자신에 의해 제정된 신헌법에 힘입어 피노체트는 여전히 군총사령관의 자리에 남아 있으면서 상원의원 9명을 지명하는 권한을 유지함으로서 우익에 힘을 실었다. 프레이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인 1994년 2춸 칠레 의회는 대통령 임기를 8년에서 6년으로 단축했다. 프레이 대통령은 집권하자마자 군부가 지명하는 상원 의석 8석을 폐지할 것을 국회에 제안했다. 또한 내각에 사회주의 계열 인사 4명을 임명하므로써 군부가 고위관직에 대한 사회주의 계열 인사 임명 거부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

1989년 집권한 중도좌파연합정권은 2009년까지 20년 동안 장기집권을 통해 권력을 장악했다. 2006년에는 미첼 바첼레트(Michelle Bachelet)가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는데, 좋은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피노체트 정권에서 추진했던 신자유주의 정책의 결과 오랫동안 누적되어 온 사회의 양극화 현상에 대한 국민의 실망을 감당할 수는 없었다. 결국 2010년 중도우파의 세바스티안 피녜라(Sebastián Piñera)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며, 이후 2014년 대선에서 미첼 바첼레트가, 2018년 대선에서는 세바스티안 피녜라가 재선되는 정치적 혼란기를 맞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칠레 문화와 역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